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화나트륨 농도가 느타리 자실체의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the growth, amino acid content, and fragrance patterns of Pleurotus ostreatu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9 no.4, 2021년, pp.310 - 315  

이상철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편하영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박윤진 (두과녹비자원연구센터) ,  오태석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장명준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염화나트륨에 의한 비생물적 스트레스가 생육과정 중의 느타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실체의 생육특성, 그리고 구성아미노산함량과 향기패턴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농도별로 염화나트륨을 처리한 톱밥배지에서 수확한 느타리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수량은 무처리구 대비 염화나트륨 0.5%처리구에서의 값은 비슷했으며, 염화나트륨 처리 농도가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서 수량이 확연히 감소하였다. 자실체의 구성아미노산함량 분석결과, 무처리구 대비 모든 염화나트륨 처리구에서 glutamic acid과 proline을 제외한 aspartate, threonine, serine, glycine, alanine, methio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lysine, histidine, arginine의 14종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자실체의 향기패턴 분석결과, 염화나트륨 처리구에서 버섯고유의 향을 나타내는 octane compound로 추정되는 물질의 intensity가 감소하였음을 chromatography상에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dium chloride-associated abiotic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We examin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constituent amino acids, and fragrance pattern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lturing Pleurotus ostreatus on a sawdust substrat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9)

  1. Ahn JS, Lee KH. 1986.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and Nutr 15: 258-262. 

  2. Choung JI, Kim KY, Choi DH, Oh MK, Lee SY, Lee DJ. 2003. Growth responses and proline accumulation by salt treatment in rice cultivars. J Korean Soc Internat Agric 15: 288-293. 

  3. Jhune CS, Sul HJ, Kong WS, You YB, KIM JH, Cheong JC, Lee CJ. 2009.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Yield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p. J Mushrooms 7: 173-181. 

  4. Jung ST, Hong JS. 1991. Volatile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Mycol 19: 299-305. 

  5. Kim EJ, Shin HJ. 2021. Changes in gut microbiota with mushroom consumption, J Mushrooms 19: 115-125. 

  6. Kim KS, Kim SS, Kim SM, Park EY, Lee HJ, Jo JO, Kim EA. 1998. Studies o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domestic plant material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p. 29-349. 

  7. Kim MG, Kim HM, Na US, Yoo SH, Che JK, Hong JS. 2002. Mushroom biology. Hakmunsa. 192-195. 

  8. Korea Forest Service 2006. Analysis of poplar exhibit forest and soil leach reduction effect. pp. 3-54. 

  9. Korea Forest Service 2008. Developing extended plantation policy of fast. growing trees at landfill. pp. 3-55. 

  10. Lee AS, Lee JH, Won HS, Hwang SJ, Lee KJ, Bang KR, Kim KS, Mo YM. 2021. Effect of nitrogen content in media on yield of Pleurotus ostreatus in bag culture. J Mushrooms 19: 71-75. 

  11. Lee CJ, LEE EJ, Park HS, KONG WS. 2018.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s after adding pine tree sawdust obtained from thinning out trees in a forest. J Mushrooms 16: 338-341. 

  12. Lee HS, Kim HC, Kang JW, Lee WY, Lim HM, Jang KH. 2018. Selection of poplar clones for short rotation coppice in a reclaimed land. J Agric Life Sci 52: 21-32. 

  13. Lee JG, Do JH, Sung HS, Lee JW. 1995.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mushroom. Appl Biol Chem 38: 546-548. 

  14. Lee JK, Jang JH, Li Yang, Kim HN, Kwak MJ, Khaine Inkyin, Lee TY, Lee HK, Kim IR, Jang GH, Lee WY, Kang HD, Woo SY. 2017.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lar clones in the saemanguem reclaimed land. J Korean Forest Soc 106: 186-195. 

  15. Lee SG, Shin JS, Seok YS, Bae GK. 1998. Effects of Salt Stress on Photosynthesis, Free Proline Content and Ion Content in Tobacco. Korean J Environ Agric 17: 215-219. 

  16. Mahajan S, Tuteja N. 2005. Cold, salinity and drought stresses: an overview. Arch Biochem and Biophy 444: 139-158.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2019. Production Performance of Industrial Crop. pp. 64-67. 

  18. Moon JH, Choi IW, Park YK, Kim YS. 2011. Development of natural meat-like flavor based on Maillard reaction products. Food Sci Animal Res 31: 129-138. 

  19. Skjerdal OT, Sletta H, Flenstad SG, Josefsen KD, Levine DW, Ellingsen TE. 1996. Changes in intracellular omposition in response to hyperosmotic stress of NaCl, sucrose or glutamic acid in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and Corynebacterium glutamicum. Appl Microbiol and Biotechnol 44: 635-6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