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도 기반의 3차원 지하구조물 구축 방안 및 도면가공 툴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rawing Processing Tool Program and Establishment Strategy of 3D Underground Structures based on Standardized Drawing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4 no.4, 2021년, pp.1 - 25  

이민규 (아이씨티웨이(주)) ,  한상훈 (아이씨티웨이(주)) ,  김성수 (아이씨티웨이(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지하안전사고 대응 및 예방을 위해 현행 수작업 기반의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및 갱신체계를 지하구조물을 포함한 지하정보에 대해서 자동화 기반의 3D 지하정보 구축 및 갱신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준공도서제출 시스템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3D 지하구조물 자동화 갱신 시 필요한 표준도면 연구가 미비하여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성하는 6종 지하구조물을 대상으로 표준도 기반의 3차원 지하구조물 구축 방안을 제시하여 신속 정확한 도면데이터 작성과 체계적인 3차원 지하구조물 도면데이터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하정보 실무에 활용 가능한 3D 구축용 가공도면 툴을 개발하여, 일반 CAD 프로그램 사용자들도 쉽게 가공도면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은 향후 3D 지하구조물 구축을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 및 실무적용 지침 수립 시 주요한 참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spond and prevent underground safety accident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eparing a submitting completion drawing web system project for converting the current manual-based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construction and its update system to an automation-based 3D underground inf...

주제어

표/그림 (43)

참고문헌 (17)

  1. Cho, Y.S. and H.W. Lee. 2013.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2D design drawing implementation by revit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0):5243-5250. 

  2. Choi, S.M. 2021. A study on the subway maintenance technique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model. Doctoral Thesis of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69pp. 

  3. Kim, S.H. 2000. Study on the connection system of underground spaces - The case of a connecting passage between a building and a subway station. Master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Korea. 87pp. 

  4. Kim, Y.J., B.M. Yoo and J.Y. Lee. 2014. A study on elements of as-built drawing standardization for 3D indoor space data modeling.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pp.309 -312. 

  5. Kim, I.H., M.J. Lee, J.S. Choi and G.T. Kim. 2016.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to generate 2D drawings in automation using open BIM technologies.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21(4):417-425. 

  6.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6.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chnology on construction information &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BIM/GIS interoperability. Final Report. pp.1-139. 

  7.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9. Development of technology planning to automate the update of the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and to support the safety management of excavation sites. Final Report. pp.1-227. 

  8.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2019. 2019 years creation of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map for underground spatial project final report pp.1-121. 

  9. Kwon, OC and CW. Jo.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2D digital drawing standards considering the paradigm shift to BI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5):49-57. 

  10. Lee, M.K., S.S. Choi, H.S. Jeon, and S.S. Kim. 2020. Development of 3D underground utilities processing and partial update automation technology -Focused on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4):1-15. 

  11. Lee, K.J. 2003. Architectural guidelines for underground city space: Focused on underground shopping malls. Korea Planning Association Debate. 

  12. Lee, Y., I.Y. Kim, Y.S. Choi, and K.S. Oh. 2010. Establishment strategy of 3D spatial information from 2D facility drawing related to fire fighting.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8(5):47-54.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Guide to DB construction for 3D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pp.1-2647. 

  14. Moon, H.S. and K.B. Ju. 2014. Development of BIM library for civil structures based on standardized drawings-Focused on 3D standard drawings of the MOLIT.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19(1):80-90. 

  1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21. http://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65613. (Accessed August 26, 2021). 

  16. Park, D.H., Y.G. Jang, and J.S. Ryu. 2020. A study of the DB design standard for submitting completion drawings for auto-renewal of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8(6):681-688. 

  17. Underground Information Utilization Support Center. 2021. https://uics.jiha.go.kr/ (Accessed August 26, 202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