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서미세조류 4종(Achnanthes sp., Amphora sp., Navicula sp. 그리고 Nitzschia sp.)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부착기질 크기의 영향
Effects of Substrate Size on the Growth of 4 Microphytobenthos Species (Achnanthes sp., Amphora sp., Navicula sp. and Nitzschia sp.)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1 no.1, 2012년, pp.105 - 111  

권형규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양한섭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유영문 (부경대학교 LED-해양 융합기술 연구센터)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substrate size on the growth of microphytobenthos Achnanthes sp., Amphora sp., Navicula sp. and Nitzschia sp. were examined using glass beads in order for phytoremediation in the benthic layer of coastal waters. The glass beads used in this study were 0.09~0.15 mm (G.B 1), 0.25~0.50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물환경복원의 기법으로 오염된 퇴적물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서미세조류의 대량배양시 배양효율을 높이기 위해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부착기질의 영향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험에 이용된 glass bead의 크기는 총 4단계로 0.
  • 그래서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은 빛, 수온과 영양염 농도 등의 물리·화학적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서식환경이 퇴적층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퇴적물과 같은 기질의 특성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hoon 등, 1999; Cartaxana 등, 2006; Davis와 McIntire, 1983; Perkins 등, 2003; Suzuki와 Yamamoto, 2005). 본 연구는 오염된 퇴적물을 개선할 목적으로 저서미세조류의 대량 배양시 배양효율을 높이기 위해 남해 수정만에서 우점하고 있는 4종의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부착기질의 영향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살펴보고, 부착기질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은 어떤 물리,화학적 요인에 중요하게 작용하는가? 한편, 저서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퇴적물 내에서 빛 투과 한계점인 표층 약 2~4 mm 상층부에서 주로 서식하나(Colijn, 1982; MacIntyre와 Cullen, 1995), 운동성을 가진 미세조류는 활발한 수직이동(migration) 등에 의해 10 cm 이하의 깊이에서도 존재한다(Méléder 등, 2005; Montani 등, 2003). 그래서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은 빛, 수온과 영양염 농도 등의 물리·화학적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서식환경이 퇴적층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퇴적물과 같은 기질의 특성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hoon 등, 1999; Cartaxana 등, 2006; Davis와 McIntire, 1983; Perkins 등, 2003; Suzuki와 Yamamoto, 2005). 본 연구는 오염된 퇴적물을 개선할 목적으로 저서미세조류의 대량 배양시 배양효율을 높이기 위해 남해 수정만에서 우점하고 있는 4종의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부착기질의 영향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살펴보고, 부착기질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연안해역은 무엇으로 인해 다량의 유기물 퇴적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연안해역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다양한 양식활동에 의한 자가오염의 증가로 다량의 유기물 퇴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퇴적된 유기물은 호기성 분해로 빈산소 또는 무산소 수괴를 형성하기도 하며, 혐기성 분해로 인한 유해가스는 저층 생태계의 파괴를 가속화시킨다.
본 연구에서 형광광도계에서 직접 측정이 가능한 배양튜브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glass bead를 첨가하였는데 이 때 첨가한 glass bead의 직경은 얼마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착기질은 정밀 공업용으로 사용하는 glass bead(SiLibeads Type S, SiLi, Germany)로 형광광도계에서 직접 측정이 가능한 배양튜브(10×100 mm)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glass bead를 첨가하였다. 이 때 첨가한 glass bead의 직경은 총 4종류의 시판품을 사용하였으며(G.B 1: 0.09~0.15 mm, G.B 2: 0.25~0.50 mm, G.B 3: 0.75~1.00 mm, G.B 4: 1.25~1.65 mm), glass bead는 바닥에서 5 mm 정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그리고 대조구에는 glass bead를 첨가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오상희, 고철환, 1991,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주요 우점 저서 규조류의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6(2), 24-37. 

  2. 오석진, 박달수, 양한섭, 윤양호, Honjo, T., 2007,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한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촉진에 의한 오염해역 저질환경개선,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2), 93-101. 

  3. 오석진, 윤양호, Yamamoto, T., 양한섭, 2009, 실내 배양시 부착기질 크기에 따른 저서성 미세조류 Nitzschiasp.의 성장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2(2), 91-95. 

  4. 이학영, 2003, 가마미 해수욕장(전남영광) 갯벌의 미세 조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2(7), 715-724. 

  5. 해양수산부, 2000,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 연구. 

  6. Admiraal, W., 1984, The ecology of estuarine sedimentinhabiting diatoms, Prog. Phycol. Res., 5, 269-322. 

  7. Brand, L. E., Guillard, R. R. L., Murphy, L. S., 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 Plankton Res., 3, 193-201. 

  8. Cahoon, L. B., Nearhoof, J. E., Tilton, C. L., 1999, Sediment grain size effect on benthic microalgal biomass in shallow aquatic ecosystems, Estuaries, 22, 735-741. 

  9. Cahoon, L. B., Safi, K. A., 2002, Distribution and biomass of benthic microalgae in Manukau Harbour, New Zealand, New Zealand J. Mar. Freshwater Res., 36, 257-266. 

  10. Cartaxana, P., Mendes, C. R., van Leeuwe, M. A., Brotas, V., 2006, Comparative study on microphytobenthic pigments of muddy and sandy intertidal sediments of the Tagus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66, 225-230. 

  11. Colijn, F., 1982, Light absorption in the waters of the Ems-Dollard Estuary and its consequences for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Neth. J. Sea Res., 15, 196-216. 

  12. Daniel, G. F., Chamberlain, A. H. L., Jones, E. B. G., 1987, Cy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s on the adhesive materials of marine fouling diatoms, Br. Phycol. J., 22, 101-118. 

  13. Davis, M. W., McIntire, C. D., 1983, Effects of physical gradients on the production dynamics of sedimentassociated algae, Mar. Ecol. Prog. Ser., 13, 103-114. 

  14. De Jonge, V. N., van Beuselom, J. E. E., 1992, Contribution of resuspended microphytobenthos to total phytoplankton in the Ems estuary and its possible role for grazer, Neth. J. Sea. Res., 30, 91-105. 

  15. Doblin, M. A., Blackburn, S. I., Hallegraeff, G. M., 1999, Growth and biomass stimula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by organic substances, J. Exp. Mar. Biol. Ecol., 236, 33-47. 

  16. Edgar, L. A., Pickett-Heaps, J. D., 1984, Diatom locomotion, Prog. Phycol. Res., 3, 47-88. 

  17. Fukami, K., Murata, N., Morio, Y., Nishijima, T., 2002, Improvement of eutrophic coastal bottom environments by using an optical fiber and effective psychrophilic bacteria, Fish. Sci., 68, 617-620. 

  18. Hoagland, K. D., Rosowski, J. R., Gretz, M. R., Roemer, S. C., 1993, Diatom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Function, fine structure, chemistry and physiology, J. Phycol., 29, 537-566. 

  19. Hustedt, F., 1985, The pennate diatoms, Koeltz Sci. Books, Koenigstein, 918. 

  20. Kawamura, T., 2004, Ecology of benthic diatom, Nippon Suisan Gakkaishi, 70, 788-798. 

  21. Lee, J. B., Choa, J. H., Koh, H. B., 1999,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ttached diatom in the coastal waters of Cheju Island, Korea, Algae, 13, 55-66. 

  22. MacIntyre, H. L., Cullen, J. J., 1995, Fine-scale vertical resolution of chlorophyll and photosynthetic parameters in shallow-water benthos, Mar. Ecol. Prog. Ser., 122, 227-237. 

  23. Meadows, P. S., Anderson, J. G., 1968, Microorganisms attached to marine sand grains, J. Mar. Biol. Ass. U.K., 48, 161-175. 

  24. Meleder, V., Barille, L., Rince, Y., Morancais, M., Rosa, P., Gaudin, P., 2005, Spatio-temporal changes in microphytobenthos structure analysed by pigment composition in a macrotidal flat (Bourgneuf Bay, France), Mar. Ecol. Prog. Ser., 297, 83-99. 

  25. Montani, S., Magni, P., Abe, N., 2003, Seasonal and interannual pattern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in combination with laboratory and areal production estimates, Mar. Ecol. Prog. Ser., 249, 79-91. 

  26. Paterson, D. M., 1989, Short-term changes in the erodibility of intertidal cohesive sediments related to the migratory behavior of epipelic diatoms, Limnol. Oceanogr., 34, 223-234. 

  27. Patrick, R., Reimer, C. W., 1966,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Acad. Nat. Sci., Philadelphia, 688. 

  28. Perkins, R. G., Honeywill, C., Consalvey, M., Austin, H. A., Tolhurst, T. J., Paterson, D. M., 2003, Changes in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and EPS resulting from sediment compaction due to de-watering: opposing patterns in concentration and content, Cont. Shelf Res., 23, 575-586. 

  29. Round, F. E., 1971, Benthic marine diatoms, Oceanogr. Mar. Biol. Ann. Rev., 9, 83-139. 

  30. Ruangdej, U., Fukami, K., 2004, Stimulation of photosynthesis and consequent oxygen production in anoxic bottom water by supply of low-intensity light through an optical fiber, Fish. Sci., 70, 421-429. 

  31. Saburova, M. A., Polikarpov, I. G., 2003, Diatom activity within soft sediments: behavioural and physiological processes, Mar. Ecol. Prog. Ser., 251, 115-126. 

  32. Shaffer, G. P., Sullivan, M. J., 1988, Water column productivity attributable to displaced benthic diatoms in well mixed-shallow estuaries, J. Phycol., 24, 132-140. 

  33. Suzuki, M., Yamamoto, T., 2005, Effects of grain size of substrate on the growth of a benthic microalgae Nitzschia sp., J. Grad. Sch. Biosph. Sci. Hiroshima Univ., 44, 31-38. 

  34. Yamamoto, T., Goto, I., Kawaguchi, O., Minagawa, K., Ariyoshi, E., Matsuda, O., 2008, Phytoremediation of shallow organically enriched marine sediments using benthic microalgae, Mar. Poll. Bull., 57, 108-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