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금동관의 원형과 의미
The Original Form and Meaning of the Gilt Bronzed Crown in Naju Bogam-ri Jeongchon Tombs (NBJ)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3, 2020년, pp.202 - 223  

이건용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초록

본고는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 목관3의 동쪽에서 출토된 금동장식 편의 원형을 찾는 것이다. 금동장식 편은 모두 작은 편으로, 크기 3cm 이내, 두께 0.2cm 내외로 19개 이상의 소량만 확인되었다. 각 금동장식 편에서는 원형의 투공과 원형의 타출[볼록 장식], 잎사귀 모양의 영락, 영락을 달기 위한 2개의 작은 구멍과 금동실, 용도 미상 2개의 작은 구멍, 0.05cm 정도 크기의 연속되는 점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금동장식 편의 특징을 분류한 결과 3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금동장식 편을 대관, 모관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에서 출토된 금동장식 편은 대관의 일부분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금동장식 편의 1유형과 3유형은 대관의 관테, 2유형은 대관 세움장식의 일부로 판별하였다. 앞의 결과를 바탕으로 나주 복암리 1호 석실 금동제 대관에 대해 2가지 복원 형태를 제안하였다. 첫째 복원 안은 관테 위아래 장식으로 파도 모양의 점열, 가운데 장식은 영락, 원형 타출과 영락, 원형 투조가 있는 것이다. 둘째 복원 안은 첫째 안의 가운데 장식 중에 원형 타출이 1열 추가된 것이다. 동일한 형태의 세움장식은 소창(小倉)collection 대관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었으나, 관 전체의 구성이나 형태는 전혀 달랐다. 한편, 관테에서 보이는 용도 미상의 작은 구멍의 용도에 대해서는 유기물 모자를 관테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추정하였다. 복원된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의 금동관은 원형 투공 등의 특징으로 보아 다른 삼국시대의 대관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다. 기존의 가야, 마한·백제권 대관은 신라권의 균일한 형태의 대관과 다르게 각 지역마다 독특한 형태와 장식이 특징이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에서 출토된 금동관도 이러한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 of the gilt-bronze ornamental pieces unearthed from the east part of the third wooden coffin in the Naju Bogam-ri Jeongchon (NBJ) tombs. The gilt-bronze ornamental pieces were all small, measuring less than 3cm in size and about 0.2cm in ...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8)

  1.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7, 羅州 伏岩里 丁村古墳 

  2. 국립중앙박물관, 2010, 황금의 나라 신라 왕릉 황남대총 

  3. 국립공주박물관, 2010, 百濟의 冠 

  4. 김기웅, 1979, 伽倻의 冠帽에 對하여, 문화재12, 국립문화재연구소 

  5. 김낙중, 2009, 영산강유역정치체와 백제왕권의 관계변화(금속제복식유물을 중심으로), 백제연구 5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6. 김재열, 2010, 5-6세기 신라 慶山地域 政治體의 冠, 신라사학보 20, 신라사학회 

  7. 박윤미, 2009, 백제 관모에 사용된 직물 연구, 복식 59-3, 한국복식학회 

  8. 이귀영, 2010, 백제 금속공예 제작기법의 전개양상, 백제학보 2, 백제학회 

  9. 이진우, 2017, 기법을 통해서 본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계통,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재조명, 국립나주박물관 

  10. 이현상, 2018, 백제 금동관 원형복원을 위한 비교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 한국 조형디자인협회 

  11. 이현상, 2018, 백제 한성기 금공품 제작기술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박사학위 논문 

  12. 이혜연, 2019,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출토 소환두도의 재료학적 특성, 문화재 제52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3. 임영진, 2020. 삼국시대 영산강유역권 금동 위세품의 역사적 성격, 백제학보, 31, 백제학회 

  14. 전용일, 2006, 금속공예기법, 미술문화 

  15. 정광용 외 2인, 2006, 서산 부장리 백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 연구, 문화재 39, 국립문화재연구소 

  16. 함순섭, 2000, 신라 수지형대관의 퇴화형식 설정, 동원학술논문집 3,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7. 高田貫太, 2017, 관을 둘러싼 백제.영산강유역과 왜의 교섭에 관한 예찰,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재조명, 국립나주박물관 

  18. 高田貫太, 2019, 신덕고분 출토 금동관모와 식리, 함평 예덕리 고분군 사적 지정 추진 국제학술대회, 국립광주박물관.대한문화재연구원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