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First Report of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 from Korean Tidal Flats Along with Its Distribution in Northeast Asi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5 no.4, 2020년, pp.97 - 105  

김혜숙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학과 및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과) ,  김종성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및 해양연구소) ,  박진순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학과 및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vicula는 갯벌 규조류 군집의 가장 중요한 속 중의 하나로서, 매우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Navicula spartinetensis가 국내를 포함하여 황해지역에 서식함을 최초로 밝혔으며, 또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그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시료 채집은 한국 정점의 경우 2006년 10월에 2곳, 2007년 7월에 1곳, 2018년 7월에 1곳으로 총 4곳에서 채집하였고, 중국 정점의 경우 2018년 6월에서 7월까지 총 7곳에서 채집하였다. N. spartinetensis는 1975년에 Sullvian & Reimer가 최초로 기재한 종으로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개체들 역시 원전의 기재와 일치하는 형태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개각면이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는 19.3-29.3 ㎛, 너비는 4-6 ㎛, 10 ㎛ 당 점무늬열은 13-15개이고, 등줄 끝은 같은 방향으로 굽어 있다. N. spartinetensis는 기존에 유럽과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통해 그 분포가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으로도 확장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저서 규조류의 다양성은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으며, 보다 집중적인 분류학적 연구 수행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and Chinese tidal flats. Morphological descripti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partinetensis는 이전 연구에서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 보고된 적이 없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에도 최초로 보고되는 바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N. spartinetensis가 오동정되었을 확률이 높은 N. flanatica의 동북아시아 출현 기록도 함께 검토하였다.
  • 그 결과 기존에 흔히 Navicula flanatica (Grunow, 1860)로 동정되어 왔던 종의 특징이 해당 종의 원전과 일치하지 않으며, 오히려 개각의 크기 및 점무늬열의 형태와 밀도에 있어 Navicula spartinetensis(Sullivan and Reimer, 1975)와 잘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미기록종으로서 해당 종의 형태적 특징을 자세히 기재하여 보고하고자 하며, 더불어 동북아시아에서의 Navicula spartinetensis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기존의 Navicula 연구 문헌을 살펴 본 결과, 황해 지역에서 Navicula flanatica로 동정되어 보고된 종의 특징은 개각의 크기 및 점무늬열의 형태와 밀도에 있어 Navicula spartinetensis와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Navicula spartinetensis의 국내 출현을 보고하는 최초의 연구이다.
  • 더불어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의 규조류 식물상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N. spartinetensis의 한국에서 분포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동북아시아에서의 분포를 검토하기 위해서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기존에 연구한 규조류 문헌을 조사하였다. N.
  • 본 연구에서는 Navicula 속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황해 11개 정점에서 갯벌 퇴적물을 채집하여 출현 규조류 종들을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관찰에 기반하여 상세한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외형적 유사성뿐 아니라 미세구조의 특징 역시 엄밀하게 고려하여 동정을 수행하였다.
  • 그러나 기존에 보고된 종들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흔히 N. flanatica로 동정되었던 종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해당 종의 정확한 동정이 N.
  • (2016)은 기존에 한국 연안에서 Navicula scopulorum으로 보고되고 있던 종이 실제로는 Climaconeis속의 신종임을 밝혀 새로이 기재한 바 있다. 이에 대해서 저자는 유럽과 미국에서의 규조류 연구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데 그 원인을 두고 있다. 규조류 연구의 역사가 깊고 활발한 외국의 경우에도 기존에 Navicula로 분류되던 종들에 기반하여 2000년 이후에 여러 새로운 속이 정립된 바 있기도 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준호, 조경제, 1985. 금강하구 조간대 저토의 물리화학적 특성, 저생규조의 종조성 및 생물량. 한국생태학회지, 8: 21-29. 

  2. 김학균, 1989. 마산만의 와편모적조의 발생과 환경특성.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43: 1-40. 

  3. 박주석, 1979. 마산만의 환경오염 평가를 위한 야외생물 오염 시험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4: 15-25. 

  4. 박주석, 1980.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양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써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23: 7-157. 

  5. 박주석, 1982. 진해만 적조의 특성과 환경변화.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28: 55-58. 

  6. 박태수, 1956a. 한국해협에 있어서 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에 관하여 (I). 부산수산대학 연구보고집, 1: 1-12. 

  7. 박태수, 1956b. 하기 남해안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부산수산대학 연구보고집, 1: 13-32. 

  8. 유광일, 이종화, 1976.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성플랑크톤의 년변화. 한국 해양학회지, 11: 34-38. 

  9. 유광일, 1973. 백령도의 식물성 플랑크톤. 한양대학교 문리대 학보, 28: 461-462. 

  10. 유광일, 1974. 식물성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 - 다도해의 굴성장요인과 연해수질 오염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학술원논문집(자연과학편), 13: 326-329. 

  11. 유광일, 1980. 오염해역에 있어서의 생물군집의 환경지표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1: 10-14. 

  12. 윤양호, 노경희, 김영기, 1991. 제주도 연안해역에 출현하고 있는 적조생물.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연구보고, 15: 1-14. 

  13. 이민재, 심재형, 김종균, 1967. 한국 해역의 플랑크톤 연구. 하기 서해에 있어서의 해황과 식물성 플랑크톤 관하여. 서울대학교 해양생물연구소, 1: 1-14. 

  14. 이진환, 조경제, 2015. 국가 생물종 목록집.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365 pp. 

  15. 정영호, 심재형, 이민재, 1971. 하계 경기만의 수질오염과 생산력에 관한 연구. 제3보.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류 (II). 한국식물학회지, 14: 47-59. 

  16. 조경제, 1989. 낙동강 하구 저토의 환경구배에 따른 저서규조류의 군집구조.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06 pp. 

  17. 최상, 1967. 한국 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 연안수역의 식물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 1-12. 

  18. 최상, 1972. 고리 해역의 부유생물과 유기현탁물질의 소장. 한국해양학회지, 7: 47-58. 

  19. 최정신, 1969. 수영만에 있어서 규조류의 계절적인 양 및 조성의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 16-24. 

  20. Bourasi, S.K., S.D. Singh, P. Patil and P. Rathor, 2018. A study of effec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biodiversity of Diatoms special Reference to Navicula in river Narmada at Harda, MP India. Indian Journal of Life Sciences, 6(2): 575-578. 

  21. Cho, C.H., 1981. On the Gymnodinium red tide in Jinhae Bay.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14: 227-232. 

  22. Cho, K.J. and J.H. Kim, 1988. Species composi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Benthic algal assemblage along a channel in salt marsh, Kyonggi ba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1(1) : 1-15. 

  23. Choi, J.H., 1991. Estimation of Boundary Shear Velocities from Tidal Current in the Gyeonggi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6: 340-349. 

  24. Gligora M., K. Kralj, A. Plenkovic-Moraj, F. Hinz, E. Acs, I. Grigorszky, C. Cocquyt and B. Van de Vijver, 2009. Observations on the diatom Navicula hedinii Hustedt (Bacillariophyceae) and its transfer to a new genus Envekadea Van de Vijver et al. gen. nov.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44(1): 123-138. 

  25. Grunow, A., 1860. Uber neue oder ungenugend gekannte Algen. Erste Folge, Diatomeen, Familie Naviculaceen. Verhandlungen der Kaiserlich-Koniglichen Zoologisch-Botanischen Gesellschaft in Wien, 10: 503-582. 

  26. Guiry, M.D. and K. Gandhi, 2019. Decussiphycus gen. nov.: a validation of "Decussata" (R.M. Patrick) Lange-Bertalot (Mastogloiaceae Bacillariophyta). Notulae Algarum, 94: 1-2. 

  27. Koh C.-H. and J.S. Khim, 2014. The Korean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Physical setting, ecosystem and management.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398-414. 

  28. Kokubo, S., 1940. Quantitative reports of plankton in Japanese coasts. Plankton Jibo, 15: 121-154 (in Japanese). 

  29. Licea S, J.L. Moreno-Ruiz and R. Luna, 2016. Checklist of Diatoms (Bacillariophyceae) from the Southern Gulf of Mexico: Data-Base (1979-2010) and New Records. Journal of Biodiversity & Endangered Species, 4(3): 1-7. 

  30. Liu Y., J.P. Kociolek, Y. Fan and Q. Wang, 2012. Pseudofallacia gen. nov., a new freshwater diatom (Bacillariophyceae) genus based on Navicula occulta Krasske. Phycologia, 51: 620-626. 

  31. Meleder, V., Y. Rince, L. Barille, P. Gaudin and P. Rosa, 2007. Spatiotemporal changes in microphytobenthos assemblages in a macrotidal flat (Bourgneuf Bay, France). Journal of Phycology, 43: 1177-1190. 

  32. Mitbavkar, S. and A.C. Anil, 2002. Diatoms of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population structure in a tropical intertidal sand flat. Marine Biology, 140: 41-57. 

  33. Oh, J.K. and B.C. Kum, 2001. Depositional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 1-13.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Nearshore and Offshore off the Mid-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377-387. 

  34. Oh, S.H. and C.H. Koh, 1995. Distribution of diatoms in the surficial sediments of the ManKyung 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Eastern Yellow Sea). Marine Biology, 122: 487-496. 

  35. Ohtsuka, T., 2005. Epipelic diatoms blooming in Isahaya Tidal Flat in the Ariake Sea, Japan, before the drainage following the Isahaya-Bay Reclamation Project. Phycological Research, 53: 138-148. 

  36. Park, J., B.-O. Kwon, M. Kim, S. Hong, J. Ryu, S.J. Song and J.S. Khim, 2014. Microphytobenthos of Korean tidal flats: A review and analysis on floral distribution and tidal dynamics.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471-482. 

  37. Park, J., 2011. Flora of Marine Benthic Diatoms from the Saemangeum Tidal Flat of Korea. Ph.D.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5 pp. 

  38. Park, J. and C.-H. Koh, 2012. Taxonomic studies on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LM and SEM observations of the diatom genus Amphora from Korean tidal flats. Ocean Science Journal, 47: 101-112. 

  39. Park, J., J.H. Lee and J.S. Khim, 2016. The Identity of 'Berkeleya scopulorum' from Northeast Asia: Report on Climaconeis mabikii sp. nov. from Temperate Marine Waters with Notes on Biogeography of the Genus. Ocean Science Journal, 51: 591-598. 

  40. Park J.S., J.S. Khim, T. Ohtsuka, H. Araki, A. Witkowski and C.-H. Koh, 2012. Diatom assemblages on Nanaura mudflat, Ariake sea, Japan: with reference to the biogeography of marine benthic diatoms in Northeast Asia. Botanical Studies, 53: 105-124. 

  41. Round, F.E., R.M., Crawford and D.G. Mann, 1990. The Diatoms. Cambridge, New York. 747 pp. 

  42. Skvortzow, B.W., 1929. Freshwater diatoms from Korea, Japan. Philip. Philippine Journal of Science, 38: 283-291. 

  43. Skvortzow, B.W., 1932. Diatoms from the bottom of the sea of Japan. Philippine Journal of Science, 47: 265-280. 

  44. Sullivan, M.J. and C.W. Reimer, 1975. Some diatoms (Bacillariophyceae) from a Delaware salt marsh - four of which are described as new. Botanica Marina, 18: 115-121. 

  45. Underwood, G.J.C. and J. Kromkamp, 1999.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29: 93-153. 

  46. Witkowski, A., M.J. Sullivan, B. Bogaczewicz-Adamczak, M. Bak, E. Rhiel, L. Ribeiro and P. Richard, 2012.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 little known but widespread diatom (Bacillariophyceae), Navicula spartinetensis Sullivan et Reimer. Diatom Research, 27(1): 43-51. 

  47. Yoo, K.I. and J.H. Lee, 197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4: 26-31. 

  48. Yool, A. and T. Tyrrell, 2003. Role of diatoms in regulating the ocean's silicon cycle.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7: 1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