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자료와 CFD 모델을 이용한 수원시 지표 바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Wind Characteristics in Suwon City Using a GIS Data and a CFD Model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6 pt.2, 2021년, pp.1837 - 1847  

강건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김민지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강정은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양민준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석환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강은하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김재진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수원시 전역을 대상으로 바람길을 조사하였다. 최근 10년간 수원 종관기상관측소(ASOS 119)에서 측정한 평균 풍속을 이용하여 16방위의 유입 풍향에 대한 수치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원시는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하고, 수원시 서부와 남부에는 장애물이 적은 농경지와 호수 평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수원시 중부에는 낮은 산과 언덕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고, 넓은 도로들과 하천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서풍(주풍)과 동풍(평균 풍속이 강한 풍향) 경우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16방위 풍향 빈도수를 가중치로 사용하여 평균한 풍속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원시의 상세 바람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수원 북부 지역은 높은 산악 지형에 의해 복잡한 흐름이 형성되었고, 풍상측(풍하측) 산사면에서 강한(약한) 바람과 상승(하강)기류가 모의되었다. (2) 풍하측 산사면에서는 골짜기를 따라 바람길이 형성되어 주거지역으로 비교적 강한 기류가 유입되었다. (3) 강풍 지역이 수원 서부와 남부의 장애물이 없는 넓은 지역에서 모의되었다. (4) 도심지에서는 건물에 의한 마찰과 흐름 차단으로 인해 풍속이 감소하고 복잡한 흐름장이 형성되었다. 도심지 주거 지역의 바람길은 넓은 도로와 하천, 호수, 저수지 등 장애물이 적은 지역을 따라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ind corridors for the entire Suwon-city area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We conducted numerical simulations for 16 inflow wind directions using the average wind speeds measured at the Suwon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도시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최근 10년간 수원 종관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지상 기상 자료를 기반으로 수원시 전역의 바람길을 조사하고 평균적인 풍속 분포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의 건물과 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수원시 전역에 대한 지표면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astro, I.P. and D.D. Apsley, 1997. Flow and dispersion over topography: a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and laboratory data for two-dimensional flows, Atmospheric Environment, 31(6): 839-850. 

  2. Eum, J.H, 2019. Foreign Cases of Fine Dust Reduction Using Wind Corridor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Sejong, Korea, pp. 1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Eum, J.H., J.H. Oh, J.M. Son, K. Kim, J.B. Baek, and C. Yi, 2019. Analysis Schemes of Wind Ventilation Forest Types-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4): 1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G., J.-J. Kim, and J.-B. Lee, 2020.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buildings and topography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ir pollutants in a building-congested distric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1): 139-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9. A Study on Integration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Planning to Mitigate Particulate Matter: Focusing on Ventilation Corridor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Sejong, KOR (in Korean). 

  6. Kwa, S.M. and S.M. Salim, 2015. Numerical Simulation of Dispersion in an Urban Street Canyon: Comparison between Steady and Fluctuating Boundary Conditions, Engineering Letters, 23(1): 55-64. 

  7. Kwon, Y.-S. and Y.-J. Ahn, 2020. Political Effects of Countermeasures Against Heat Wave Using System Dynamics Method: Case Study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106: 41-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Patankar, S.V., 1980. Numerical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McGraw-Hill, New York, NY, USA, p. 197. 

  9. Versteeg, H.K. and W. Malalasekera, 1995. An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he Finite Volume Method,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New York, NY, USA, p. 257. 

  10. Yakhot, V., S.A. Orszag, S. Thangam, T.B. Gatski, and C.G. Speziale, 1992. Development of turbulence models for shear flows by a double expansion technique, Physics of Fluids A: Fluid Dynamics, 4(7): 1510-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