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선 치료시 납 차폐체 대체물질로서의 텅스텐 나노입자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Tungsten Nanoparticles as an Alternative to Lead Shielding Materials in Electron Beam Therap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5 no.7, 2021년, pp.949 - 956  

김지향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김나경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이규연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정다빈 (을지대학교 대학원 방사선학과) ,  허영철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빔 치료에서 산란선을 차폐하는 데 사용되는 납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 재료로 텅스텐 나노입자를 선택하여 고선량에서 발생하는 산란선에 차폐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선량계의 위치와 조사야의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하기 위해 판을 자체 제작하였다. 유리 선량계는 10 × 10 cm2 크기의 조사야의 중앙에서 십자로 1, 2, 4 c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12곳의 지점에 위치시켰다. 10 × 10 cm2 크기의 텅스텐 나노입자 차폐체를 0.4, 0.75, 1 mm의 소재로 두께 0.75 mm에서 최대 두께 4.0 mm의 총 12가지 유형의 차폐가 적용되었다. 선형가속기를 사용해서 6 MeV에서 4회, 12 MeV에서 4회 측정하였고 선량의 세기는 100 MU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조사야로부터 1 cm 거리에서 4 mm 차폐판이 가장 높은 차폐 효과를 보였다. 조사야로부터 2 cm 거리에 적용된 1 mm 차폐판이 차폐 효과가 가장 낮았다. 텅스텐 차폐판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전자선 차폐 효과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텅스텐 나노입자는 전자빔 치료에서 납의 대체 재료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whether tungsten nanoparticles have a shielding effect on scattered light generated at high doses as an alternative material to lead used to shield scattered light in electron beam therapy. A plate was manufactured to set the position of the dosimeter and th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This study exhibited that tungsten nanoparticles have a scattering ray shielding effect in electron beam therapy. In addition, tungsten nanoparticles are lighter, more flexible, and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than lead,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tungsten as an alternative to lead. If shielding by thickness according to various energy sources is analyzed,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point where the maximum shielding effect can be observed with the minimum thickness.
  • This study exhibited that tungsten nanoparticles have a scattering ray shielding effect in electron beam therapy. In addition, tungsten nanoparticles are lighter, more flexible, and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than lead,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tungsten as an alternative to lead.

후속연구

  • If shielding by thickness according to various energy sources is analyzed,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point where the maximum shielding effect can be observed with the minimum thicknes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when follow-up studies are conducted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tungsten nanoparticle shiel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W. Choi, Y. K. Nam, J. H. Lee, H. J. Woo, "Review of clinical study over the last 10 year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cancer: Focusing on korean databas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31, No. 4, pp. 75-86, 2021. https://doi.org/10.18325/jkmr.2021.31.4.75 

  2. J. W. Sung, M. G. Yoon, W. J. Chung, et. al, "Evaluation of the accuracy for respiratory-gated rapidarc", Progress in medical physics, Vol. 24, No. 2, pp. 127-132, 2013. https://doi.org/10.14316/pmp.2013.24.2.127 

  3. S. S. Ahmad, S. Duke, R. Jena, M. V. Williams, N. G. Brunet, "Advances in radiotherapy", BMJ, Vol. 345, No. 6, pp. 348-355, 2012. https://doi.org/10.1136/bmj.e7765 

  4. Y. S. Kim, I. H. Yoon, S. M. Bae,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hotoneutron production out of the high-energy photon fields at linear accelerato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ol. 26, No. 2, pp. 257-264. 2014. 

  5. Z. O. Park, G. T. Gwak, J. K. Park, et. al, "The study on the scattering ratio at the edge of the block according to the increasing block thickness in electron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ol, 31, No. 1, pp. 57-65, 2019. 

  6. A. V. D. Kogel, M. M. C. Joiner, Basic clinical radiobiology, 4th Ed., CRC Press, Florida, 2009. 

  7. P. P. Dendy, B. Heaton, Physics for diagnostic radiology, 2nd Ed., CRC press, Florida, 1999. 

  8. A. K. Soper, E. R. Barney, "Extracting the pair distribution function from white-beam X-ray total scattering data", Journal of Applied Crystallography, Vol. 44, No. 4, pp. 714-726, 2011. https://doi.org/10.1107/S0021889811021455 

  9. F. Laariedh, M. I. Sayyed, A. Kumar, et. al, "Studies on the structural, optical and radiation shielding properties of (50-x) PbO-10 WO3-10 Na2O-10 MgO -(20+x) B2O3 glasse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Vol. 513, No. 1, pp. 159-166, 2019. https://doi.org/10.1016/j.jnoncrysol.2019.03.007 

  10. K. Kim, S. Kang, S. Noh, et. al, "Absorbed spectrum comparison of lead and tungsten in continuous x-ray energ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6, No. 6, pp. 483-487, 2012. https://doi.org/10.7742/jksr.2012.6.6.483 

  11. N. N. Azman, S. A. Siddiqui, R. Hart, I. M. Low, "Effect of particle size, filler loadings and x-ray tube voltage on the transmitted x-ray transmission in tungsten oxide-epoxy composites",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Vol. 71, No. 1, pp. 62-67, 2013. https://doi.org/10.1016/j.apradiso.2012.09.012 

  12. J. S. Kim, Y. K. Kim, J. H. Choi, "Effects of self-made bismuth shield installation on entrance surface dose reduction during endovascular treatment of cerebral aneurys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3, No. 2, pp. 175-183, 2019. https://doi.org/10.7742/jksr.2019.13.2.175 

  13. T. Nakano, A. Shumack, C. F. Maggi, et. al, "Determination of tungsten and molybdenum concentrations from an X-ray range spectrum in JET with the ITER-like wall configuration", Journal of Physics B: Atomic, Molecular and Optical Physics, Vol. 48, No. 14, pp.-144023_1-11, 2015. https://doi.org/10.1088/0953-4075/48/14/144023 

  14. J. Y. Kim, W. H. Lee, S. M. Ahn, "Shielding 140 keV gamma ray evaluation of dose by depth according to thickness of lead shield",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1, No. 2, pp. 129-134, 2018. https://doi.org/10.17946/JRST.2018.41.2.129 

  15. S. H. Lee, S. Y. Cha, S. Y. Lee, "Aluminum, copper and lead as shielding materials in 6 MeV electron therap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2, pp. 457-46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457 

  16. V. Shukla, P. Shukla, A. Tiwari, "Lead poisoning", Indian Journal of Medical Specialities, Vol. 9, No. 3, pp. 146-149, 2018. https://doi.org/10.1016/j.injms.2018.04.003 

  17. D. Jang, G. H. Kim, C. Park, "Analysis of Shielding Effect of Lead and Tungsten by use of Medical Radi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2, No. 2, pp. 173-178, 2018. https://doi.org/10.7742/jksr.2018.12.2.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