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월동기 논 생태계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of Overwintering Arthropods in a Paddy Field Ecosystem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60 no.4, 2021년, pp.417 - 422  

서화영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이경주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황인수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주정일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  김광호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공민재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최용석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월동기 논과 논두렁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절지동물의 발생밀도를 조사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력흡충기를 이용하여 논과 논두렁에서 각각 5지점씩 50×50 cm 격자 내에 있는 지표면과 식물을 흡입하여 채집하였다. 논과 논두렁에서 채집한 총개체수는 41,197개체였으며, 대부분 Collembola, Hemiptera, Diptera가 많이 채집되었다. 영농형태별 유기농법 재배지와 관행농법 재배지에서의 절지동물 출현패턴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채집된 개체수는 유기농법 재배지에서 더 많았다. 종다양성지수, 종풍부도지수, 종균일도 지수는 논보다는 논두렁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biodiversity of various arthropods living in paddy fields during the winter season by examining their incidence density. Insect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50 × 50 cm grids of soil surface and plants from paddy fields, as well as from ridges b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3)

  1. Brockerhoff, E.G., Jactel, H., Parrotta, J.A., Quine, C.P., Sayer, J., 2008. Plantation forests and biodiversity: oxymoron or opportunity? Biodivers. Conserv. 17, 925-951. 

  2. Cohen, J.E., Schoenly, K., Heong, K.E., Justo, H., Arida, G., Barrion, A.T., Listinger, J.A., 1994. A food web approach to evaluating the effect of insecticide spraying on insect pest population dynamics in a Philippine irrigated rice ecosystem. J. Appl. Ecol. 31, 747-763. 

  3. Elphick, C.S., 2000. Fuctional equivalency between rice fields and seminatural wetland habitats. Conserv. Biol. 14, 181-191. 

  4. Grant, I.F., Tirol, A.C., Aziz, T., Watanabe, I., 1983. Regulation of invertebrate grazers as a means to enhance biomass and nitrogen fixation of cyanophyceae in wetland rice fields. Soil. Sci. Soc. Am. J. 47, 669-675. 

  5. Han, M.S., Bang, H.S., Kim, M.H., Kim, M.K., Roh, K.A., Lee, J.T., Na, Y.E., 2007. The fauna of aquatic invertebrates in paddy field. Korean J. Agric. Environ. 26, 267-273. 

  6. Hartley, M.J., 2002. Rationale and methods for conserving biodiversity in plantation forests. For. Ecol. Manag.155, 81-95. 

  7. Kadoya, T., Suda, S., Washitani, I., 2009. Dragonfly crisis in japan: a likely consequence of recent agricultural habitat degradation. Biol. Conserv. 142, 1899-1905. 

  8. Kim, J.O., Lee, S.H., Jang, K.S., 2011. Effects to improve biodiversity in paddy field ecosystem of South Korea. Reintroduction 1, 25-30. 

  9. Kiritani, K., 1979. Pest management in rice. Annu. Rev. Entomol. 24, 279-312. 

  10. Lee, S.D., 2007.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plan of reservoir ecosystem in KyoungNam-A case study of Duryang reservoir.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6. 

  11. Lee, Y.I., Kim, K.H., 2003. Influence of levee-burning on the surroundings of rice paddies. Korean J. Appl. Entomol. 42, 345-352. 

  12. Liss, W.J., Gut, L.J., Westigard, P.H., Warren, C.E., 1986. Perspective on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in agricultural crops. Annu. Rev. Entomol. 31, 455-478. 

  1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in biology. Gen. Syst. 3, 36-71. 

  14. Mesleard, F., Garnero, S., Beck, N., Rosecchi, E., 2005. Uselessness and indirect negative effects of an insecticide on rice field invertebrates, Compt. Rend. Biol. 328, 955-962. 

  15. Park, S.K., Hong, Y.S., Kim, D., Kim, D.Y., Jang, Y.K., 2015. Emission of air pollutants from agricultural crop residues burning. J. Korean Soc. Atmos. Environ. 31, 63-71. 

  16.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 Biol. 13, 131-144. 

  1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 

  18. Shannon, C.E.,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9. Shepherd, K.R., 1986. Plantation silviculture. Martinus Nijhoff Pub. Dordrecht. The Netherlands. 322. 

  20. Swengel, A.B., 2001. A literature review of insect responses to fire, compared to other conservation managements of open habitat. Biodivers. Conserv. 10, 1141-1169. 

  21. Way, M.J., Heong, K.L., 1994. The role of biodiversity in the dynamics and management of insect pests of tropical irrigated rice-a review. Bull. Ent. Res. 84, 567-587. 

  22. Wilson, A.L., Ryder, D.S., Watts, R.J., Stevens, M.M., 2005, Stable isotope analysis of aquatic invertebrate communities in irrigated rice fields cultivated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Aquat. Microb. Ecol. 39, 189-200. 

  23. Zhang, M., Zhang, H., Li, X., Liu, Y., Cai, Y., Lin, H., 2020. Classification of Paddy rice using a stacked generalization approach and the spectral mixture method based on MODIS time series. IEEE J Sel Top Appl Earth Obs Remote Sens. 13, 2264-22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