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모유수유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낙산균 Clostridium butyricum DIMO 52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butyric acid bacterium, Clostridium butyricum DIMO 52, isolated from feces of Korean breastfeeding inf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6, 2021년, pp.775 - 784  

모상준 (단국대학교 의학레이저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stidium butyricum을 분리하기 위하여 국내 모유수유 신생아 분변으로부터 혐기성 균주를 선별하였고 버블을 생성하는 100개의 균을 확보하였다. 이중 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한 항균력과 butyric acid의 생산이 가장 우수한 DIMO 52 균주를 선발하였고, 형태학적 특성, 생리 생화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C. butyricum으로 동정되어 C. butyricum DIMO 52로 명명하였다. 성장률, butyric acid 생산 및 pH 변화를 배양 36시간 동안 모니터링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DIMO 52 균주의 최대 성장에 도달하였고, butyric acid 최대 농도는 대략 34.73±4.27 mM이었으며, pH는 7.2에서 2.5로 변경되었다. DIMO 52 균주는 낮은 pH와 oxgall에 높은 저항성이 있다. pH 2에서 2시간 동안 접종의 약 67.5%의 유의성 있는 생존율을 보였다(p<0.05). 그리고, 0.3% oxgall이 함유된 RCM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접종의 약 64.9%의 유의성 있는 생존율을 보였다(p<0.05). 또한, DIMO 52은 Escherichia coli KCTC 2441와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두 균주에 대한 항균효과는 아마도 butyric acid에 의한 낮은 pH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5×103 CFU/mL 생균수 까지는 RAW264.7 세포에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NO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최저 균수를 확인한 결과 약 1×103 CFU/mL 생균수에서 LPS만 처리한 군 대비 약 33%의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1). 이 결과는 C. butyricum DIMO 52이 NO radical 소거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리된 C. butyricum DIMO 52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isolating the DIMO 52 strain with a large inhibition zone diameter for Clostridium perfringens and maximum butyric acid production from the fecal sample of a breastfeeding infant, it was identified as Clostidium butyricum. The maximum growth of the DIMO 52 strain was reached 24 h after inocula...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7)

  1. Cappuccino JG, Sherman N. Differential staining for visualization of bacterial cell structure. pp. 81-84. In: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9th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San Francisco, CA, USA (2011) 

  2. Choi HJ, Shin MS, Lee SM, and Lee WK.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Enterococcus faecium JWS 833 isolated from duck intestinal tract and suppress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Microbiol Immunol. 56: 613-620 (2012) 

  3. Choi WS, Kwon HS, No RH, Choi GP, Lee HY.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J. Soc. Cosmet. Sci. Korean 39: 303-311 (2013) 

  4. Erkkila S, Petaja E. Screening of commercial meat starter cultures at low pH and in the presence of bile salts for potential probiotic use. Meat Sci. 55: 297-300 (2000) 

  5. Farzanfar A. The use of probiotics in shrimp aquaculture. FEMS Immunol. Med. Microbiol. 48: 149-158 (2006) 

  6. Fuller R.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1989) 

  7. Gao Q, Qi L, Wu T, Wang J. An important role of interleukin-10 in counteracting excessive immune response in HT-29 cells exposed to Clostridium butyricum. BMC Microbiol. 12: 100 (2012) 

  8. Gilliland SE, Speck ML. Deconjugation of bile acids by intestinal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robiol. 33: 15-18 (1977) 

  9. Goldenberg JZ, Lytvyn L, Steurich J, Parkin P, Mahant S, Johnston BC.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of pediatric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Cochrane DB. Syst. Rev. 22: CD004827 (2015) 

  10. Hirayama K, Rafter J. The role of probiotic bacteria in cancer prevention. Microbes. Infect. 2: 681-686 (2000) 

  11. Kaneko N, Nakayama T, Ichikawa N. Susceptibility of spore-forming butyric acid bacteria to antimicrobial agents. Yakugaku Zasshi 132: 849-853 (2012) 

  12. Kaur IP, Chopra K, Saini A. Probiotics: potenti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Eur. J. Pharm. Sci. 15: 1-9 (2002) 

  13. Kim YJ, Son DY. Inflammatory mediator regulation of the Zizyphus jujube leaf fractions in the LPS-stimulated Raw264.7 mouse macrophage. Korean J. Food Preserv. 21: 114-120 (2014) 

  14. Kishore G, Karthik A, Gopal SV, Kumar AR, Bhat M, Udupa N. Development of RP-HPLC method for simultaneous estimation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Der. Pharma. Chemica. 5: 335-340 (2013) 

  15. Kwang JH, Lee JC, Kim TH, Chung PK, Lee KK.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utyric acid bacterium from infant fec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17: 56-62 (1989) 

  16. Park HE, Lee WK. Immunomodulatory effects of mixed Weissella cibaria JW15 with water extract of black soybean and burdock on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in mice. J. Biomed. Transl. Res. 18: 1-6 (2017) 

  17. Pennacchia C, Ercolini D, Blaiotta G, Pepe O, Mauriello G, Villani F. Selection of Lactobacillus strains from fermented sausages for their potential use as probiotics. Meat Sci. 67: 309-317 (2004) 

  18. Pool-Zobel BL, Neudecker C, Domizlaff I, Ji S, Schillinge, U, Rumney C, Moretti M, Vilarini I, Scassellati-Sforzolini R, Rowland I.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mediated antigenotoxicity in the colon of rats. Nutr. Cancer 26: 365-380 (1996) 

  19. Roy D. Media for the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in dairy products. Int. J. Food Microbiol. 69: 167-182 (2001) 

  20. Saavedra JM. Clinical applications of probiotic agents. Am. J. Clin. Nutr. 73: 1147-1151 (2001) 

  21. Salminen S, Isolauri E, Salminen E. Clinical uses of probiotics for stabilizing the gut mucosal barrier: successful strains and future challenges. Antonie Van Leeuwenhoek 70: 347-358 (1996) 

  22. Seki H, Shiohara M, Matsumura T, Miyagawa N, Tanaka M, Komiyama A, Kurata S. Prevention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in children by Clostridium butyricum MIYAIRI. Pediatr. Int. 45: 86-90 (2003) 

  23. Shinnoh M, Horinaka M, Yasuda T, Yoshikawa S, Morita M, Yamada T, Miki T, Sakai T. Clostridium butyricum MIYAIRI 588 shows antitumor effects by enhancing the release of TRAIL from neutrophils through MMP-8. Int. J. Oncol. 42: 903-911 (2013) 

  24. Smibert RM, Krieg NR. Phenotypic characterization. pp. 611-654. In: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Gerhardt P, Murray RG, Wood WA, Krieg NR (ed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1994) 

  25. Szymanowska-Powalowska D, Orczyk D, Leja K. Biotechnological potential of Clostridium butyricum bacteria. Braz. J. Microbiol. 45: 892-901 (2014) 

  26. Verschuere L, Rombaut G, Sorgeloos P, Verstraete W. Probiotic bacteria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aquaculture. Microbiol. Mol. Biol. Rev. 64: 655-671 (2000) 

  27. Weisburg WG, Barns SM, Pelletier DA, Lane DJ.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173: 697-703 (19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