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해석을 이용한 지반 강성 산정 및 굴착 지지벽체의 변형 평가
Evaluation of Soil Stiffness and Excavation Support Wall Deformation at Deep Excavation Site Using Invers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1 no.12, 2020년, pp.5 - 10  

김태식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  정영훈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에 위치한 OO 깊은 굴착 현장을 대상으로 굴착에 따른 지반 물성값의 변화를 역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굴착 단계별로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해 예측한 굴착 지지 벽체의 수평방향 변위와 현장에서 지중경사계를 이용하여 계측한 값을 비교하여 지반의 강성을 업데이트하였다. 업데이트한 지반의 강성을 다음 굴착 단계에서 굴착 지지 벽체의 거동 예측에 사용하였다. Hardening Soil 모델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굴착 지지 벽체가 위치하는 지층을 역해석 대상 지층으로 선정하였고, 그 지층의 강성값을 역해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굴착 초기 단계의 지반의 강성값은 당초 설계에서 사용한 강성값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재역해석을 통해 산정한 지반의 강성값은 초기에 역해석으로 도출한 값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굴착 단계에 따라 적절한 지반의 강성값을 입력해야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해 정확한 굴착 지지 벽체의 변형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volution of soil engineering property values according to excav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inverse analysis for the OO deep excavation site located in Incheon. The stiffness of the ground was updated by comparing the horizontal wall deformation of the excavation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 굴착현장의 지반 변형 관리를 목표로, 비교적 단순한 구성 방정식을 사용하여 지반의 변형을 잘 모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역해석(Inverse analysis)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굴착 단계별로, 예측한 지반의 거동과 현장에서 계측한 값을 비교하여, 지반 정수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한 지반 정수를 다음 굴착 단계에서 굴착지지벽체의 거동 예측에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aspe, M. S. (1966), Surface settlement adjacent to braced open cut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Vol. 92, No. 4, pp. 51-59. 

  2. Clough, G. W. and O'Rourke T. D. (1990), Construction induced movements of insitu walls, Proceedings, Conference on design and performance of earth retaining structure,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25, ASCE, New York, pp. 439-470. 

  3. Finno, R. J. and Calvello, M. (2005), Supported excavations:Observational method and inverse modeling,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1, No. 7, pp. 826-836. 

  4. Finno, R. J. and Kim, T. (2012), Effects of stress path rotation angle on small strain response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8, No. 4, pp. 526-534. 

  5. Kim, T. and Finno, R. J. (2012), Anisotropy evolution and irrecoverable deformation in triaxial stress probe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8, No. 2, pp. 155-165. 

  6. Kim, T., Han, J-T. and Cho, W. (2015), Nonlinear stress-strain response of soft Chicago glacial clay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9, No. 4, pp. 1139-1149. 

  7. Koo, B. and Kim, T. (2017), Evaluation of soil parameters using adaptive management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8, No. 2, pp. 47-51. 

  8. Peck, R. B. (1969),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observational method in applied soil mechanics, Geotechnique, Vol. 19, No. 2, pp. 171-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