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의 비파괴 재질 분석과 국가지정 측우대와의 비교
Non-Destructive Material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deok Palace "Chugudae" and National Designated "Chugudae"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3, 2020년, pp.244 - 257  

안유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유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는 제작 연대를 알 수 있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높다. 그러나 국가지정 측우대에 대한 과학적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며, 보다 정밀한 분석과 보존과학적 고찰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화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밀 육안 관찰을 통한 암석기재적 특징 조사, 휴대용 X-선 형광 분석, 전암대자율, 감마스펙트로미터 등의 비파괴 분석을 수행하였다.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의 암석기재적 특징 분석 결과, 대리암으로 동정되었다. P-XRF 분석 결과를 GSJ Reference Samples(JLs-1, JDo-1)의 측정값과 비교한 결과, 백운암질 대리암으로 판단된다. 국가지정 측우대(국보 제330호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보물 제843호 관상감 측우대, 보물 제1652호 통영 측우대)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반화강암, 관상감 측우대는 중립-조립질 담홍색 흑운모화강암으로 동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의 구성 암석이 유일하게 대리암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 사례를 참고할 때, 경복궁 근정전 품계석 중 동반의 정1품 품계석,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의 구성 암석은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와 동일한 재질인 백운암질 대리암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에는 신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재료가 구분되므로, 대리암은 시대적인 배경에서 신분적인 특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해석된다. 또한 왕실에 의해 제작된 대리암 문화재들이 백운암질 대리암과 연관되는 경향을 고려할 때 특정 암종을 선택적으로 수급하였을 가능성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e-designated rain gauge pedestals, including a rain gauge support, were installed in front of the "Imunwon" at Changdeok Palace, made from various rock types. Some of those pedestals provide exact information on their production dates. These rain gauge pedestals are highly valuable as scientific...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34)

  1. 국립고궁박물관, 2020, www.gogung.go.kr. 문화재 상세정보 

  2. 국립중앙과학관, 2018, 전시품(통영측우대) 보완. 세계유산연구원. pp.1-97 

  3. 김지영, 조영훈, 이찬희, 2013, 경복궁 석조조형물의 재질 및 손상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29(4), pp.407-420 

  4. 김지영, 이명성, 이찬희, 2013, 서울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의 암석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자원환경지질, 46(2), pp.93-104 

  5. 김훈래, 2013,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연구: 건립 시기와 층수 추론, 미술사와 문화유산, 2, pp.77-113 

  6. 나일성, 2000,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p.245 

  7. 도진영, 조현구, 2013, 탄산염질 암석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의 산성비에 의한 손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26(4), pp.273-283 

  8. 박준형, 이찬희, 최기은, 2017, 백제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의 재질 및 표면손상 특성, 보존과학회지, 33(4), pp.241-254 

  9. 신대현, 2002, 朝鮮時代 玉器 ?究: 朝鮮王朝實錄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문화사학, 18, pp.199-232 

  10. 유강민, 우경식, 2002, 퇴적암석학. 한국학술정보, p.216 

  11. 유지현, 이명성, 최명주, 안유빈, 김유리, 2018,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의 재질특성과 비파괴 훼손도 평가 ,암석학회지, 27(4), pp.207-222. 

  12. 이명성, 김지영, 이찬희, 김영택, 한병일, 2013, 서울 홍지문 오간수문의 암석기재적 분석과 손상도 평가 및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29(1), pp.1-14. 

  13. 이명성, 유지현, 김지영, 2018, 청와대 소재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의 암석학적 비파괴분석을 통한 산지해석, 지질학회지, 54(5), pp.567-578 

  14. 이명성, 최명주, 유지현, 안유빈, 2019,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재질 분석과 표면상태 변화 모니터링, 암석학회지, 28(4), pp.227-236 

  15.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2003, 불국사 다보탑의 암석학적 특징과 보존과학적 진단, 지질학회지, 39(3), pp.319-335 

  16. 이찬희, 박준형, 2019,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왕조 옥책의 암석학적 특징과 산지검토, 자원환경지질, 52(5), pp.485-497 

  17. 임종태, 2015, 조선 후기 우량 측정의 정치: 영.정조 대의 농업 행정, 기우제, 그리고 측우기, 역사학보, 225, pp.89-126 

  18. 전상운, 1963, 李朝時代における降雨量測定法について, 科學史硏究, 66, pp.51-55 

  19. 전상운, 1974, 農業氣象學과 測雨器, 世代, 127, pp.302-307 

  20. 전상운, 김정삼, 김정흠, 나일성, 남천우, 박성래, 박익수, 박흥수, 유경로, 이은성, 이태녕, 송상용, 1984,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 한국과학사학회지, 6(1), pp.58-118 

  21. 전유근, 이명성, 김유리, 이선명, 임보아, 2016,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표면오염물 형성과정, 보존과학회지, 32(3), pp.365-375 

  22. 전태일, 이단, 전영신, 2011, 창덕궁 측우대에 새긴 '측우기명' 연구: 澈齋眞蹟을 중심으로, 대기, 21(4), pp.455-469 

  23. 조영훈, 이찬희, 2015, 한양도성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한 고문헌 분석 및 암석학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암석학회지, 24(3), pp.193-207 

  24. 조하만, 김상원, 전영신, 박혜영, 강우정, 2015, 조선시대 측우기 등장과 강우량 관측망에 대한 역사적 고찰, 대기, 25(4), pp.719-734 

  25. 좌용주, 김건기, 고석배, 김종선, 2006,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암석학회지, 15(3), pp.128-138 

  26. 하정남, 2002, 조선초기 기우제의 성격 변화, 청람사학, 6, p.110 

  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28, 대율 도폭 설명서, p.21 

  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 경산 도폭 설명서, pp.14-16 

  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 안양 도폭 설명서, pp.7-8 

  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2, 서울 도폭 설명서, pp.7-9 

  31. 한상복, 2007, 1500년대 측우기록과 1770년 이후 서울 월강수량 시계열자료, 2007년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504-505 

  32. 和田雄治, 1912, 世宗英祖 兩代の 測雨器. 朝鮮古代 觀測記錄調査報告, pp.1-7 

  33. Scoffin, T. P., 1987, An Introduction to cardonate Sediments and Rocks, Blackie, New York, p.274 

  34. Skippen, G., Trommsdorff, V., 1986, The influence of NaCl and KCl on phase relations in metamorphosed carbonate rock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86(2), pp.8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