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사 드론의 기초산업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of Basic Industries in Military Dron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4, 2020년, pp.493 - 498  

한훈 (우석대학교 군사안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1월 다보스 세계 경제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바프 회장이 처음 던진 화두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우리의 삶 속에는 알게 모르게 인간과 컴퓨터, 기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으며 모든 삶의 영역에 맹렬한 속도로 유기적인 관계가 더욱 진화되고 발전되고 있다. 과거 1953년 휴전협정 이후, 우리나라는 북한과 대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서해교전, 연평도 포격도발, 천안함 폭침, 무인기 및 발목지뢰 사건 등 북한에 의한 국지도발 전투행위는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국지도발에 대한 대비를 위해 우리 군은 부단히 대비를 하고 있으며 첨단 군사장비를 개발하고 도입하여 전투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결국, 국방분야에서도 새로운 전쟁 양성에 따른 4차 산업혁명에 연계된 군사 드론 산업분야에 정확한 진단과 앞으로의 급격한 과학기술 및 IT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춰 군사 드론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first topic thrown by Klaus Schwab at the Davos World Economic Forum in January 2016, meaning the next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the Internet of Thing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technology and life sciences. In addition, in our lives, huma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중국의 경우 2010년부터 중국 내수용 민수 드론 기업들이 선진의 드론 지원 정책과 규제 완화로 멀티콥터 드론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잇따른 드론 관련 정책 수립과정에서 중국 정부는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부분의 자유로운 시장진입과 개발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드론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수출입동향으로는 2015년 중국에서 수출한 드론은 전년대비 427.2% 증가한 89.1만대, 수출액은 730.6% 증가한 5.1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주요 수출지역은 홍콩, 우리 나라, 일본, 북미와 EU 수출 평균가격은 3.670위안으로 그 중 홍콩에 수출한 드론 중 40%는 다시 유럽으로 재 수출되었으며(권종하, 2019), 2015년 중국에서 수입한 드론은 전년대비 1,350% 증가한 14.5만대였으며, 수입액은 83.3% 증가한 1.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7]. 공공민용 드론산업 동향으로는 농림 식물보호와 전력 순시검사 분야에서 드론분야가 가장 많아 시장규모가 크며, 농업 식물보호 민용 드론은 최대 시장으로 시장 규모는 150억 위안, 2015년 드론 보유량 2,324대, 총작업 면적 1,152.

후속연구

  • 이에 발맞춰 군사 부분에 전력을 증강하기 위한 군사 드론 연구는 국방력 향상을 위해 발전시켜야 할 기술 중 하나이며 현재 군사용 드론을 대부분 감시정찰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나 드론에 대한 제작비용과 야전부대 보급 시기 등을 고려할 때, 즉시 야전부대에서 전평시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드론이 군 부대에 보급 시 작전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작전개념 및 방법이 교리상 정립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군사 드론을 활용한 기초산업 현황을 제시하여 미래 군사 드론의 전후방 지역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군사 드론 운영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in-kyu Lee, Creating a New Paradigm for Drone Broadcast Images; Field, Dynamic and Three-dimensional Broadcast Trend & Insight, 2015. 

  2. Woo-il Kim, Improvement plan using drones in safety management of repair facilities. Master of Chung-Ang University, 2017. 

  3. Won-Seung LEE, A Study on the Roadmap for Activating Ground-Based Robots and Creating Demand, 2013. 

  4. Yong-man Cho,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perational Sustainability in the Military Sector by Using Drone, Sangj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9. 

  5. Tae-hyun Jang, A Study on Efficient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Using Drone, a doctoral dissertation at Mokwon University, 2019. 

  6. Kwang-joon Yoon, Current Status and Revitali ization of the Domestic and Foreign Drone Industry, Planning Specials 1-1, Real Estate Focus, Vol. 95. 2016. 

  7. Jong-ha Kwon, Government Policy and Support Plan for the Development of Drone Industry in Korea, Andong University Master's Degree, 2019. 

  8. Ja-young Yoon, The current state of drones and deregulation policies. centering on comm ercial drones the October feature of the indust rial econom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