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처리 및 수확 지연에 따른 콩 종실 특성 및 수량성 변화
Yield and Seed Quality Changes According to Delayed Harvest with Rainfall Treatment in Soybean (Glycine max 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5 no.4, 2020년, pp.353 - 364  

이인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서민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  박명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김남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이기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이유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김미향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이병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윤홍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주요 재배 콩 품종을 대상으로 수확 지연 시 강우에 따른 피해 양상 및 수확방법에 따른 종실 및 수량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품종별 탈립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원콩에서는 강우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 에서 40일 수확 지연 시 탈립률이 5.3% 증가하였으나, 풍산나물콩은 강우 무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에서 40일 수확 지연 시 41.8%까지 증가하였다. 2. 100립중은 강우처리 및 수확방법에 따라 수확이 지연될수록 입중이 미세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강우처리 후 포장 수확한 경우를 제외하고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 수량은 대원콩의 경우 강우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 할 경우 수량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적기 수확기 이후 40일 지연 수확할 경우 일당 평균 감수율은 0.8 kg ha-1, 풍산나물콩은 강우 무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에서 적기 수확기 이후 40일 지연 수확할 경우 일당 평균 감수율은 3.4 kg ha-1로 나타났다. 4. 강우처리 및 수확방법에 따른 이병립률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확 지연에 따라 이병률도 증가하였으며, 강우처리 및 포장 수확에서 이병률이 가장 높았고, 40일 지연 수확 시 대원콩은 7.0%, 풍산나물콩은 4.0%로 증가하였다. 5. 강우 무처리시 포장 수확 및 예취 후 비닐피복의 수확방법에 따른 차이는 적었으며, 수확이 지연되어도 95%이상의 발아율을 유지하였다. 강우처리 시 수확 지연에 따라 발아율은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포장 수확의 경우 40일 수확을 지연하면 대원콩은 77.2%, 풍산나물콩은 76.5%까지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6. 조단백질 함량은 시험 품종 모두 강우처리에 따라 무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방법에서도 예취 후 비닐피복에 비하여 포장 수확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조지방 함량은 강우를 처리할 경우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수확방법에서는 예취 후 비닐피복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7. 100립중은 개별 처리에 대한 효과가 적어 처리간 상호적용 효과가 적었으나, 이병립률 및 발아율은 처리간 상호작용 효과가 높았다. 8. 품종별 탈립률의 처리간 상호작용 효과는 수량의 상호작용 효과와 같은 양상을 나타내어, 탈립률이 수량에 가장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 Korea, soybean harvesting has been delayed due to rainfall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resulting in a reduction in yield and seed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yield and seed quality during delayed harvest with rainfall treatment using different harvesting...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주요 재배 콩 품종을 대상으로 수확 지연 시 강우에 따른 피해 양상 및 수확방법에 따른 종실 및 수량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최근 콩 재배시 이상 기상에 따라 수확이 지연되어 종실의 수량 및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 마련을 위하여 국내 주요 재배 품종을 대상으로 수확 지연 시 강우에 따른 피해 양상 및 수확 조건에 따른 종실 및 수량성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hor, T. J., V. P. Chimote, and M. P. Deshmukh. 2014. Inheritance of pod shattering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Electron. J. Plant Breed 5 : 671-676. 

  2. Butzen, S. 2013. Reducing harvest losses in soybeans. Field Facts. 9(18) : 1-2. 

  3. Dasson, S. and E. A. Kueneman. 1984. Screening methodology for resistance to field weathering of soybean seed. Crop Sci. 24 : 774-779. 

  4. Diniz, F. O., M. S. Reis, E. F. Araujo, L. A. Dias, T. Sediyama, and C. A. Bhering. 2013. Incidence of pathogens and field emergence of soybean seeds subjected to harvest delay. J. Seed Sci. 35(4) : 478-484. 

  5. Fehr, W. R. and C. E. Caviness. Stages of soybean development. 1977. IWSRBC. Special Report 80 : 1-12. 

  6. Gbikpi, P. J. and R. K. Crookston. 1981. Effect of flowering date on acumulation of dry mrtter and proteien in soybean seeds. Crop Sci. 21 : 652-655. 

  7. Jaureguy, L. M., F. L. Rodriguez, L. Zhang, P. Chen, K. Brye, D. Oosterhuis, A. Mauromoustakos, and J. R. Clark. 2013. Planting date and delayed harvest effects on soybean seed composition. Crop Sci. 53 : 2162-2175. 

  8. Kim, S. D., K. Y. Park, H. T. Yun, Y. H. Lee, S. H. Lee, Y. K. Seung, E. H. Park, Y. H. Hwang, and C. J. Ryu. 1998. A new soybean variety for soypaste with large seed and disease resistant "Daewonkong". RDA J. Crop Sci. 40 : 107-111. 

  9. Krober, O. A. and F. I. Collins. 1948. Effect of weather damag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s. J. Am. Oil Chem. Soc. 25 : 296-298. 

  10. Ma, T. and G. Zuazaga. 1942. Micro-Kjeldahl determination of nitrogen. A new indicator and an improved rapid method. Ind. Eng. Chem. Anal. 14(3) : 280-282. 

  11. McDonald, M. B. 1999. Seed deterioration: physiology, repair and assessment. Seed Science Technology 27: 177-237. 

  12. McKenzie, J. R. and T. D. Wyllie. 1971.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lesion size on the sporulation of Peronospora manshurica. Phytopathol. Z. 71 : 321-326. 

  13. Mondragon, R. L. and H. C. Potts. 1974. Field deterioration of soybeans as affected by environment. Proc. Assoc. Official. Seed Anal. 64 : 63-71.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15. Moore, R. P. 1974. Mechanism of water damage in mature soybean seed. Proc. Assoc. Off. Seed. Anal. 61 : 112-118. 

  16. Peluzio, J. M,. L. N. Ramo, R. R. Fidelis, and F. S. Afferri. 2008. Influence of the chemistry dessication and harvest delaying of the quality physiological of seed in soybean in south of the Tocantins state. Biosci. J. 24(2) : 77-82. 

  17. Philbrook, B. D. and E. S. Oplinger. 1989. Soybean Field losses as influenced by harvest delays. Agronomy Journal. 81(2) : 251-258. 

  18. Prine, G. M., S. H. West, and K. Hinson. 1964. Shattering, moisture content and seed temperature of soybeans as influenced by row direction. Agronomy Journal. 56(6) : 594-595. 

  19. Schuh, W. 1992. Effect of pod development stage, temperature, and pod wetness duration on the incidence of purple seed stain of soybeans. Phytopathology. 82(4) : 446- 451. 

  20. Suh, S. K., H. S. Kim, Y. J. Oh, K. H. Kim, S. K. Cho, Y. K. Kim, S. D. Kim, H. K. Park, M. S. Park, and S. Y. Cho. 1997. A new soybean variety for sprout with small seed and high yielding Pungsannamulkong. Korea Jounal of Breeding Science 29(4) : 503. 

  21. TeKrony, D. M., D. B. Egli, and A. D. Phillips. 1980. Effect of weathering on viavility and vigor of soybean seed. Agron. J. 72 : 749-753. 

  22. Takehiko, T. 1987. Physiological and genetic analysis of pod shattering in soybeans. J.A.R.Q. 21(3) : 166-175. 

  23. Tsukahara, R. Y., I. C. B. Fonseca, M. A. A. Silva, E. G. Kochinski, J. Prestes-Neto, and J. T. Suyama. 2016. Soybean yield as a consequence of harvest dela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Pesq. Agropec. Bras. 51(8) : 905-915. 

  24. Tukamuhabwa, D., K. E. Dashilell, P. Rubaihayo, and M. Nabasirye. 2002. Determination of field yield loss and effect of environment on pod shattering in soybean. African Crop Sci. J. 10(3) : 203-209. 

  25. Vaughan, D. A., R. L. Bernard, and J. B. Sinclair. 1989. Soybean seed quality in relation to days between development stage. Agron. J. 81 : 215-219. 

  26. Vergara, R., R. N. O. Silva, A. P. Nadal, G. I. Gadotti, T. Z. Amonde, and F. A. Villel. 2019. Harvest delay, storage and physiological quality of soybean seeds. Journal of Seed Sci. 41(4) : 506-513. 

  27. Wilcox, J. R., F. A. Laviolette, and K. L. Athow. 1974. Deterioration of soybean seed quality associated with delayed harvest. Plant Disease 58(2) : 130-133 . 

  28. Wolf, R. B., J. F. Cavins, R. Kleiman, and L. T. Black. 1982, Effect of temperature on soybean seed constituents: oil, protein, moisture, fatty Acids, amino acids and sugar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9(5) : 230-232. 

  29. Yaklich, R. W. 1985. Effect of aging on soluble oligosaccharide content in soybean seeds. Crop Sci. 25 : 701-704. 

  30. Yue, J., Y. F. Ma, and Q. Y. Gao. 2006. Pod shattering character in main soybean cultivars of Huang-Huai-Hai soybean region of China. Henan Agric. Sci. 35(6) : 56-59. 

  31. Zhang, Q., B. Tu, C. Liu, and X. Liu. 2018. Pod anatomy, morpology and dehiscing forces in pod dehiscence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Flora. 248 : 48-53. 

  32. Zarpelon, J., L. Molognoni, A. C. Valese, D. H. Ribeiro, and H. Daguer. 2016. Validation of an automated method for the analysis of fat content of dulce de leche. J. Food Com. Anal. 48 : 1-7. 

  33. Zuffo, A. M., J. A. M. Zuffo-junior, E. R. Carvalho, F. Steiner, and E.V. Zambiazzi. 2017. Physiological and enzymatic changes in soybean seeds submitted to harvest delay. Pesqui. Agropecu. Trop. 47(4) : 488-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