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름가자미 어업관리방안 평가를 위한 생물경제학적 분석 -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어업을 대상으로 -
A bioeconomic analysis on evaluation of management policies for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 In the case of eastern sea danish fisheries -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6 no.4, 2020년, pp.347 - 360  

최지훈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강희중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임정현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김도훈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ayesian state-space model was used for the stock assessment of the Blackfin flounder. In addition, effective measures for the resource management were presentedwith th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fisheries management pla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인 효과 분석에서는 생물학적 효과 및 사회경제학적 효과에 대한 향후 20년 후인 2038년 기름가자미의 자원량, 어획량 그리고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값 변화를 추정하고자 한다.
  • 기름가자미 어업별 어획비율이 가장 높은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과 그 다음으로 높은 연안자망을 대상으로 2015년 이전의 어획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2015년 이전의 기름가자미 어획량을 추정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 동안의 통계청(KOSIS, 2018)에서 수집된 지역(강원, 경북)별, 어업(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 연안자망)별 가자미류에서 기름가자미 차지하는 비율은 Table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더 나아가 Bayesian State-space 모델의 자원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기름가자미 어업관리방안(TAC, 어획노력량 저감)들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어업관리방안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생물경제모델(Bioeconomic model)을 사용하여, 기름가자미 어업관리방안들에 대한 생물학적 그리고 사회경제학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Davis, 2010; Holland, 2010; Kim, 2015; Choi, 2019).
  • 어업관리방안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생물경제모델(Bioeconomic model)을 사용하여, 기름가자미 어업관리방안들에 대한 생물학적 그리고 사회경제학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Davis, 2010; Holland, 2010; Kim, 2015; Choi, 2019).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한 어업관리방안별 최적의 자원 관리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평균 시장가격 4,701원 기준으로 변화율은 –30%에서 +30% 범위에서 변화 수준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하고자 한다. 또한 어업비용 변화에 따른 최소 어획량 수준을 추정해 보았다. 어업비용의 변화율은 –30%에서 +30% 범위에서 변화 수준을 설정하였다.
  • 마지막으로 기름가자미 시장가격 및 어업비용 변화에 따른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의 어업수익이 영(0)이 되는 최소 어획량 수준을 분석하여, 향후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의 기름가자미의 TAC 설정을 대비한 정책적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름가자미의 효과적인 어업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고, 과정오차와 관측오차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Bayesian State-space 모델 사용하여 기름가자미의 자원상태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생물경제모델을 활용하여 어업관리방안들에 대한 효과 분석하였다.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름가자미 어획 비율이 가장 큰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수산자원회복대상종 중의 하나인 기름가자미의 자원회복 및 관리를 위해 현재 국외 및 국제수산 기구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하와이 바다거북, 대서양 흉상어, 남대서양 날개다랑어 자원평가에 적용되어 분석되고 있는 Bayesian State-space 모델을 활용하여 기름가자미의 자원상태를 평가 하고자 한다(Millar and Meyer, 2000b; McAllister et al., 2001; Chaloupka and Balazs, 2007; McAllister, 2014; Winker et al., 2018; ICCAT, 2018).
  • 현재 국제 사회에서는 WTO 수산보조금 현상이 진행 중이고, 인건비, 유류비 등 각종 비용요소들의 가격 변화현상이 향후 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어업비용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어업비용 변화에 따른 최소 어획량 수준을 추정해 보았다. 어업비용의 변화율은 –30%에서 +30% 범위에서 변화 수준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우선 모수에 대한 사전분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전분포에 대하여 내적 성장률(r)과 환경수용력(K)에 대해서는 정보적 사전분포(informative prior distribution)를 가정하였다. r의 경우 로그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 설정하였으며, K의 경우 역로그정규분포로(inverse-lognormal distribution) 설정하였다.
  • 잉여생산량 모델에서는 통상적으로 어획능률과 자원량의 관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Hdaaon, 2010). 이에 따라, 어획량(Cy)을 어획노력량(Ey)으로 나누면 식 (6)과 같은 단위노력당어획량(Iy)을 구할 수 있고, 자원량(By)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Bayesian 추론은 관측된 자료와 모수 모두에 확률 모형을 사용하여 추론하는 방법으로 Bayesian 추론을 위해 식 (2)와 (6)의 함수를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추정에서 오차는 로그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표본추출의 과정에서 생물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원량(By)을 K에 대한 자원량의 비율 (Py = By/k)로 재구성하여 추정하였다(Millar and Meyer, 2000a).
  • 효과분석 기간을 20년간 설정한 이유는 분석기간을 10년간 하였을 경우 현재 상태의 자원량 및 NPV값의 크게 변동이 없어 향후 20년 후로 설정하였다. 현재가치 환산을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는 예비타당성조사의 총괄지침에 따른 사회적 이자율은 4.5% 가정하였다. 즉, 향후 20년간 발생할 연간어업이익을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olker BM. 2008. Ecological models and data in 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3-242. 

  2. Chaloupka M, Balazs G .2007. Using Bayesian state-space modelling to assess the recovery and harvest potential of the Hawaiian green sea turtle stock. Ecol Mmodel 205, 93-109. 

  3. Choi JH, Choi WH and Kim DH. 2016. A bioeconomic analysis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fisheries management. Korean J Fish Technol 52, 394-402. https://doi.org/10.3796/KSFT.2016.52.4.394. 

  4. Choi MJ, Kim DH and Choi JH. 2019. Comparing surplus production models for analyzing potential yield of fishery resources in West sea,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55, 206-216. http://dx.doi.org/10.3796/KSFOT.2019.55.3.206. 

  5. Davis JC. 2010. Rebuilding fisheries : Challenges for fisheries managers, The Economics of Rebuilding Fisheries Workshop Proceedings, OECD. 31-43. 

  6. FAO. 2018.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www.fao.org/3/i9540en/i9540en.pdf. Accessed 27 Feb 2019. 

  7.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2018. Fishery Production Statistics. Fishing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fips.go.kr/. Accessed 17 Oct 2019. 

  8. Fox and WW JR. 1970. An exponential surplus-yield model for optimizing exploited fish popula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99, 80-88. 

  9. Gilks WR and Wild P. 1992. Adaptive rejection sampling for Gibbs sampling. Applied Statistics, 337-348. 

  10. Haddon M. 2010. Modelling and quantitative methods in fisheries. CRC press, 1-435 

  11. Holland D. 2010. Economic considerations and methods for evaluating fishery rebuilding strategies, The Economics of Rebuilding Fisheries Workshop Proceedings, OECD. 95-111 

  12. ICCAT. 2008. Report of the standing committee on research and statistics (SCRS). Retrieved from https://www.iccat.int/com2018/ENG/PLE_104_ENG.pdf. Accessed 27 Feb 2019. 

  13. Kim D.H. 2015. Evaluating the TAC policy in the sandfish stock rebuilding plan. J Fish Bus Adm 46, 29-39. 

  14.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18. Coastal Fisheries Survey Report, FIRA-ER-18-045, Busan, Korea, 99-100. 

  15. KOSIS. 2018. Fishery produc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kosis.kr. Accessed 22 Feb 2019. 

  16. Lunn DJ, Thomas A, Best N, and Spiegelhalter D. 2000. WinBUGS-a Bayesian modelling framework: concepts, structure, and extensibility. Statistics and computing 10, 325-337. 

  17. McAllister MK, Pikitch EK, and Babcock EA. 2001. Using demographic methods to construct Bayesian priors for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in the Schaefer model and implications for stock rebuilding.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8, 1871-1890. 

  18. McAllister M. 2014. A generalized Bayesian surplus production stock assessment software (BSP2). Collect Vol Sci Pap ICCAT 70, 1725-1757. 

  19. Millar RB and Meyer R. 2000a. Bayesian state-space modeling of age-structured data: fitting a model is just the beginning. Can J Fish Aquat Sci 57, 43-50. 

  20. Millar RB and Meyer R. 2000b. Non-linear state space modelling of fisheries biomass dynamics by using Metropolis-Hastings within-Gibbs sampling.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Applied Statistics) 49, 327-342. 

  21.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Fisheries Production Statistic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ccessed 17 Oct 2019. 

  22.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Fisheries Production Statistic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ccessed 17 Oct 2019. 

  23. Neal RM. 1997.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s based onslicing' the density function.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Toronto, Cananda, 1-27. 

  24. NIFS. 2019. Resource status of 2019 and restorationrecommendation of fisheries resources in 2020.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Gijang, 175. 

  25. Pella JJ and Tomlinson PK. 1969. A generalized stock production model.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etin 13, 416-497. 

  26. Schaefer and MB. 1954.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etin 1, 23-56. 

  27. Sohn MH, Yang JH, Park JH, Lee HW, Choi YM and Lee JB. 2013. Stock Assessment and Optimal Catch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in the East Sea,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46, 598-606. https://doi.org/10.5657/KFAS.2013.0598. 

  28. Spiegelhalter D, Thomas A, Best and Lunn D. 2003. WinBUGS user manual, version 1.4. Medical Research Council Biostatistics Unit, Cambridge, 60. 

  29. Winker H, Carvalho F, Kapur M. 2018. JABBA: just another bayesian biomass assessment. Fisher Res 204, 275-2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