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티언경력지향성, 지속학습활동,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al unbala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2, 2021년, pp.477 - 489  

김나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정승철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부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해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경력 5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지속학습활동이 매개하는 것은 확인되었지만,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효과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그 하위변인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organization culture unbalance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mediation process that protean career orientation influence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76 office wo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인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주관적 경력 성공에 대한 인식이 자신이 속한 조직의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지 않을까?’ 하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개인의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개인이 인식한 조직문화의 불균형성이 지속 학습활동의 영향을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안에서 구성원 개인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속학습활동과 조직문화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력의 뉴 노멀 시대에 개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을 극대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지속학습활동의 역할을 확인하여 개인의 실천적 노력에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이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고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안에서 구성원 개인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속학습활동과 조직문화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력의 뉴 노멀 시대에 개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을 극대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지속학습활동의 역할을 확인하여 개인의 실천적 노력에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이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고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1 가설 1 : 매개효과

  • 3.2 가설2 : 조절된 매개효과

  • 가설1.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속학습활동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2.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S. Lund, A. Madgavkar, J. Manyika, S. Smit, K. Ellingrud, M. Meaney, and O. Robinson, "The future of work after COVID-19," McKinsey Global Institute, Vol.18, 2021 

  2. 통계청, 2021년 2월 고용동향. 

  3. D. T. Hall, Careers in organiza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1976. 

  4. D. T. Hall,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2. 

  5. D. T. Hall,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0, No.4, pp.8-16, 1996. 

  6. D. T. Hall, J. Yip, and K. Doiron, "Protean careers at work: Self-direction and values orientation in psychological success," Annual Review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Vol.5, pp.129-156, 2018. 

  7. J. P. Briscoe and D. T. Hall, "The interplay of the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 Combination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No.1, pp.4-18, 2006. 

  8. J. Arnold and L. Cohen, "The psychology of careers in industrial-organizational settings: A critical but appreciative analysis,"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3, No.1, pp.1-44, 2008. 

  9. M. B. Arthur, S. N. Khapova, and C. P. Wilderom, "Career success in a boundaryless career world,"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26, No.2, pp.177-202, 2005. 

  10. J. H. Greenhaus, S. J. Parasuraman, and W. M. Wormley,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1, pp.64-86, 1990. 

  11. T. A. Judge, D. M. Cable, J. W. Boudreau, and R. D. Bretz,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executive career success," Personnel Psychology, Vol.48, No.3, pp.485-519, 1995. 

  12. S. E. Seibert, J. M. Crant, and M. L. Kraimer,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4, pp.416-427, 1999. 

  13. 신수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지속학습활동, 경력정체성 및 경력적응성,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간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4. T. W. Ng, L. T. Eby, K. L. Sorensen, and D. C. Feldman, "Predictor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Vol.58, No.2, pp.367-408, 2005. 

  15. 윤지혜,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6. C. D. Johnson, In search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areer success Athens, GA :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1. 

  17. 권재용, 이동영, 전병렬,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정책, Vol.24, No.1, pp.33-66, 2017. 

  18. 김병숙, 이희수, 송영선,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4, pp.25-50, 2015. 

  19. 김시진, 김정원,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大韓經營學會誌, Vol.23, No.4, pp.1899-1915, 2010. 

  20. 배을규, 이민영, 장민영, 김정원,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HRD연구, Vol.16, No.1, pp.1-25, 2014. 

  21. 윤기찬, "여성공무원의 경력패턴과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육아휴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3, No.2, pp.39-62, 2014. 

  22. 이재현, 오장용,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개인 및 조직 수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8, pp.47-73, 2013. 

  23. 이영광, 박선영, 김진관, O. kittituch,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3, pp.21-41, 2019. 

  24. M. London and E. M. Mone, "Continuous learning, Pulakos (Eds.), The changing nature of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staffing, motivation, and development, pp.119-153, 1999. 

  25. G. M. Hurtz and K. J. Williams, "Attitudinal and motivational antecedents of participation in voluntary employee development activit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4, No.3, p.635, 2009. 

  26. S. J. Ashford, "Feedback-seeking in individual adaptation: A resourc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No.3, pp.465-487, 1986. 

  27. T. Y. Han, Multilevel approach to individual and team adaptive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at Albany, Department of Psychology, 2003. 

  28. 심미영,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 경력개발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9. 신소영,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0. 박용재, IT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 학습활동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1. 김혜연,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무경계 경력태도가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32. 강지연, 송영수, "국내 기업 직장인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경력연계학습(CRCL),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3, pp.73-102, 2019. 

  33. 김병숙, 프로틴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 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4. E. H. Schein, "Defining organizational culture," Classics of organization theory, Vol.3, No.1, pp.490-502, 1985. 

  35. 백완기, 韓國의 行政文化, 高麗大學校出版部, 1982. 

  36. 김대건, 김근세, 박현신, 고현경, 유홍림,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분석: 경쟁가치모형에 기반한 조직문화 프로파일링," 한국행정연구, Vol.18, No.3, pp.25-52, 2009. 

  37. K. S. Cameron and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MA: Jossey-Bass, 1999. 

  38. K. S. Cameron and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3rd ed.), San Francisco, CA:Jossey-Bass, 2011. 

  39. R. E. Quinn and K. S. Cameron, eds., Paradox and Transformation : Towarda Theory of Change i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Cambridge, MA: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1988. 

  40. B. T. Gregory, S. G. Harris, A. A. Armenakis, and C. L. Shook,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A study of values,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2, No.7, pp.673-679, 2009. 

  41. R. Parker and L. Bradley, "Organization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 Evidence from Six Org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Vol.13, No.2, pp.125-141, 2000. 

  42. K. S. Cameron and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Revise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005. 

  43. H. G. Rainey, Understanding &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3rd. San Francisco:Jossey-Bass, 2003. 

  44. 장은진, 백지연, "여성인력이 인지한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연구: 감성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Vol.20, No.5, pp.1-23, 2013. 

  45. 장용선, "강한 균형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원역량의 매개효과," 전문경영인연구, Vol.21, No.2, pp.93-116, 2018. 

  46. 김미혜, 조직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47. 백주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정체와 경력개발지원인식이 경력적응성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8. S. J. Wayne, R. C. Liden, M. L. Kraimer, and I. K. Graf, "The role of human capital, motivation and supervisor sponsorship in predicting career succ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0, No.5, pp.577-595, 1999. 

  49. 장은주,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50. G. M. Hurtz, Attitudinal and motivational antecedents of participation in employee development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Y at Albany, 2002. 

  51. 김태홍, 한태영,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목표성향, 실책관리풍토 및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의 영향," 인사조직연구, Vol.17, No.3, pp.117-159, 2009. 

  52. 김지혜, 증명목표지향성 및 팀학습행동이 지속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및 팀 갈등관리 효과성의 교차수준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3. 김정웅, 조직문화 인식이 일터학습 활동을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4. P. Polychroniou and P. Trivellas, "The impact of strong and balanced organizational cultures on firm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and Service Sciences, Vol.10, No.1, pp.16-35, 2018. 

  5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56.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3. 

  57. 김선자, 최성우, "초등 교사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및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관계," 평생교육 . HRD연구, Vol.11, No.1, pp.71-94, 2015. 

  58. 이재봉, 진성미, "군 장교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Vol.22, pp.89-112, 2011. 

  59. 최지원, 정진철, "대기업 사무직 종사자가 인식한 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및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의 조직문화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4, pp.97-120, 2012. 

  60. 소병한,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r)의 통합적 개념모형과 측정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61. J. P. Briscoe, J. M. Hoobler, and K. A. Byle, "Do "protean" employees make better leaders? The answer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The Leadership Quarterly, Vol.21, No.5, pp.783-795, 2010. 

  62. 박윤희, 정홍전, 오미래,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HRD연구, Vol.20, No.3,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