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근피 추출물의 radical 소거 활성 성분에 대한 LC-MS/MS 스크리닝 분석법
LC-MS/MS Screening Method for Radical Scavenging Ac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Ulmus pumila Cortex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11, 2020년, pp.956 - 964  

임도연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과정부) ,  이경인 (동신대학교 바이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액체크로마토그래피 (liquid chromatography; LC) 시스템과 연동된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시스템은 식물 추출물과 같이 수많은 성분으로 구성된 시료 중의 radical 소거 활성 성분을 확인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는 생약재로 알려진 유근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후 확인된 소거 활성 성분에 대한 질량분석을 실시하여 procyanidin B2, procyanidin B3, catechin-7-O-β-D-apiofuranoside, catechin-5-O-β-D-apiofuranoside로 각각 추정되는 4가지 성분을 확인하였다. 추출물 시료들 간의 상대적인 함량 비교를 위해 4가지 성분에 대한 MRM mode 분석 조건을 설정하여 LC-MS/MS를 활용한 유근피 추출물 중 radical 소거 활성 성분의 함량 비교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95% 에탄올 추출물을 기준으로 산출한 상대적인 함량 비교 결과에서 추출 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높아지면 radical 소거 활성 성분들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추출물의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에탄올 농도 50% 이상의 추출물들에서 procyanidin B3로 추정된 성분을 제외한 3가지 성분의 함량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각 추출물의 수율을 추가로 감안하여 50% 수준의 에탄올 농도가 유근피의 radical 소거 활성 성분 추출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활성 측정 및 분석 방법을 활용하게 되면 유근피 자체의 품질관리뿐만이 아니라 추출물을 활용하는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서 기존의 LC-UV 검출기 profile 비교보다 활용도가 높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asurement system linked with liquid chromatography (LC) i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e compound in a sample composed of numerous compounds such as plant extracts. Using this system,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생약 추출물의 profile 분석과 radical 소거 활성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활성이 확인된 성분 peak에 대한 LC-MS 분석을 동일한 시스템 및 분리 조건에서 수행한다면 추출물 또는 분획물 수준에서 활성 성분을 특정할 수 있는 data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시간과 노력, 시약의 소모량 등을 줄일 수 있으며, 활성 성분 정성분석과 시료들간의 함량 비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는 생약재로 알려진 유근피[1, 14, 17]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LC profile 분석과 동시에 측정한 후 확인된 소거 활성 성분 peak의 MRM mode 분석 조건을 설정하여 LC-MS/MS를 활용한 유근피 추출물 중 radical 소거 활성 성분의 함량 비교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다만, 이와 같이 분리용 column 이후에 radical 용액이 추가되고 반응을 위한 tubing 길이의 영향으로 인해 분리된 성분이 확산되는 등 인접한 성분과의 간섭 현상들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radical 농도 및 tubing 조건의 최적화를 수행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Y. S., Lee, S. Y., Oh, D. H., Choi, D. H. and Kim, Y. K. 2000. Bioactivities and isol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from decay-resistant hardwood species. J. Kor. For. En. 19, 93-101.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 Cha, B. C. 2015. Changes in the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Citrus unshiu Markovich. Kor. J. Pharmacogn 46, 23-30. 

  4. Floegel, A., Kim, D. O., Chung, S. J., Koo, S. I. and Chun, O. K. 2011.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 1043-1048. 

  5. Hong, J. S., Kang, B. G., Jang, Y. S., Kim, S. H., Wang, Z., Park, Y. H., Park, J. H. and Lim, S. S. 2014. Studies on standardization of licorice based on its active components with on-line HPLC bioassay system. Kor. J. Plant Res. 27, 401-414. 

  6. Im, D. Y. and Lee, K. I. 2014.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Arctium lappa roots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Kor. J. Pharmacogn 45, 141-146. 

  7. Im, D. Y., Pyo, B. S., Kim, S. M. and Lee, K. I. 2017. Measurement of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 from medicinal plants using an on-line HPLC-DPPH assay. J. Life Sci. 27, 44-49. 

  8. Inoue, K., Baba, E., Hino, T. and Oka, H. 2012. A strategy for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purification of specific antioxidants from natural products based on online HPLC method with radical scavenging assay. Food Chem. 134, 2276-2282. 

  9. Jeon, Y. E., Lee, Y. S., Lim, S. S., Kim, S. J., Jung, S. H., Bae, Y. S., Yi, J. S. and Kang, I. J. 2009.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ing body of Phellinus linteus using the on-line HPLC-DPPH method. J. Appl. Biol. Chem. 52, 472-479. 

  10. Jung, M. J., Heo, S. I. and Wang, M. H. 2010. HPLC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and some flavonoids. a. 120, 313-318. 

  11. Kim, J. S. 2014. Antioxidant, α-glucosidase inhibi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aesa japonica (Thunb.). Kor. J. Med. Crop Sci. 22, 289-294. 

  12. Kim, J. Y., Kim, S. Y., Kwon, H. M., Kim, C. H., Lee, S. J., Park, S. C. and Kim, K. H. 2014.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chestnut, chestnut shell and leaves of Castanea crenata extracts. Kor. J. Med. Crop Sci. 22, 8-16. 

  13. Kim, N. Y., Park, D. S. and Lee, H. Y. 2015. Effect of anti-skin wrinkle and antioxidant of Agastache rugosa Kentz through fermentation process of the lactic acid. Kor. J. Med. Crop Sci. 23, 37-42. 

  14. Kwon, Y. M., Lee, J. H. and Lee, M. W. 2002.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Ulmus macrocarpa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Kor. J. Pharmacogn 33, 404-410. 

  15. Li, H. and Jeong, J. M. 2015.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berries ethanolic extract. Kor. J. Med. Crop Sci. 23, 49-56.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Yang, S. A., Kim, A. Y., Pyo, B. S. and Kim, S. M. 2019.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bark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nd its fractions. Kor. J. Pharmacogn 50, 112-117. 

  18. Yu, L., Haley, S., Perret, J., Harris, M., Wilson, J. and Qian, M. 2002.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wheat extracts. J. Agric. Food Chem. 50, 1619-1624. 

  19. Zhang, H., Xi, W., Yang, Y., Zhou, X., Liu, X., Yin, S., Zhang, J. and Zhou, Z. 2015. An on-line HPLC-FRSD system for rapid evaluation of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Citrus fruits. Food Chem. 172, 622-6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