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균사체 생장 및 항산화 효과
Mycelial growth and antioxidant effects of Pleurotus ostreatu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ronia berrie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20 no.3, 2022년, pp.102 - 106  

최성주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편하영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박태민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박윤진 (두과녹비자원연구센터) ,  오태석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조용구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장명준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로니아 첨가 시 생육 일자에 따른 느타리 균사체 생장량 및 pH 양상을 확인하였다. 무처리 대비 아로니아 첨가 시 균사체 직경과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의 경우 아로니아 처리 시 배지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로니아 10%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 균사체와 일반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 균사체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는 61.81%, 무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는 49.65%로 약 12%의 라디칼 소거 활성 차이를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 59.83%, 무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 52.66%로 나타나 7.17%의 라디칼 소거 활성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생육 균사체 6.54 mg GAE/g, 무첨가 배지 내 생육 균사체 5.77 mg GAE/g로 0.77 mg GAE/g의 차이를 나타냈다. 생육 배지에 아로니아를 첨가함에 따라 느타리 균사체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아지며 ABTS,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mycelia grown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ronia. The diameter and dry weight of the mycelia were increased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Aronia compared with the untreated medium. The total polyphen...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1)

  1. Barros L, Ferreira MJ, Queiros B, Ferreira ICFR, Baptista P. 2007. Total phenols, ascorbic acid, β-carotene and lycopene in Portuguese wild edible mushroom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103: 413-419. 

  2. Bondet V, Brand-Williams W,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 30: 609-615. 

  3. Chang ST, Buswell JA, Chiu SW. 1993. Mushroom biology and mushroom products.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Hong Kong. 3-17. 

  4. Choi JI, Lee YH, Ha TM, Jeon DH, Chi JH, Shin PG. 2015. Characteristics of new mid-high temperature adaptable oyster mushroom variety Heuktari for bottle culture. J Mushrooms 13: 74-78. 

  5. Cho SH, Lee SD, Ryu JS, Kim NG, Lee DS. 2001. Change in quality of king oyster mushroom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67-373. 

  6. Gu L, Kelm MA, Hammerstone JF, Beecher G, Holden J, Haytowitz D, Gebhardt S, Prior RL. 2004. Concentrations of proanthocyanidins in common foods and estimations of normal consumption. J Nutr 134: 613-617. 

  7. Han HA, Choi SR, Song YE, Lee SY, Shin SH, Yu YJ, Kim MK. 2020. Tannin-reducing effect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Aronia homogenate after treatment with liquid cultured mushroom mycel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39-346. 

  8. Hardin JW. 1973. The enigmatic chokeberries (Aronia, Rosaceae). Bull Torrey Bot Club 100: 178-184. 

  9. Jeoung YK, Jeong HK, Baek IS, Kang YJ, Jung HJ. 2017. Effect of schizandra berry dregs and rice bran treatment on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enhancement in Pleurotus ostreatus. J Mushrooms 15: 88-93. 

  10. Jeppsson N. 1999. Genetic variation and fruit quality in sea buckthorn and black chokeberry. Ph. D. Thesis. pp. xx.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Uppsala, Sweden. 

  11. Jeppsson N. 2000. The effects of fertilizer rate on vegetativ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with special respect to pigments, i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cv. 'Viking'. SciHortic (Amsterdam) 83: 127-137. 

  12. Kang MS, Kang TS, Kang AS, Shon HR, Sung JM. 2000. Studies on mycelial growth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Kor J Mycol 28: 73-80. 

  13. Kokotkiewicz A, Jaremicz Z, Luczkiewicz M. 2010. Aronia plants: a review of traditional use, biological activities, and perspectives for modern medicine. J Med Food 13: 255-269. 

  14. Lee MK, Shin DI, Park, HS. 2012. Acceleration of the mycelial growth of Trametes veriscolor by spent coffee ground. Kor J Mycol 40: 292-295. 

  15. Lee CJ, Han HS, Jeon CS, Jeong JC, Oh JA, Kong WS, Park KC, Park CG, Shin SY. 2011. Development of new substrate using red ginseng marc for bottle cultur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J Mushrooms 9: 139-144. 

  16. Ma TW, Lai Y, Yang FC. 2014. Enhanced production of triterpenoid in submerged cultures of Antrodia cinnamomea with the addition of citrus peel extract. Bioprocess Biosyst Eng 37: 2251-2261. 

  17. Ministry for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 (MAFRA). 2020.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special crops in 2019, Republic of Korea. 64. 

  18. Oszmianski J, Kucharska A. Tannins. 1995. Aronia. Scientific papers of the Agricultural University of Wroclaw. Food Technol 8: 55-65. 

  19. Oszmianski J, Wojdylo A.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 809-13. 

  20. Park YJ, Oh TS, Kim TK, Kang MK, Jang MJ. 2020. The effect of bean sprouts by-product addition on the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J Mushrooms 18: 141-144. 

  21. Skupien K, Oszmianski J. 2007. The effect of mineral fertiliz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iological activity of chokeberry fruit. Agric Food Sci 16: 46-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