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주 정촌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과 특징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n the Glass Bead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of Jeongchon in Naju,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2, 2018년, pp.119 - 128  

윤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나주 정촌 고분군 1호 석실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편 19점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관찰과 화학 조성 분석을 통해 재질 및 특성을 밝히고, 이를 기초로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과 비교함으로써 마한 백제권에서 나타나는 고대 유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촌 고분군의 유리구슬은 감청색, 옅은 감청색, 벽색, 녹색, 감청색과 자색의 혼합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늘인 기법과 주조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복암리 3호분도 청색계 위주로 두 고분군에서는 모두 적색계 유리가 출토되지 않았다. 화학 조성에 따른 분류에서 정촌 고분군과 복암리 고분군에서는 공통적으로 소다유리군과 포타쉬유리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밖에 정촌 고분군에서는 알칼리혼합유리군, 복암리 고분군에서는 납바륨유리군이 확인되었다. 두 고분군의 유리 문화를 살펴보면 나주 정촌 고분군에 비하여 복암리 3호분이 색상별로 다양한 유형의 특성을 지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ealed the mater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19 glass fragments excavated from stone chamber No. 1 of Jeongchon Tomb in Naju through chemical composition analyses and observations.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fragments excavated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나주시 정촌 고분군의 석실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편 19점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관찰과 화학 조성 분석을 하였다. 재질 및 특성을 기초로 동일 유적권인 나주 복암리 3호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마한 ·백제권에서 나타나는 고대 유리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나주 정촌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편 19점에 대하여 유리구슬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고, 내부 화학 조성을 분석하여 출토 유리 유물의 재료학적 특징을 밝혀내며,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과 비교·고찰하여 마한·백제권에서 나타나는 고대 유리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재질 및 특성을 기초로 동일 유적권인 나주 복암리 3호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마한 ·백제권에서 나타나는 고대 유리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주 정촌 고분군 유리구슬은 어떤 색상을 띄는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나주 정촌 고분군 유리구슬의 색상은 감청색, 옅은 감청색, 녹색, 벽색, 감청색과 자색의 혼합색으로 대부분 청색계로 구분된다. 크기는 감청색 환옥이 중형으로 소형인 다른 색상에 비하여 크다.
나주 정촌 고분군과 나주 복암리 3호분의 유리구슬이 가지는 공통점은 무엇인가? ,2001). 특히 두 고분군 모두 청색계 유리구슬이 주요 색상을 이루고 있으며, 적색계 유리가 출토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나주 정촌 고분군의 유리구슬은 어떤 방법으로 제작되었나? 본 연구는 나주 정촌 고분군 1호 석실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편 19점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관찰과 화학 조성 분석을 통해 재질 및 특성을 밝히고, 이를 기초로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과 비교함으로써 마한 백제권에서 나타나는 고대 유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촌 고분군의 유리구슬은 감청색, 옅은 감청색, 벽색, 녹색, 감청색과 자색의 혼합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늘인 기법과 주조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복암리 3호분도 청색계 위주로 두 고분군에서는 모두 적색계 유리가 출토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okcheon Museum, 2013, The world of ancient bead. 95-99. (in Korean) 

  2. Goffer, Z., 1980, Archaeolog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New York, 136-166. 

  3. Kim, G.H., Huh, W.Y., Lee, O.H. and Kang, H.T., 2001, Composition analysis of glass materials at the remains in Bogam, Naju, No.3 Tomb of Bogam-ri in Naju(Analysi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99-115. (in Korean) 

  4. Kim, G.H., 2002, A study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ancient glasses found in Korea.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M.R. and Kim, S.O., 2013, Jade culture of Mahan, A study on the ancient beads culture in Korea. 207-251. (in Korean) 

  6. Kim, N.Y., 2013, An investiga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n alkali glass beads at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Docto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158-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N.Y. and Kim, G.H., 2015,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classification on potash glass beads excavated i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3), 255-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ezuka, T. and Yamasaki, K., 1995,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a historical survey-. Glass Archeometry, Proceedings of XVII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Chinese Ceramic Society, Beijing, October 9-14, 469-474. 

  9. Lee, I.S., 1993, Ancient glass in Korea. Baeksan Munhwa, 5-13. (in Korean) 

  10.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Tombs of Jeongchon in Naju Bogam-ri. 2-4. (in Korean) 

  11.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7, The ancient tomb in Jeongchon Village, Bogam-ri in Naju. 555-5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ewton, R. and Davison, S., 1989, Conservation of glass. Butterworths, London, 135-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