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지반증폭계수를 활용한 포항지역의 지표면 최대가속도 산출 적절성 검토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mplification Factor to Estimate Peak Ground Acceleration of Pohang Area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6 no.11, 2020년, pp.21 - 33  

김종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한진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곽태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MOIS, 2017)의 지반증폭계수를 활용하여 지표면 최대가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포항지역 전역의 시추공을 대상으로 1차원 등가선형해석프로그램을 통해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지반응답해석을 위한 지진파는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에 따라 지진 재현주기 500년, 1000년, 2400년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에 맞추었고, 지반데이터는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을 활용하여 확보하였다. 그 결과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에서 제시하는 응답스펙트럼과 지반응답해석에서 얻어진 응답스펙트럼은 지반분류에 상관없이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증폭계수를 활용하여 지표면최대가속도를 산출할 경우 지반응답해석에서 얻어진 결과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 respons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for each borehole data in Pohang area, using 1D equivalent linear method program,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mplification factor to estimate peak ground acceleration. Earthquake motions for ground response analysis were prepared by matching respo...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 전역의 시추공을 대상으로 지반응답해석을 통해 산출된 각 지반분류별 지표면최대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이하 PGA)와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에서 제시하는 지반증폭계수를 활용하여 산출한 PGA의 비교를 통해 액상화 평가 시 지반증폭계수 활용의 적절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포항지진이 발생한 포항지역을 대상으로 포항지역 내 총 2084공의 시추공에 대하여 지진 재현주기 별(500년, 1000년, 2400년)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증폭계수를 활용한 PGA 산출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지반응답해석을 통해 얻어진 지표면의 응답스펙트럼을 검토한 결과지반분류 별 응답스펙트럼의 산술평균은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과 유사한 형상을 보였다.

가설 설정

  • 기반암은 전단파 속도가 760m/s이상인 지반으로 설정하였고, 시추조사가 기반암(Vs > 760m/s)에 도달하지 못하고 종료되었을 경우 최저층의 아래를 연암(Vs = 760m/s)로 가정하여 모델을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J. K., Baek, W. H., Choi, J. S., and Kwak, D. Y. (2018), "Investigation of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Using 1D EffectiveStress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8, pp.37-49. 

  2. Baek, W. H. and Choi, J. S. (2019), "Correlations of Earthquake Accelerations and LPIs for Liquefaction Risk Mapping in Seoul & Gyeonggi-do Area based on Artificial Scenarios", J.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20, No.5, pp.5-12. 

  3. Baek, W.H., Choi, J.S., and Ahn, J.K. (2018), "Seismic Scenariosbased Liquefaction Hazard Map for Pohang Area", EESK J Earthquake Eng., Vol.22, No.3, pp.219-224. 

  4. Borcherdt, R. D. (1994), "Estimates of Site-Dependent Response Spectra for Design (Methodology and Justification)", Earthquake Spectra, Vol.10, pp.617-653. 

  5. Choi, J. S., Park, I. J., Hwang, K., and Jang, J. (2018), "A Study on Seismic Liquefaction Risk Map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9, No.10, pp.13-19. 

  6. Cubrinovski, M., Henderson, D., and Bradley, B. A. (2012), "Liquefaction Impacts in Residential Areas in the 2010-2011 Christchurch Earthquakes",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gineering Lessons Learned From the Giant Earthquake, 3-4 March 2012, pp.811-824. 

  7. Darendeli MB. Development of a new family of normalized modulus reduction and material damping curves, Doctor's thesi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1:131-153 (chapter 6). c2001. 

  8. Dobry, R., Ramos, R., and Power, M. S. (1999), "Site Factor and Site Categories in Seismic Codes", Technical Report MCEER-99-0010,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9. Ha, Iksoo (2018), "Understanding of liquefaction phenomenon occurred during Pohang earthquake",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8, No.1, pp.13-17. 

  10. Idriss, I. M. and Sun, J. I. (1993), User's manual for SHAKE91: a computer program for conducting equivalent linear seismic response analyses of horizontally layered soil deposits, http://nisee.berkeley.edu/elibrary/getpkg?idSHAKE91 

  11. Iwasaki, T. (1978),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In Proceedings of Second Int. Conf., Microzonation Safer Construction Research Application, Vol.2, pp.885-896. 

  12. Jang, Y. E., Seo, H. W., Kim, B. M., Han, J. T., and Park, D. H. (2020), "Selection of Ground Motions for the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for South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4, No.2, pp.111-119. 

  13. Jeong, Nam-Hoon, Behavior of Shear Wave Velocity Based on Suspension PS Logging Tests, Doctor's thesis, Dankook University, pp.90-95. 

  14. Jin, Y. J., Park, K. J., and Song, B. W. (2014), "The Study for Ground Liquefaction Hazard Mapping with Simple Estimating Method",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14, No.5, pp.199-204. 

  15. Kazama, M., Noda, T., Mori, T., and Kim, J. (2012), "Overview of the Geotechnical Damages and the Technical Problems Posed After the 2011 off the Pacific Coast of Tohoku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Journal of the SEAGS & AGSSEA, Vol.43, pp.49-56. 

  16. Kim, Byungmin (2018), "Damage cases induced by Dec 15 2017 Pohang earthquake:Geotechnical engineering aspect",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8, No.1, pp.9-12. 

  17. Kim, D. S., Manandhar, S., and Cho, H. I. (2018),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ign response spectra in Korean seismic code, EARTHQUAKES AND STRUCTURES, 15(1), 1-8. 

  18. KLHC (2009),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shear wave velocity for resonable soil classification in seismic design,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19. KMA (2018), Pohang Earthquake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 MOIS (2017), Seismic Design General Application, Ministry of 21. 

  21. NDMI (2017), The investigated result of liquefaction due to Pohang earthquake (2017.11.15.),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2. Park, S. S., Nong, Z., Choi, S. G., and Moon, H. D. (2018), "Liquefaction Resistance of Pohang S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9, pp.5-17. 

  23. Seed, H. B., Ugas, C., and Lysmer, J. (1976), "Site-dependent Spectra for Earthquake-resistant Desig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66, No.1, pp.221-243. 

  24. Sun CG, Han JT, Cho WJ. (2012), "Representative Shear Wave Velocity of Geotechnical Layers by Synthesizing In-situ Seismic Test Data in Korea", J. of Engineerng Geology, Vol.22, No.3, pp.293-307. 

  25. Sun, C. K., Kim, H. J., and Chung, C. K. (2008), Deduction of Correlations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Geotechcnial In-situ Penetration Test Dat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12, No.4, pp.1-10. 

  26. Yamaguchi, A., Mori, T., Kazama, M., and Yoshida, N. (2012), "Liquefaction in Tohoku District during the 2011 off the Pacific Coast of Tohoku Earthquake", Soils and Foundations, Vol.52, No.5, pp.811-8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