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 금-은 금화 열수 맥상광상의 생성환경
Genetic Environments of Au-Ag-bearing Geumhwa Hydrothermal Vein Deposi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1, 2021년, pp.49 - 60  

이선진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화광상은 백악기 경상퇴적분지 내에 분포하는 진주층 퇴적암 내에 발달한 열극을 충진하여 생성된 함 금-은 열수 맥상광상으로, 괴상, 각력상 및 호상 및 정동 조직 등 복합적인 조직적 특성을 보여준다. 금화광상 맥상 광화작용은 지구조적 운동(tectonic break)에 의하여 광화 1기(stage I)와 광화 2기(stage II)로 구분된다. 광화 1기는 금-은 광화작용이 진행된 주 광화시기로, 석영맥 내에 주된 함 금·은 광물인 에렉트럼과 함께 황화광물, 산화광물 및 황염광물 등이 산출한다. 광화 2기는 주 광화작용 이후 금속 광화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방해석맥의 생성 시기이다. 광화 1기는 광물 광생관계와 산출하는 광물 조합 특성 등에 의하여 3개의 세부 광화시기(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광화 1기의 초기에는 주로 황철석, 황동석 등의 황화광물이 철망간중석, 자철석 등의 산화광물을 수반하여 산출한다. 광화 1기 중기는 주된 금·은 광화작용이 광화 1기의 초기 말부터 계속하여 진행된 시기이다. 주로 에렉트럼과 함께 황동석, 섬아연석 등의 황화광물과 자철석 등의 산화광물이 산출되며, 텐난타이트 및 테트라히드라이트 등의 황염광물이 소량 수반되어 산출된다. 광화 1기 후기에는 방연석, 적철석과 함께 소량의 함 비스무스 황염광물이 산출하며 풍화작용 관련 이차광물의 생성이 진행되었다. 금화광상 광물 공생관계 변화는 열수계의 온도와 황 분압 조건의 감소 및 이에 수반된 산소 분압 조건의 증가 등의 환경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유체포유물 실험·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초기 금화 열수계는 ≥410℃ 온도 조건에서 하부 마그마로부터 용리된 고 염농도(≥44 wt. % NaCl)를 갖는 유체와 금화광상 생성 심도 하부까지 순환하여 물-암석 반응이 진행된 천수 기원의 중 내지 저 염농도(≈7.0 wt. % NaCl)의 열수가 함께 유입되어 형성되었다. 그 이후 금화 열수계는 유체의 냉각, 비등작용 및 천수 혼입 등에 의하여 진화되었으며, 이들 진화기구에 수반된 냉각작용 및 화학성 변화 등에 의하여 온도 감소(≤200℃)와 염농도 변화(≤1.0 equiv. wt. % NaCl)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금화 열수계의 형성 및 진화 특성은 함 금-은 열수 맥상광상인 금화광상이 초기 천부 관입 마그마의 영향으로 마그마 우세 열수계로 부터 광화 후기 천수의 유입이 우세해지는 천열수계로 변환되는 점이적인 생성환경에서 생성된 맥상광상임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umhwa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Mineral paragenesi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stage I and II) by major tectonic fracturing. Stage II is economically barren. Stage I, at which the precipitation of major ore minerals occurred, is further divided into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의 확인을 통하여 광상 내 주요 광석광물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등의 광화작용 특성을 규명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금화 금-은 광상의 광화작용과 관련된 광석광물의 산출상태, 광물학적 특성, 광물 공생관계, 열역학적 자료에 근거한 광석광물의 침전환경 및 광화유체의특성과 진화과정 등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광상 생성 시의 지배적인 물리·화학적 요인과 부존 특성 등을 규명하여 추가 탐사 및 재개발 등에 활용 가능한 광상학적 지침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rton, P.B., Jr. and Toulmin, P., III. (1964) The electrum-tarnish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s. Geochim. Cosmochim. Acta, v.28, p.619-640. 

  2. Chang, K. H. (1975)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 Korea. J. Geol. Soc. Korea, v.11, p.1-23. 

  3. Cho, D.L. and Kwon S.T. (1994) Hornblende geobarometry of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nd the evolution of crustal thickness. J. Geol. Soc. Korea, v.30, p.41-61. 

  4. Choe, W.H. and Jwa, Y.J. (2004)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s for magma mixing in the Palgongsan pluton. Geosciences Journal, v.8, p.343-354. 

  5. Craig, J.R. and Barton, P.B. Jr (1973) Thermochemical approximations for sulfosalts, Econ. Geol., v.68, p.498-506. 

  6. Haynes, F.M. (1985) Determination of fluid inclusion compositions by sequential freezing. Econ. Geol., v.80, p.1436-1439. 

  7. Hong, Y.K. (1983)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Palgongsan granite, Southern Korea. J. Geol. Soc. Korea, v.16, p.83-109. 

  8. Kang, H.C. and Paik, I.S. (2012) Review on the geological ages of the formation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J. Geol. Soc. Korea, v.49, p.17-29. 

  9. Kim, B.G., Jung, C.H., Kim, S.J. and Yang, S.Y. (1981) Geological report of the Dae Yul sheet (1:50.000), p.41. 

  10. Lee, H.G., Moon, H.S. and Choi, S.G. (2007) Economic mineral deposits in Korea, Acanet, Seoul, 762p. 

  11. Potter, R.W. III., Clunne, M.A. and Brown, D.L. (1978) Freezing point depression aqueous sodium sodium chloride solutions. Econ. Geol., v.73, p.284-285. 

  12.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13. Shelton. K.L., So, C.S. and Chang, J.S. (1988) Gold-rich mesothermal vein deposits of the republic of Korea: Geochemical studies of the Jungwon gold area. Econ. Geol., v.83, p.1221-1237. 

  14. Shikazono, N. (1986) Ag/Au total production ratio and Au-Ag minerals from vein-type and disseminated-type deposits in Japan. Mining Geol., v.36, p.411-424. 

  15. Tsusue, A., Mizuta, T., Watanabe, M. and Min, K.G. (1981)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ic tocks in South Korea. Mining Geol., v.31, p.260-280. 

  16. Turner, J.S., Shirtcliffe, T.G.L. and Brewer, P.G. (1970) Elemental variations of transport coefficients across density interfaces in multiple-diffusive system. Nature, v.228, p.1083-10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