$\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관리자 제도의 발전과 전망
Overview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4, 2020년, pp.219 - 227  

이복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garding workers'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he law on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has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since 1961. However, regulations related to health managers do not meet recent demands for changes in field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occupational heal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1997년에 보건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사업장의 규모와 선임해야 하는 보건관리자 수에 대한 기준이 개정된 이후 지금까지 20년이 넘도록 큰 골격에 변함이 없어, 최근 산업구조 변화, 직업건강문제 변화, 직업건강 기술향상, 노사의식수준 상승과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보건관리자 제도의 개선방안으로 보건관리자 의무고용 규제 강화, 보건관리자 선임업종 확대, 보건관리자 선임 규모 조정, 보건관리자 자격 합리화, 보건관리자 업무 개정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보건관리자 제도의 변천사와 외국의 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다양한 문헌고찰을 통해 보건관리자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enoweth, D. H., & Garrett, J. (2006).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a worksite clinic: Is it worth the cost?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4(2), 84-89. https://doi.org/10.1177/216507990605400206 

  2. Chenoweth, D., Martin, N., Pankowski, J., & Raymond, L. W. (2005). A benefit-cost analysis of a worksite nurse practitioner program: First impression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7(11), 1110-1116. https://doi.org/10.1097/01.jom.0000182093.48440.4c 

  3. Jo, D. J. (2018). A comparison of the occupational accident status b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ype in workpl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8(3), 312-318. https://doi.org/10.15269/JKSOEH.2018.28.3.312 

  4. Jung, H. S., & Lee, B. (2013). Economic evaluation of a workplace occupational health nursing service: Based on comparison with atmospheric environment managing enginee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3(4), 507-516. https://doi.org/10.4040/jkan.2013.43.4.507. 

  5. Jung, H. S., Kim, S. Y., Bek, E. M., Lee, B., Lee, S. S., Yi, Y. J., et al. (2019).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aju: Soomoonsa. 

  6. Jung, H. S., Kim, Y. G., Lee, B., Yoon, K. J., & Hwang, G. S. (2010). The necessity of improving qualifications and hiring criteria of health manager. Gwacheo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7. Jung, H. S., Yi, J. S., Shin, I. J., & Choi, E. H. (2016). Analysis of cost benefit related to appointing a health care manag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2), 130-140. https://doi.org/10.5807/kjohn.2016.25.2.130 

  8. Kim, H. Y., & Jang, S. H. (2011). Study for rationalizing the appointment and qualification standards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 Uls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9.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2019).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25th Anniversary Resource Book. Seoul: Author. 

  1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a, October 26). Health management agency status(as of 20.10.25). Retrieved November 3, 2020, from http://www.moel.go.kr/info/publict/publictDataView.do?bbs_seq20201000905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b). 2019 Occupational accident statistics. Sejong: Author. 

  12. Song, M. K. (2006). Relationship between safety & health system of workplaces and occupational accident occur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Steenstra, I. A., Anema, J. R., van Tulder, M. W., Bongers, P. M., de Vet, H. C. W., & van Mechelen, W. (2006). Economic evaluation of a multi-stage return to work program for workers on sick-leave due to low back pain.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6(4), 557-578. https://doi.org/10.1007/s10926-006-9053-0 

  14. Whitaker, S., & Baranski, B. (Eds.). (2001).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 in workplace health management. Copenhagen:World Health Organization. 

  15. Won, J. U., Yoon, J. H., Lee, D. K., & Phee, Y. G. (2015). Research for effective management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 and system in workplace. Uls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5). Global strategy on occupational health for all. Recommendations of second meeting of the WHO collaborating centres in occupational health. Document WHO/OCH/95.2.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