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지방자치단체의 기록물 공개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rds Disclosure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1 no.1, 2021년, pp.57 - 73  

윤연화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사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이은주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물 공개관리의 개념과 세부업무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업무가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업무 담당자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기록물 공개관리와 관련한 시야를 넓히고 효율적으로 공개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설문조사, 심층면담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부산 지방자치단체 중 7개 기관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기록관의 기록물 공개관리 현황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그 중 4개 기관의 처리과 업무담당자 총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처리과의 기록물 공개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처리과와 기록관에서 수행 중인 일련의 공개관리 업무의 현황과 그 속에서의 문제점을 밝혀내고, 지방자치단체 내에서의 자구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가기록원의 실질적인 업무지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ek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and suggest improvements on records disclosure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7 record managers and 40 office staff in local governments. Existing records disclosures were also used a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15)

  1. Ahn, Ji Hyun (2006). A study 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non-disclosure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3, 135-185. 

  2. Ahn, Kyu Seo (2017). A study on access reclassification systems of education office's records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Record & Archives Management Science, Korea. 

  3. Lee, Won Kyu (2005). Operative challenges in releas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2, 81-135. 

  4. MOIS (2020). 2019 Information disclosure annual report. Sejo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5. NAK (2009). Records reclassification in practical manuals: Part of the archive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6. NAK (2020a). Records management guidelines(common manual).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7. NAK (2020b). Disclosure of public records part 1: Records creators and records centers version 1.2.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8. Shin, Sung Hye (2009). An efficient method of improving access re-review of reco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Korea. 

  9. Song, Jae Hyuk (2013). A study on the reclassification of non-disclosed reco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Record & Archives Management Science, Korea. 

  10. Yang, Jung Bong (2006). A study on the information opening to the public of records control institu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Daejon, Korea. 

  11. Zoh, Yuong Sam (2009). The promotion sta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 recor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77-115. 

  12. Article 19 (2016). The public's right to know: principles on right to information legislation. London: Article 19 

  13. UN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 https://www.un.org/en/universal-declaration-human-rights 

  14.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Act. 

  15.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