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조건에 따른 유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8, 2015년, pp.1172 - 1179  

김재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명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서규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예슬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태동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영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단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신기해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오지원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국립생물자원관) ,  이진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종예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대원 (정선약초백화점)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근피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에탄올의 농도(0, 40, 80% 에탄올) 및 추출 시간(1, 2, 3시간)이 다른 조건에서 추출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ORAC value 등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로 3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에탄올 함량에 따른 활성 차이는 보였으나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ORAC는 유근피 추출물의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70^{\circ}C$에서 3시간 추출을 할 때 항산화 활성을 갖는 phenolic 및 flavonoid 계열의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유근피 80% 에탄올 3시간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와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졌으며, 3T3-L1 지방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감소하였다. 따라서 높은 항산화력을 가진 유근피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pplication of Ulmus pumila L. as a natural antioxidant. U. pumila L. was extracted using ethanol (EtOH) at various concentrations (0, 40, and 80%) and extraction times (1, 2, and 3 h) at $70^{\circ}C$ and then evaluated for ext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 mg/g sample)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유근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근피의 추출방법 및 느릅나무의 자생환경(일조량, 강수량, 토양 영양분 등)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상되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하지만 유근피를 기능성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추출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으며, 유근피의 추출용매 및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근피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유근피를 추출용매(0, 40, 80% 에탄올)와 추출시간(1, 2, 3시간)을 달리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연구하였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in vitro 항산화 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유근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관찰하였고, 3T3-L1 전지방세포에서 ROS 생성 저감 활성을 연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근피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00, 200 μg/mL 농도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따라서 유근피의 주요 항산화 활성은 flavonoid 및 phenolic 성분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산화 활성의 주요 성분인 flavonoid 및 phenolic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유근피를 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에탄올의 농도(0, 40, 80% 에탄올) 및 추출시간(1, 2, 3시간)이 다른 조건에서 추출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ORAC value 등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 are mean±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릅나무의 껍질을 부르는 이름은?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는 전국 각지에 자생하고 일본, 중국 등지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느릅나무의 껍질은 유백피(bark of Ulmus pumila L.)이고, 뿌리껍질은 유근피(root bark of U. pumila L.
활성산소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인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발생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생체 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손상 등을 유발시켜 암, 당뇨, 고혈압, 비만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활성산소종에는 superoxide anion(O2-),  ydrogen peroxide(H2O2), hydroxyl 라디칼(OH) 등이 있는데,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는 활성산소종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 propyl gallate(PG) 등을 사용하여 왔다. 
천연 항산화제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는 이유는 합성 항산화제의 어떤 부작용 때문인가? 그러나 많은 연구 결과들에서 이들 합성 항산화제가 암을 유발하거나 세포 내 독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4).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제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효능이 입증된 육상 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roge W. 2002.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2. Willcox JK, Ash SL, Catignani GL. 2004.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 Rev Food Sci Nutr 44:275-295. 

  3. Gardner PR,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the Escherichia coli aconitase. J Biol Chem 266: 19328-19333. 

  4. Cho ML, Lee DJ, Lee HS, Lee YJ, You SG. 2013. LPS-induced NO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four brown seaweeds. Ocean Sci J 48: 349-359. 

  5. Jo HJ, Kim JW, Yoon JA, Kim KI, Chung KH, Song BC, An JH.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flow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7:175-182. 

  6. Park JC, Yee ST. 2000. Functional food and bioactive constituents from oriental medicine resource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3): 27-37. 

  7. Kim KB, Jo BS, Park HJ, Park KT, An BJ, Ahn DH, Kim MU, Chae JW, Cho YJ. 2012. Healthy functional food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Ulmus pumila. Korean J Food Preserv 19: 909-918. 

  8. Lee EH, Park CW, Jung YJ. 2013. Anti-inflammatory and immune-modulating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extract on a macrophage cell line and immune cells in the mouse small intestine. J Ethnopharmacol 146:608-613. 

  9. Jung MJ, Heo SI, Wang MH. 2008. Free radical scavenging and total phenolic contents from methanolic extracts of Ulmus davidiana. Food Chem 108: 482-487. 

  10. Lee MK, Kim YC. 2001. Five novel neuroprotective triterpene ester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J Nat Prod 64: 328-331. 

  11. Yun JS, Pahk JW, Lee JS, Shin WC, Lee SY, Hong EK. 2011. Inonotus obliquus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and premature senescence. Mol Cells 31:423-429. 

  1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2-1-13. 

  13.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1. 

  14.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15. Stagos D, Portesis N, Spanou C, Mossialos D, Aligiannis N, Chaita E, Panagoulis C, Reri E, Skaltsounis L, Tsatsakis AM, Kouretas D. 2012. Correl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with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24 extracts from Greek domestic Lamiaceae species. Food Chem Toxicol 50: 4115-4124.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8.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 4437-4444. 

  19.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20.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1752-1761. 

  21.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N. 2006.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Biol Chem 28: 11205-11213. 

  22. Sa JH, Kim NS, Bae CM, Kim NY, Shim HY, Chun JM, Ko SH, Lee HH, Shin IC, Jeong KJ, Han KS. 2011.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plants marketed in Gangwon province. Rep Inst Health & Environ 22: 42-51. 

  23. Jeong KY, Kim ML.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mus pumila L.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9: 104-109. 

  24. Seo EJ, Hong ES, Choi MH, Kim KS, Lee SJ. 2012.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89-93. 

  25.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6. Kim SJ, Kweon DH, Lee JH.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84-588. 

  27. Feeney MJ. 2004. Fruits and the prevention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Clin Exp Pharmacol Physiol 31: S11-S13. 

  28. Bong JG, Park Y. 2010. Antioxidant effect of hederagenin 3-O-b-D-glucopyranosyl(1 $\rightarrow$ 3)-a-L-rhamnopyranosyl(1 $\rightarrow$ 2)-a-L-arabino pyranoside (HDL) isolated from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J Life Sci 20: 281-291. 

  29. Speisky H, Lopez-Alarcon C, Gomez M, Fuentes J, Sandoval-Acuna C. 2012. First web-based database on total phenolics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ruits produced and consumed within the south Andes region of South America. J Agric Food Chem 60: 8851-8859. 

  30.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4290-4302. 

  31. Lee OH, Kwon YI, Hong HD, Park CS, Lee BY, Kim YC. 2009.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70-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