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릿의 조절효과에 따른 청소년활동역량에 대한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arental Support for the Practice Competence of the Adolescen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1, 2021년, pp.733 - 747  

오은희 (오은희피아노학원) ,  정철상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역량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진로지지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청소년활동역량,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부모 진로지지의 구조적 경로에서 그릿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대전, 천안, 세종지역에 위치한 6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배포한 530부 중 515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역량은 부모 진로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진로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역량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활동역량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진로지지는 유의미한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다섯째, 청소년 그릿의 저·고 집단에 대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경로에서 그릿의 저·고 집단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성립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니고 있는 활동역량이 청소년들의 가장 큰 고민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rental career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in the structural path of the youth activity compet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parental career support in the influence of the active capability of the adolescents in...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보면, 청소년활동역량은 청소년 활동과 관련되는 가장 핵심적 역량으로 타인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활동능력이며, 21세기 인재상과 연계하여 청소년이 최종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통합적 역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청소년 활동역량은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내재된 청소년의 역량을 안정되고 긍정적인 삶의 방향으로 이끌어냄으로써 청소년의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역량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내적 요인인 그릿과외적 요인인 부모 진로지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활동역량,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진로선택에 있어 부모 진로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그릿이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활동역량,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진로선택에 있어 부모 진로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그릿이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부모 진로지지와 그릿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과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 부모진로 교육의 필요성 및 그릿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역량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내적 요인인 그릿과외적 요인인 부모 진로지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활동역량,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진로선택에 있어 부모 진로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그릿이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부모 진로지지와 그릿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과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 부모진로 교육의 필요성 및 그릿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2. 부모 진로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청소년활동역량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쳥소년활동역량은 부모 진로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김태준, 생애 단계별 능력 개발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 개발원, 2008. 

  2. 권일남, 오해섭, 이교봉, 청소년활동론, 고양: 공동체, 2012. 

  3. https://www.kywa.or.kr/ 

  4. 전명순, 권일남,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 프로그램 개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6호, pp.149-177, 2012. 

  5. 김두환, 우혜영,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삶과 자살생각(Suicidal Ideation)," 사회와이론, pp.369-400, 2014. 

  6. 반기완,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김선경, 청소년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8. S. D. Brown, R. W Lent, and Jr, P. A. Gore, "Self-rated abilities and self-efficacy beliefs: Are they empirically distinc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8, No.3, pp.223-235, 2000. 

  9. S. L Turner and R. T Lanpan, "Career self efficacy and perceptions of parent support in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1, pp.44-55, 2002. 

  10. 김숙자,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 및 심리사회성숙도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 김수정, 진시아쉰, 이강이, "4년제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부모요인의 영향력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4호, pp.1-27, 2019. 

  12. B. Goodwin, and K. Miller, "Grit + talent student success," Educational Leadership, Vol.71, No.1, pp.74-76, 2013. 

  13. 윤성혜, 유지원, 유영란,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 (grit)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교육연구, 제36권, 제3호, pp.47-66, 2017. 

  14. 성태제, 김성훈, 김경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종합검사 개발 (대인관계검사개발과 종합적 사고력 측정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7. 

  15. 박성미,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327-351, 2011. 

  16. 박미옥,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의 활동역량에 미치는 영향: 문화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7. 권일남, 김태균,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활동역량진단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8권, 제4호, pp.45-61, 2010. 

  18. S. L. Turner, A. Alliman-Brissett, R. T. Lapna, S. Udipi, and D. Ergun, "The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cale," Measurement &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Vol.36, No.2, pp.83-94, 2003. 

  19. 유은선,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행동과 정서지능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경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이보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1.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NJ: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1977. 

  22. 이상희,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2호, pp.375-392, 2007. 

  23. 조용선, 문제 해결 수업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4. 조은숙, "청소년인턴십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4권, 제4호, pp.191-208, 2011. 

  25. 김종학, 최보영,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24권, 제1호, pp.25-42, 2016. 

  26. 김종운, 김현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pp.797-814, 2016. 

  27.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1, pp.63-81, 1983. 

  28. 이은주, 여대생의 진로성숙과 진로포부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9. 안소라, 여대생의 그릿(GRIT)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0.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31. N. Shechtman, A. H. DeBarger, C. Dornsife, S. Rosier, and L. Yarnall, Promoting grit, tenacity, and perseverance: Critical factors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3. 

  32.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 ,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 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0호, pp.367-385, 2015. 

  33. 노영석, 일반계 고등학생의 그릿 (grit) 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4. 정주희, 다문화가정 학교부적응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질적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5. 정효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수강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기지역 조리교육기관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6. 문선아, 불안과 성취동기가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7. 연보라, 장희원, 김경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지원, 양육방식, 사교육 참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제19권, 제3호, pp.99-122, 2013. 

  38. 이현주,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41-59, 2010. 

  39. 유미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40. 김덕진,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열정이 주관적 웰빙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제17권, 제1호, pp,39-47, 2015. 

  41. 감경동, 김종언, "대학 검도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 몰입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검도학회지, 제28권, 제1호, pp.47-62, 2017. 

  42. L. Eskreis-Winkler, J. J. Gross, and A. L. Duckworth, Grit: Sustained self-regulation in the service of superordinate goals.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New York, NY: Guilford, 2016. 

  43. 임효진, 하혜숙, 황매향, "초등학생의 끈기 (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 제47권, 제3호, pp.43-65, 2016. 

  44.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5. 김주환, 그릿, 서울: Sam & Parkers, 2013. 

  46. 김태명, 이은주, "지각된 부모의 자율부여가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차이," 교육심리연구, 제28권, 제3호, pp.477-499, 2014. 

  47. 김아영,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48. 이서정, 신태섭, "고등학생의 마인드 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59-87, 2018. 

  49. 이미란, 이혜원, 탁정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pp.491-512, 2017. 

  50.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 (Grit),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4호, pp.109-129, 2016. 

  5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52. 손인철, 청소년활동역량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3. J. Dietrich and B. Kracke, "Career-specific parental behaviors in adolescents'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5, No.2, pp.109-119, 2009. 

  54. 조아라, 윤성근, 양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진로 관련 행동척도(Korean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s)의 한국판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0권, 제3호, pp.389-408, 2013. 

  55. 우영숙,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하는 정서요인, 부모진로지지, 자아존중감, 진로장벽과 진로태도결정성과의 구조적관계,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56. 김성회, 박명심, "고등학생용 진로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7권, 제2호, pp.385-397, 2006. 

  57.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58. 박용진, 나승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소속감,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그릿 (Grit) 의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51권, 제2호, pp.97-12, 2019. 

  59. 최효숙,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0. 박은희, 수도권 소재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61. 이복원, 청소년의 애착요인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2. 김화영,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63. 오정근,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수준과 진로인식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4. 김희진, 고등학생의 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갈등적 독립 및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5. 엄영순, 최연실,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부모지지, 학교생활적응의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97-224, 2009. 

  66. 신종임, 현채송, "부모 지지, 희망 및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동서정신과학, 제11권, 제2호, pp.45-59, 2008. 

  67. 이주희, 문은미, "부모와 자녀가 지각한 부모 진로지지가 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8권, pp.211-226,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