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고미술과 미술공예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Canon in Korean Crafts: Antiques and Art Craft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3, 2020년, pp.128 - 141  

노유니아 (일본학술진흥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와 일련의 사업을 통해 한국에 미술공예 개념이 수용된 과정과 그 과정에서 성립된 공예의 전통과 캐논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고적 및 유물 보존규칙」과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보존령」의 제정을 통해 법률상으로 제시된 공예는, 조형물을 만들어낸 정교하고 뛰어난 기술, 더 나아가 회화, 조각과 같은 미술의 한 장르를 의미했다. 이왕가박물관과 총독부박물관은 미술공예라는 용어를 대중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고, 여기에 전시된 공예는 과거의 전통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였다. 이와 같이 공예라는 용어는 고미술을 가리킬 때 빈번히 사용되었고, 구체적으로는 법률상의 보물로 지정되거나 박물관에 전시되어 지키고 보존해야 할 전통이 되었다. 공예의 전통과 캐논이 성립되자 당대에 제작되는 공예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일련의 과정에는 일본의 문화 정책과 제국적 취향이 절대적으로 작용했다. 일반적으로 근대기에 성립된 공예 개념은 산업으로서의 공예와 미술로서의 공예, 두 가지로 구분되어 왔으나, 미술로서의 공예라는 개념 안에도 여러 층위가 존재했다. 캐논이 된 고미술은 동시대 제작의 준거가 되었으며, 실제로는 동시대에 제작되던 공예의 양상도 모두 같지 않았다. 이제까지 일괄적으로 논의되던 미술공예 개념을 세분화하는 작업이 공예에 있어서 '만들어진 전통'과 근대기 공예계의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Korea's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Art Craft through research on ancient remains and relices (朝鮮古蹟調査) and a series of projects undertak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traditions and canons of craft established in the process. Crafts defin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3)

  1. 朝鮮總督府官報 

  2. 皇城新聞 

  3. 李王職, 1912, 李王家博物館所?品??帖(上,下), 李王職 

  4. 李王職, 1918, 李王家博物館所?品??帖(上,中,下), 李王職 

  5. 李王職, 1938, 李王家美術館要覽, 李王職 

  6. 朝鮮總督府, 1915-1935, 朝鮮古蹟圖譜(一-十五) 

  7. 朝鮮總督府, 1926-1943, 總督府博物館陳列品圖鑑(第一輯-第十七輯) 

  8. 朝鮮總督府, 1936. 博物館略案? 

  9. 朝鮮總督府博物館, 1926-1933, 博物館報(第一?-第四?) 

  10. 한결, 景福宮 博物館을 보고서, 동명 제39호, 1923.5 및 제40호, 1923.6 

  11. 小泉?夫, 朝鮮博物館見學旅日記, ドルメン, 岡書院, 1933.4 

  12. 국성하, 2003, 일제강점기 박물관의 교육적 의미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13. 노유니아, 2014, 조선미술전람회 공예부의 개설과정에 대한 고찰, 美術史論壇 38, pp.93-123 

  14. 노유니아, 2019, 서구를 향한 일본미술 선전-독자성과 오리엔탈리즘, 일본비평 11,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pp.100-121 

  15. 오세탁, 1996, 일제(日帝)의 문화재정책: 그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문화재 29, 국립문화재연구소, pp.248-268 

  16. 이현일.이명희, 2014,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로 본 일제강점기 문화재 등록과 지정, 미술자료 85, 국립중앙박물관, pp.95-111 

  17. 최공호, 1994, 한국 근대 공예의 이원구조, 그 형성과 전개, 미술사학 8,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p.71-101 

  18. 최공호, 2003, '工藝' 용어의 근대적 개념 전개, 미술사학 17,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p.133-158 

  19. 최공호, 2008, 한국근대공예사론 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미술문화 

  20. 최공호, 2011, 공예, 모던의 선택과 문명적 성찰: 용어 사용 이후의 위기와 어젠더,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pp.23-35 

  21. 東京?立博物館 編, 1973, 東京?立博物館百年史, 東京?立博物館 

  22. 文化?, 2001, 文化財保護法五十年史, ぎょうせい 

  23. 佐藤道信, 2017, 美術史の?組み, ?際シンポジウム日本における美術?念の再構築記?集編集委員? 編, 美術?念の再構築(アップデイト)-分類の時代の終わりに, ブリュッケ, pp.59-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