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 물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정책방향
Groundwater Management Pradigm Shift and Policy Direction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6 no.6, 2021년, pp.176 - 185  

현윤정 (한국환경연구원 물국토연구본부) ,  한혜진 (한국환경연구원 물국토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new paradigm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is compatible with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Three key roles of groundwater are defined for addressing water cycle distortion, high water stress, water quality degradation, aquatic ecosystems deteriorati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통합물관리를 위한 국가 물관리 정책 기조의 전환기에 이에 부합하는 국내 지하수 정책 방향 설정에 앞서, 그간 물관리 한계와 국가 물이용 전망, 지하수의 장단점 등을 고려하여 국내 물관리에서의 지하수의 역할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립하였다.

데이터처리

  • 새로운 지하수관리 패러다임에 따라 현행 지하수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건전한 물순환 달성을 위한 지하수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SWOT 분석을 수행하였다. SWOT 분석에 따르면 S-O 전략으로 물순환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 관리가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ACRC), 2018, Agricultural harm by groundwater depletion due to railway construction... Korea National Railway is to develop groundwater wells, Press Release. 

  2. An, J.H., Lee, S.S., Lee, S.E., Hyun, Y., Kim, Y.I., and An, H.J., 2021, Issues and Policy Directions toward Unification of River Manage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 Choi, Y.H., Kum, D., Ryu, J., Jung, Y., Kim, Y.S., Jeon, J.H., Kim, K.S., and Lim, K.J., 2015, A Study of Total Nitrogen Pollutant Load through Baseflow Analysis at the Watershed,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1), 55-66. 

  4. Han, S.W., 2021, Measures to improve the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publicity of the groundwate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27, 275-307. 

  5. Han, D.-H. and Kim, I.-J., 2009, Analysis of Stream Ecosystem Health in Headwater Areas Using Landcover Data,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496-500. 

  6. Han, H.J., Kim, S.B., Lee, D., Chang, Y.S., Lee, K.Y., and Kim, J.S., 2020, A Framework and Strategy for the Integrated Water Cycle Manage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7. Hyun, Y. and Moon, H.-J., 2012, Preliminary Study on Environmental Values of Groundwater Resourc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8. Hyun, Y., Lee, S.J., Kim, K.H., Cha, E.J., and Jeon, S.Y., 2018, Policy Directions for an Optimal Management of Groundwater Quality, Ministry of Environment. 

  9. Hyun, Y., Moon, H.-J., Jung, W.H., Kim, K.H., Lee, M.H., Chan, E.J., Jeong, A.-Y., Kim, J.-J., Kim, J.Y., 2020, A Framework and Strategy for Groundwater Management on a Watershed, Ministry of Environment. 

  10. Hyun, Y., Cha, E.J., and Jeong, W.H., 2021, Using groundwater wells for drought daptation empowerment of local governments, Environment Forum, No.255, 25(6), 1-25. 

  11. Hyun, Y., Cha, E.J., Lee, G.S., and Jeong, A.-Y., 2021, Management Strategies for Groundwater Uses in Agricultural Areas Considering Changes of Agricultural Patterns in the Era of Cimate Cris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2. Jeon, Y.H., Kim, J.K., and Kim, C.G, 2007, Future Prospects of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J. of Environmental Research, 4, 27-34. 

  13. Kang, H.S., Hyun, Y., and Jeon, S.M., 2015,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Baseflow Index for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4. Kim, I.-J., Lee, S.S., Yang, I.J., Gwank, H.E., Kim, Y.I., and Hwang, B.E., 2020, A Study of Improving Management of Rivers and Agricultural Wate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5. Kim, K., 2020,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Agicultural Engineering, 288. 

  16. Korea Law Infomation Center(KLIC), 2021a,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https://www.law.go.kr/법령/물관리기본법 [accessed 21.11.28]. 

  17. Korea Law Infomation Center(KLIC), 2021b, Groundwater Act. https://www.law.go.kr/법령/지하수법 [accessed 21.11.28]. 

  18. Lee, G.Y., Song, M.Y., Han, S.H., and Yeon, Y.J., 2018, Establishment of Governance Systems in Han River Water Basin for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9. Ministry Concerned Joint(MCJ), 2020, A 3rd Master Pla for Management of Rainfall Discharged Non-Point Pollution Sources(2021~2025). 

  20. Ministry Concerned Joint(MCJ), 2021, A 1st Mater Plan for a National Water Management. 

  21.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9, 2019 Groundwatet Annual Report. 

  22. Ministry of Land, Ins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6, 3rd Revised Plan for 4th Water Resources Long-Term Master Plan(2001-2020). 

  23. Ministry of Land, Ins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7, A Revised Plan for 3rd Groundwater Management Basic Plan(2017-2026). 

  24. Won, G.H., 2020, Integration of Water Financial System, J. of Water Policy and Economy, 33, 51-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