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자료와 지상측정 기상·미세먼지 자료에 기반한 수원시 지역의 도시대기환경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 Suwon Based on GIS Data and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and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6 pt.2, 2021년, pp.1849 - 1858  

왕장운 (부경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  한상철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문다솜 (부경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  양민준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석환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강은하 (수원시정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김재진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수원시 내에서 측정한 기상과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연별 기상과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고, 수원시 미세먼지 농도(PM10, PM2.5)와 기상 인자(풍속, 기온), 도시공간정보(건물부피비, 도로면적비)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도시대기측정소의 도시공간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과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고도 정보와 세분류 토지피복자료의 도로 정보를 이용하였고, 도시대기측정소를 중심으로 2 km×2 km 영역의 건물 부피와 도로면적을 계산하였다. 기상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원시는 주로 서풍과 서북서풍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평균풍속은 봄철에 높았다. 미세먼지 농도는 여름철(7월~9월)에 낮았고 봄철과 겨울철에 비교적 높았다. 연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2020년에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았다. 측정 미세먼지 농도는 풍속과 기온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기온과 PM2.5 농도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6개 도시대기측정소의 PM10, PM2.5 평균 농도와 도시매개수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PM10 농도는 도로 배출이나 건물에 의한 지상 풍속 감소의 영향보다는 외부로부터의 유입 영향을 더 크게 받았고, PM2.5 농도는 국지적 배출이나 건물에 의한 풍속 감소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monthly and annual trends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wind speeds and directions and air temperatures) measured at an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and fine particl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AQMSs) in Suwon. In ad...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구축한 수원시 건물정보와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도시대기측정소와 도로변대기측정소를 중심으로 수평 2 km×2 km 영역에 대한 도로 면적비, 수평 2 km×2 km 영역과 연직 150 m의 높이의 공간에 대해 건물이 차지하는 부피비를 계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지점의 기상 측정소와 8지점의 도시 대기측정소 자료를 사용하여 수원시 내의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도시매개수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지점 수의 한계 때문에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대상 데이터

  • 도심지를 중심 으로 서쪽과 남쪽에는 농경지(평지)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내에 위치한 도시 대기측정소와 도로변대기측정소 주변의 도시매개수 (건물 부피비, 도로 면적비 등)와 미세먼지 농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층고 정보와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 서 제공하는 세분류 토지피복자료(Fig. 1(b))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hadur, R., G. Habib, and L.M. Russell, 2009. Climatology of PM 2.5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from a review of ground-based atmospheric measurments by evolved gas analysis, Atmospheric Environment, 43: 1591-1602. 

  2. Brunelli, U., V. Piazza, L. Pignato, F. Sorbello, and S. Vitabile, 2007. Two-days ahead prediction of daily maximum concentrations of SO 2 , O 3 , PM 10 , NO 2 2, CO in the urban area of Palermo, Italy, Atmospheric Environment, 41: 2967-2995. 

  3. Choi, J.K., I.S. Choi, K.K. Cho, and S.H. Lee, 2020. Harmfulness of Particulate Matter in Disease Progressio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30(2): 191-2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M.S. and S.O. Beak, 2016. Statistical Analysis of PM 10 and Meteorological Data in Pohang, a Steel-Industrial C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32(3): 329-3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Eo, S.M., K.J. Kim, and K.N. Lee, 1997. The Influence of Climatic Conditions on Air Pollution in Seoul,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23(4): 104-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Y.J., S.J. Lee, H.S. Do, Y.K. Lee, T.J. Son, T.G. Kwon, J.W. Han, D.H. Kang, and J.W. Kim, 2009. The Analysis of PM Concentration and the Evaluation of Influences by Meteorological Factors in Ambient Air of Daegu A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25(5): 459-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eong, H.R., J.Y. Choi, and K.T. Ra, 2020.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Pollution in Road Dust from Urban Areas: Comparison by Land Use,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3(2): 101-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u, J.H. and I.J. Hwang, 2011. A Study for Spatial Distribution of Principal Pollutants in Deagu Area Using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Dat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27(5): 545-5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J.E., D.S. Moon, J.J. Kim, J.Y. Choi, J.B. Lee, and D.G. Lee, 2021.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M 2.5 , PM 10 and O 3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3): 657-6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C.H., I.S. Park, S.J. Lee, J.S. Kim, H.A. Jin, and H.K. Sung, 2002. On the Recent Air Pollution Levels Observed in the Regional Air Monitoring Network - High Air Pollution Concentration Episodes and Their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2002,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20(2): 215-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H.J. and M.J. Jun, 2014.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Urb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Air Pollution lev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7): 151-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M.K., W.S. Jung, and H.W. Lee, 2015. The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Urban Atmospheric Environment Map for Analysis of Atmospheric Environ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6): 807-8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S.J., S.J. Kim, M.K. Park, I.G. Cho, H.Y. Lee, and S.D. Choi, 2018.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Hazardous Air Pollutants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of Ulsa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1(4): 281-2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Oh, K.J., J. Kwak, D.Y. Jung, and G.T. Son, 1998.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Air Pollutant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Pusan - Focusing at Kwanganli Area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0(9): 1235-12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Oh, K.S. and H.B. Chung, 2007. The Influence of Urban Development Density on Air Pollu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2(5): 197-2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E.J., M.S. Kang, D.E. You, D.S. Kim, S.D. Yu, K.H. Chung, and K.S. Park, 2005.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Fine Particles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0(2): 179-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hin, M.K., C.D. Lee, H.S. Ha, C.S. Choe, and Y.H. Kim, 2007.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 Concentration in Inche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23(3): 322-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Woo, J.H., 2009. Review of PM-related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ies of United States for PM-related Air Quality Improvement of Metropolitan Region in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25(6): 579-5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Yeo, M.J. and Y.P. Kim, 2019. Trends of the PM 10 Concentration and High PM 10 Concentration Cases in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tmospheric Environment, 35(2): 249-2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