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계열 분석법을 이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형태에 따른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 분석
A Study of a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Using Statistical Time Series Analysis by Land Cover Types in Urban Area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6 pt.2, 2021년, pp.1819 - 1827  

허준용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김태용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박혜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하태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강형빈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양민준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화로 인한 토지피복의 변화로 불투수층이 증가함에 따라, 강수의 자연적인 지하수 함양이 방해되어 도시홍수와 같은 재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강수와 지하수위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규모 도심지역인 부산광역시 연제구를 대상으로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 function, CCF) 및 이동평균분석(Moving average method, MA)을 통해 강수와 지하수위간 지연시간을 산정하였다. 지연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자기상관분석, 교차상관분석, 이동평균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피어슨 상관함수목적함수로 설정하여 강수량과 지하수위 간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는 시차 값을 지연시간으로 결정하였다. 관측공 반경 250 m 내 토지피복형태와 지형은 토지피복지도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Arc-GIS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지피복형태가 도심영향이 많은 불투수층으로 이루어진 GW01, GW03, GW05 (Urban: 71-96%)의 경우 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CCF: 42-71일, MA: 148-161일) 식생영향이 많은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GW04 (Urban: 35%)는 짧은 지연시간(CCF: 4일, MA: 67일)을 보였다. 토지경사도에 따른 지연시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토지피복형태가 강수와 지하수위 간 지연시간에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토지경사도에 따른 영향이 작용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 연제구의 토지 이용에 따른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지연시간을 규명함으로써 도시 내 강수의 자연적인 지하수 함양을 위한 도시 녹지공간 조성과 수문학적 재난 예방을 위한 관리계획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use/cover change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is one of the concerns in flood risk management because groundwater recharge by precipitation hardly occurs due to an increase in impermeable surfaces in urban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drologic effects of land-use/cover o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가설 설정

  • 지하수위 자료는 연속적인 시계열 분석을 위해 현재 연제구에서 운영 중인 13개의 보조관측망 자료(GW01–GW13) 중 2018년 5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결측 값이 상대적으로 적은 5개의 보조관측망 자료(GW01–GW05)를 선정하였다. 연구지역에 설치된 관측공은 모두 충적대수층이며 강우에 의한 수직적인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 유동에 의한 수평적인 지하수 함양이 이루어지는 자유면 대수층이라 가정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는 환경부 환경공간정보서비스(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EGIS)에서 제공하는 격자 1 m 공간해상도를 가진 축적 1:5,000의 세분류 토지 피복도(2020) 자료와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1:5,000의 수치지도(2020)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gelini, P., 1997. Analyses correlatoire et spectrale de deux systemes hydrogeologiques de l'Italie Centrale,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42(3): 425-438. 

  2. Choi, H.M. and J.Y. Lee, 2010.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nd Rainfall Response Characteristics in Haean Basin of Yangu,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5(6): 1-8. 

  3. Ha, K.C., K.S. Ko, D.C. Koh, B.W. Yum, and K.K. Lee, 2006.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the Groundwater Levels at Multi-depth Wells According to the River Stage Fluctu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9(3): 269-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Larocque, M., A. Mangin, M. Razack, and O. Banton, 1998. Contribution of correlation and spectral analyses to the regional study of a large karst aquifer (Charente, France), Journal of Hydrology, 205(3-4): 217-231. 

  5. Lee, J.Y. and K.K. Lee, 2002.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responses to rainfall in the two aquifer system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7(1): 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J.Y. and M.H. Koo, 2007. review of effects of land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on ground-water environmen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4): 517-5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S.H. and J.E. Kang, 2018. Urban Flood Vulnerability and Risk Assessments for Applying to Urban Planning,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5): 185-2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H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2019.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on urban planning status,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Jinju, Gyeongnam, KOR. 

  9. Moon, S.K. and N.C. Woo, 2001.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Using Cumulative Precipitation and Water-level Change,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6(1): 3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Yang, J.S., T.Y. Ahn, J.H. Park, and C.K. Park, 2007.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ipitation considering Critical Infiltr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Kum River Watershed, Proc. Of 2007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Daegu, KOR, Oct. 10-12, pp. 1926-1929. 

  11. Yang, J.S. and N.K. Kim, 201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1(3B): 265-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