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평가기술 연구
Research on technical evaluation of microbiome-based biotherapeutic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
연구책임자 배진우
참여연구자 이준영 , 김병국 , 김경환 , 이인옥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2-10
과제시작연도 2022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등록번호 TRKO202300003925
과제고유번호 1475013211
사업명 의약품등안전관리
DB 구축일자 2023-07-26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파마바이오틱스.바이오의약품.Microbiome.Pharmabiotics.Biotherapeutics.

초록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기능 활성화, 항산화물질 생산, 병원균 억제 등 다양한 생리작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장질환, 피부질환 등 각종 질병과의 연관성도 입증되었음.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생리적 기능 및 질병과의 연관성에 기반한 다양한 신약 개발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지만 아직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의약품의 정의, 품질 및 안전성 평가기술, 관련 가이드라인 등 규제 기반이 취약하여 이에 대한 조속한 연구가 필요함. 이에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및

Abstract

According to a recent study, the human microbiome has been confirm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various physiological actions such as activation of immune function, production of antioxidants, and suppression of pathogens. Although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new drugs based on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최종보고서 ... 2
  • 제출문 ... 3
  • 목차 ... 4
  • 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7
  • 국문 요약문 ... 7
  • Summary ... 9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1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11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6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33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29
  • Ⅲ.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33
  •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134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136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39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150
  • 제5장 세부참고문헌 ... 199
  • Ⅲ.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00
  •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201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203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206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220
  • 제5장 세부참고문헌 ... 296
  • V. 총괄첨부 서류 ... 298
  • 제1장 총괄첨부서류 ... 298
  • 끝페이지 ... 382

표/그림 (20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