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in Adolescents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2, 2021년, pp.621 - 631  

조성희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혜선 (신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9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자아존중감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같은 수준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더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cPTS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data surveyed on 291 adolescents was us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뿐만 아니라 성인기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를 비롯한 청소년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29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위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평균차이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지금까지 관련 변인들에 관한 연구들은 이들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검증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현숙,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121-143, 2013. 

  2. 이승민, 박재연,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에 대한 이해- 생애사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21권, 제4호, pp.279-310, 2020. 

  3. 이희연, "학교폭력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학교사회복지, 제25호, pp.275-309, 2013. 

  4. D. Pelcovitz, S. Kaplan, R. R. DeRosa, F. S. Mandel, and S. Salzinger, "Psychiatric disorders in adolescents exposed to violence and physical abus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No.70, pp.360-369. 2000. 

  5. J. L. Herman,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5, pp.377-391, 1992. 

  6. L. Terr, "Childhood traumas: An outline and overview," America Journal of Psychiatry, Vol.148, No.1, pp.10-20, 1992. 

  7. 안현의,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3권, 제1호, pp.31-41, 2005. 

  8. 이정민, "복합 PTSD의 상담 및 심리 치료: 단계 기반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39권, 제2호, pp.307-333, 2020. 

  9. 안태용, 강선모, 임혜경, "과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3-87, 2021. 

  10. 김준범, 최서연, "피해와 우울의 악순환:학교폭력 피해가 우울의 종단적 매개로 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50호, pp.1-24, 2020. 

  11. 김정남, 남영옥,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초기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4호, pp.83-104, 2013. 

  12. 신영훈, 박선영, "청소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토,"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pp.235-259, 2016. 

  13. 임재현, 전동일,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9권, 제10호, pp.649-659, 2019. 

  14. G. M. Reid, M. K .Holt, C. E. Bowman, D. L. Espelage, and J. G. Gr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with histories of bullying victimiza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25, No.11, pp.3331-3341, 2016. 

  15. 김세원,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 발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문화포럼, 제54호, pp.39-66, 2018. 

  16. 이수인, 박준식, "아동기 또래에 의한 신체적.심리적 폭력이 성인기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조사연구, 제18권, 제4호, pp.61-86, 2017. 

  17. 서영석, 조화진, 이하얀, 이정선,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3호, pp.787-816, 2012. 

  18. C. A. Mathews, N. Kaur, and M. B. Stein, "Child Trauma and Obsessive-Compulsive Symtpoms," Depression and Anxiety, Vol.25, No.9, pp.742-775, 2008. 

  19. J. M. Smyth, K. E. Heron, S. A. Wonderlich, R. D. Crosby, and K. M. Thompson, "The Influence of Reported Trauma and Adverse Events on Eating Disturbance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41, No.3, pp.195-202, 2008. 

  20. H. Cosgrove, A. Nickerson, and J. DeLucia, "Past Peer Victimization and Current Adult Attachment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Vol.20, No.1, pp.22-36, 2017. 

  21. 신혜정, 정익중, 이상아, 이향연, 박재연, "청소년의 우울,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사회복지, 제27호, pp.25-50, 2014. 

  22. 고유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pp.105-132, 2016. 

  23. L. G. Calhoun and R. G. Tedeschi,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24. 김숙향, 김형모,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6-36, 2018. 

  25. M. Mann, C. M. Hosman, H. P. Schaalma, and N. K. De Vries, "Self-esteem in a broad-spctrum approach for 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19, No.4, pp.357-372, 2004. 

  26. V. R. Wilburn and D. E. Smith,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ce No.40, pp.33-45, 2005. 

  27. 홍세희, 노언경, 정송,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보호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조사연구, 제17권, 제1호, pp.137-166, 2016. 

  28. 이한주,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연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30권, 제3호, pp.274-283, 2017. 

  29. S. Fergus and M. A. Zimmerman, "Adolescent Resilien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ealthy Development in the Face of Risk,"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26, pp.399-419, 2005. 

  30. M. Davey, D. G. Eaker, and L. H. Walters, "Resilience Processes in Adolescents: Personality Profiles, Self-Worth, and Coping,"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18, No.4, pp.347-362, 2003. 

  31. M. E.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02. 

  32. M. E. Seligman, T. A. Steen, N. Park, and C. Peterson,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60, No.1, pp.410-421. 2005. 

  33. 박나영,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복합 외상 증상 및 성격 특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4. D. Pelcovitz, B. van der Kolk, S. Roth, F. Mandel, S. Kaplan, and P. Resick, "Development of a Criteria Set and a Structured Interview for Disorders of Extreme Stress(SID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0, No.1, pp.3-16, 1997. 

  35. J. Spinazzola, M. Blaustein, C. Kisiel, and B. van der Kolk, Beyond PTSD: Further evidence for a complex c events,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1. 

  36. 정지선,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7.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4차년도 사용자 매뉴얼, 서울: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4. 

  38. D. Olweus, The Revised Olweus Bully/Victim Questionnaire, University of Bergen, Research Center for Health Promotion(HEMIL Center), 1996. 

  39.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6-1182,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