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BS 기자의 직업적 성취에 관한 주관성 탐색
Exploring Subjectivity Concerning Occupational Achievements of KBS Journalis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 2021년, pp.227 - 242  

정제혁 (KBS 보도본부) ,  유상원 (마인드코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영방송 KBS를 비롯해 한국 언론인들의 전문직주의는 미성숙 상태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자의 직업적 성취에 대하여 KBS 기자들과 시민들이 형성하고 있는 주관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전문직주의 미성숙 상태에 관한 언론인의 주관성 차원의 배경과 이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KBS 기자 30명과 4년제 대학 언론고시반 대학생 10명, 그리고 다양한 연령대의 일반인 40명, 총 80명을 상대로 기자의 직업적 성취와 관련된 내용의 95개의 진술문을 활용하여 '승진/발탁되는 기자'를 조건으로 소팅을 진행하여 총 3개의 Q 요인을 추출하였고, 이를 다시 각 요인별 양(+) 하부 요인과 음(-) 하부 요인으로 구분하여 총 6개의 기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유형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KBS 기자의 직업적 성취에 관한 주관성은 '전문직형 기자', '모사꾼 기자', '조직충성형기자', '열혈기자', '입신양명기자', '착실한 직업인'으로 명명된 6개의 인식 유형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한국 기자의 직업 정체성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확장시켰다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ommon to say that Korean journalists' professionalism including the public broadcaster KBS is immature. This study used the Q methodology to explore the subjectivity that KBS reporters and citizens have formed about reporters' occupational achievements. we tried to find out the background and...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BS 기자들, 언론고시반 대학생, 일반 시민들을 상대로 기자로서의 성취와 관련한 95개 진술 문을 승진/발탁을 조건으로 Q소팅하게 함으로써 조직에서 지위가 상승하고 이른바 힘 있는 부서로 발탁되는 기자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적 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자의 직업적 성취에 관한 가치 체계와 관련하여 1요인:‘전문직형 기자’ vs ‘모사꾼형 기자’ 2 요인:‘조직충성형 기자’ vs ‘열혈 기자’ 3 요인:‘입신양명형기자’vs ‘착실한 직업인’으로 나타나 3개 요인으로 축소될 수 있는 총 6개 인식 유형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공정성의 시험대에 오르는 공영방송 KBS 뉴스의 취재와 프로그램 제작을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기자들이 정치와 자본의 영향력이 부단히 간섭하는 저널리즘 장(journalistic field)속에서 객관, 정확, 공정, 자율을 핵심 가치로 하는 언론의 전문직주의 규범들을, 조직 내부와 외부의 간섭과 방해, 그리고 승진 추구 등 다양한 기자 개인의 현실적 욕망들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조화시키고 절충하며 심지어 왜곡 훼손하고 있는지를 밝혀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자 지망생, 그리고 일반 시민들까지 연구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대상으로 포함시켜 현직 KBS 기자들에게만 고유한 인식 유형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인식 유형, 다시 말해 한국 사회에서 성장하면서 가정, 학교, 직장 등에서 조직 생활과 대인 관계에서 용인되고 장려되는 일반적인 행동 양식을 체득한 사람으로서 가질 수 있는 관점을 통해서 ‘조직내 승진’에 대한 KBS 기자의 인식 유형을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공영방송 KBS 기자들의 주관 성안에 직업인으로서, 언론사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직업적 성취와 승진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로 형성된 일종의 ‘마음의 지도’를 이해하고 해석하려고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한국 언론과 한국 사회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문직주의 규범의 광범위한 위기 현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참조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전국언론노동조합KBS본부, 장악과 부역, 저항의 10년(1부):이명박과 KBS, KBS 내부자료, 2018. 

  2. KBS기자협회정상화모임, KBS기자협회 정상화를 위한 모임을 결성하며, KBS 내부자료, 2016. 

  3. KBS진실과미래위원회, KBS 진실과미래위원회 전체활동보고서, KBS 내부자료, 2019. 

  4. 조항제, "한국 공영방송 노동조합의 자율성 투쟁: 반후견주의와 전문직주의 노조주의," 언론정보연구, 제55권, 제2호, pp.112-168, 2018. 

  5. D. Hallin and P. Mancini, Comparing Media Systems : Three Models of Media an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 박진우, "한국 언론의 전문직주의와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 한국언론정보학보, 제74권, 제6호, pp.177-196, 2015. 

  7. 이준웅, 조항제, 송현주, 정준희, "한국사회 매체 체계의 특성: '민주화 이행 모형'의 제안,"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6권, 제1호, pp.87-143, 2010. 

  8. 이정훈, 김균,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샐러리맨화의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6호, pp.59-88, 2006. 

  9. M. Schudson, The sociology of news, WW Norton, 2003 

  10. G. Tuchman,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Free Press, 1978. 

  11. Gitlin,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lef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2. M. Schudson, "The objectivity norm in American journalism," Journalism, Vol.2, No.2, pp.149-170, 2001. 

  13.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 in the 21st century: A media sociology perspective, Routledge, 2013. 

  14. D. A. Berkowitz, Cultural Meanings of News, Sage, 2011. 

  15. C. Mellado, L. Hellmueller, and W. Donsbach, Journalistic Role Performance, Routledge, 2017. 

  16. P. Bourdieu, "The political field, the social Science field, and the journalistic field" In R. Benson & E. Neveu (Eds), Bourdieu and the journalistic field. pp.29-47, 2005. 

  17. R. Benson, "News media as a "journalistic field": What Bourdieu adds to new institutionalism, and vice versa," Political Communication, Vol.23, No.2, pp.187-202, 2006. 

  18. L. Hellmueller and C. Mellado, "Professional roles and news construction: A media sociology conceptualization of journalists' role conception and performance,"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28, No.3, pp.1-11, 2015. 

  19. S. Waisbord, Reinventing professionalism: Journalism and news in global perspective, Polity, 2013. 

  20. 강명구, 한국 언론전문직의 사회학, 나남, 1993. 

  21. 박승관, 장경섭, 언론권력과 의제동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2. 김영욱, "한국 언론의 정파성과 사회적 소통의 위기," 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 커뮤니케이션북스, pp.170-217, 2011. 

  23. 김세은, "한국 폴리널리스트의 특성과 변화,"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3호, pp.7-54, 2017 

  24. 김수영, "한국 공영 방송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3호, pp.55-86, 2017 

  25. 정필모, 공영방송 보도의 공정성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6. 임병걸, 방송조직의 관료적통제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7. W. Breed, Social control in the newsroom. Social Forces, 1955. 

  28. J. Soloski, "News reporting and professionalism: Some constraints on the reporting of the news," Media, Culture & Society, Vol.11, No.2, pp.207-228, 1989. 

  29. J. McLeod and S. Hawley, "Professionalization among Newsmen," Journalism Quarterly, Vol.41, No.4, pp. 529-577, 1964. 

  30. S. Windahl and K. Rosengren, "Newsmen's Professionalization: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Journalism Quarterly, Vol.55, No.3, pp.466-473, 1978. 

  31. K. Lewin,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Harper, 1951. 

  32. V. Vroom, Work and Motivation, Wiley, 1964. 

  33. R. Porter and L. Lawler, Behavior in Organizations, McGraw-Hill, 1974. 

  34. 안춘식, "한국기업의 승진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일경상논집, 제15호, pp.115-133, 1998. 

  35. 엄주웅,"언론 인력 구조조정 및 노동시장," 언론사 고용구조 변화와 실직 언론인 대책, 한국언론연구원, 1998. 

  36. 홍은희, "언론사의 여성 리더십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3권, pp.115-154, 2010. 

  37. 장하용, "한국 언론인의 조직 내 승진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2호, pp.36-67, 2004. 

  38. 박재영 외, 저널리즘의 지형: 한국의 기자와 뉴스, 이채, 2016. 

  39. W. Stephenson,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40.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1. S. Watts and P. Stenner,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 interpretation, Sage, 2012 

  42. 김승현, "스티븐슨과 퍼스의 만남," 언론과 사회, 제16권, pp.43-67, 1997. 

  43. N. Herrington and J. Coogan, "Q methodology: an overview,"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Vol.1, No.2, pp.24-28, 2011. 

  44. 양창훈, 이제영, "공무원 인식 유형에 따른 보건서비스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23-237, 2014. 

  45. 정세종, 김봉철, 김유미,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경찰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 Q방법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39-650, 2014. 

  46. 김일철, 김승일, "언론인의 공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제18호, pp.25-39, 2009. 

  47. 정윤서, "신문기자의 뉴스가치에 대한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제24호, pp.25-44, 2012. 

  48. 김순은, "Q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4호, pp.1-25, 2010. 

  49. T. Hanitzsch, "Deconstructing journalism culture: Toward a universal theory," Communication Theory, Vol.17, No.4, pp.367-385, 2007. 

  50. 김영욱, 언론인 전문화교육: 개념과 모델, 외국의 실태와 전망, 서울: 한국언론재단, 1999. 

  51. https://journalism.columbia.edu/broadcast, 2020.12.16. 

  52. A. Wrzesniewski, C. McCauley, P. Rozin, and B. Schwartz,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31, No.1, pp.21-33, 1997. 

  53. 유상원, 기업 조직에서의 개인 적응 방식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54. 황상민, 최윤식, "주관성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인간의 마음을 객관화 하는 연구법," 주관성연구, 제21권, pp.5-18, 2010. 

  55. 황상민, 유상원, "Q 방법론을 활용한 멤버십 서비스에 대한 각기 다른 소비자 유형 탐색," 주관성연구, 제26호, pp.71-85,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