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C-MS/MS를 이용한 소변 중 11-nor-Δ9-carboxy-tetrahydrocannabinol 및 11-nor-Δ9-carboxy-tetrahydrocannabinol-glucuronide의 동시 분석 및 법과학적 적용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11-nor-Δ9-carboxy-tetrahydrocannabinol and 11-nor-Δ9-carboxy-tetrahydrocannabinol-glucuronide in urine samples by LC-MS/MS and its application to forensic science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4 no.6, 2021년, pp.259 - 266  

박미정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과학수사연구소 독성화학과) ,  김신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과학수사연구소 독성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마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남용되고 있는 물질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메트암페타민 다음으로 많이 남용되고 있으며, 1976년부터 국내에서 마약류관리법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소변 중 대마성분의 검출을 위하여는 대마의 유효 성분인 Δ9-tetrahydrocannabinol (THC)의 생체내 주된 대사체인 11-nor-Δ9-carboxy-tetrahydrocannabinol (THCCOOH)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과학수사 및 사법처리와 관련된 법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변 중 대마 대사체의 분석을 위하여 분석법이 간단하고 단시간이 소요되는 분석방법으로 THCCOOH 및 THCCOOH-glucuronide를 액상 추출하고 액체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법(LC-MS/MS)을 사용하여 동시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내부표준물질로는 THCCOOH-D3 및 THCCOOH-glucuronide-D3를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의 유효화를 위하여 매질 효과, 회수율, 직선성, 정밀도, 정확도, 시험과정의 효율성 및 안정성 등을 시험하였고, 모든 결과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의 carryover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택성 및 간섭성도 우수하였다. THCCOOH 및 THCCOOH-glucuronide의 검출 한계는 각각 0.3 및 0.2 ng/mL 이었다. 확립된 분석방법을 면역시험법과 가스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법(GC/MS)법에서 대마 양성으로 최종 판정된 28개의 실제 소변에 적용하여 분석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28개 소변 중 THCCOOH 및 THCCOOH-glucuronide의 농도는 각각 정량 한계 미만~226.90 ng/mL 및 6.43~2133.03 ng/mL이었고, 모든 시료에서 THCCOOH-glucuronide가 THCCOOH 보다 많이 검출되었다. 본 분석법을 소변 중 대마의 흡연여부를 판정하는 감정시험에 적용함으로써 단시간에 효율적인 분석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과학수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nnabis (Marijuana)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drugs in the world, and its distribution has been controlled in South Korea since 1976. Identification of 11-nor-Δ9-carboxy-tetrahydrocannabinol (THCCOOH) in urine can provide important proof of cannabis use, and it is considered scientific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소변 중 대마 성분의 분석은 면역분석법 및 질량분석법으로 확인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실시하던 가수분해 및 유도체화를 거친 고비용의 복잡하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GC/MS방법을 개량하여, THCCOOH 및 그 glucuronide 포합체를 LC-MS/MS로 동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시료에 적용하여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본 시험법을 실제 법과학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대마 사용 판정의 신속한 통보가 가능하여 우리나라 과학수사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마 양성 판정은 면역분석기인 Cobas C311 (ROCHE Diagnotics, Rotkreut, Switzerland)의 시험 결과 cuf-off인 25 ng/mL 이상으로 반응된 소변에 대하여 GC/MS법으로 THCCOOH 의 확인시험을 실시하여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분석법에서 판정된 예비시험의 수치를 참고하여 소변 채취량을 결정하였다. 즉, 면역분석법 결과 100ng/mL이하는 1 mL, 100~200 ng/mL 사이는 0.
  • 본 분석방법을 실제 대마 양성 시료에 적용하여 적합성을 검토하고, 정량값을 비교하였다. 즉, 당 연구소에 접수되어 면역분석법 및 GC/MS법에서 대마 양성으로 확인된 소변 시료 28종에 대하여 본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료에서 THCCOOH 및 THCCOOH-glucuronide가 검출되었으며, 두 성분의 농도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실제 대마 양성시료를 사용하여 분석법을 검토하고자 28종의 소변을 분석하였다. 최근 3개월 동안 수사기관에서 의뢰된 소변 중 감정시험 결과 대마 양성으로 판정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마 양성 판정은 면역분석기인 Cobas C311 (ROCHE Diagnotics, Rotkreut, Switzerland)의 시험 결과 cuf-off인 25 ng/mL 이상으로 반응된 소변에 대하여 GC/MS법으로 THCCOOH 의 확인시험을 실시하여 판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분석방법을 실제 대마 양성 시료에 적용하여 적합성을 검토하고, 정량값을 비교하였다. 즉, 당 연구소에 접수되어 면역분석법 및 GC/MS법에서 대마 양성으로 확인된 소변 시료 28종에 대하여 본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이론/모형

  • 최근 3개월 동안 수사기관에서 의뢰된 소변 중 감정시험 결과 대마 양성으로 판정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마 양성 판정은 면역분석기인 Cobas C311 (ROCHE Diagnotics, Rotkreut, Switzerland)의 시험 결과 cuf-off인 25 ng/mL 이상으로 반응된 소변에 대하여 GC/MS법으로 THCCOOH 의 확인시험을 실시하여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분석법에서 판정된 예비시험의 수치를 참고하여 소변 채취량을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 S. Chung, 'Drug testing in biological fluids', Shinilbooks, Seoul, 2000. 

  2. 'Narcotics Monthly Trends', Supreme Prosecutor's Office, 2020. 

  3. R. S. Goodwin, W. D. Darwin, C. N. Chiang, M, Shih, S. H. Li and M. A. Huestis, J. Anal. Toxicol., 32(8), 562-569 (2008). 

  4. F. Musshoff and B. Madea, Ther. Drug Monit., 28, 155- 163 (2006). 

  5. C. Baselt and R. H. Cravey,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11th ed., Chemical toxicology institute, Forster city, California, 2017. 

  6. M. E. Wall, B. M. Sadler, D. Brine, H. Taylor and M. Perez-Reyes, Clin. Pharmacol. Ther., 34, 352-363 (1983). 

  7. U. Mareck, N. Haenelt, H. Geyer, S. Guddat, M. Kamber, R. Brenneisen, M. Thevis and W. Schanzer, Drug Test. Anal., 1, 505-510 (2009). 

  8. 'Recommended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assay of Heroin, Cannabinoids, cocaine,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Ring-substitute amphetamine derivatives in Biological Specimens: Manual for use by National Laboratories',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UNODC), Vienna, 1995. 

  9. 'Urine Testing for Drugs of Abuse',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NIDA) Research Monograph 73, Baltimore, 1980. 

  10. T. T. Abraham, R. H. Lowe, S. O. Pimay, W. D. Darwin and M. A. Huestis, J. Anal. Toxicol., 31(8), 477-485 (2007). 

  11. 'The fitness for purpose of analytical methods-A laboratory guide to method validation and related topics', EURACHEM, Oly(UK), 1998. 

  12. F. T. Peter, O. H. Drummer and F. Musshoff, Forensic Sci. Int., 165, 216-224 (2007). 

  13. B. K. Matuszewski, M. L. Constanzer and C. M. ChavezEng, Anal. Chem., 75, 3019-3030 (2003). 

  14. S. D. Ferrara, L. Tedeschi and G. Frison, J. Anal. Toxicol., 18, 278-291 (1994). 

  15. Z. J. Nelson, S. J. Stellpfug and K. M. Engebrestsen, J. Pharm. Pract., 29(5), 516-526 (2016). 

  16. O. Boldis, G. Kocsis, A. Gachalyi and J. Furesz, J. Chromatogr. Sci., 41(4), 190-194 (2003). 

  17. W. H. Abd-Elsalam, M. A. Asherbiny, J. Y. Kung, D. W. Pate and R. Lobenberg, Talanta, 204, 846-967 (2019). 

  18. M. J. Rumpler, J. Chromatogr. B., 957, 77-83 (2014). 

  19. M. J. Park, J. H. Kim, Y. R. Park, S. H. In, E. M. Kim and Y. H. Park, J. Chromatogr. B., 947-948, 179-185 (2014). 

  20. M. H. Jang, I. C. Shin, W. K. Yang, H. J. Chang, H. Y. Yoo, J. S. Lee and E. M. Kim, Forensic Sci. Int., 244, 85-91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