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 금-은 가사도 열수 맥상광상의 성인
Genetic Environments of Au-Ag-bearing Gasado Hydrothermal Vein Deposi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5 no.1, 2022년, pp.53 - 61  

고영진 (한국광해광업공단) ,  김창성 (프리모리소스)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사도광상은 옥천대 남서부 해남-진도분지의 남서익부에 위치하며 백악기 후기 유천층군에 대비되는 화산쇄설성 퇴적암류 내에 발달한 열극을 충진하여 생성된 함 금-은 열수 맥상광상으로, 각력상 및 정동조직과 함께 부분적인 미정질조직, 빗살조직, 블레디드조직, 호상조직, 칼세도니조직 및 콜로폼조직 등 천열수광상의 조직 특성을 보여준다. 가사도광상의 맥상 광화작용은 구조운동에 의하여 광화 I기와 광화 II기로 구분된다. 광화 I기는 금-은 광화작용이 진행된 주 광화시기로, 석영맥 내에 주된 함 금-은 광물인 에렉트럼과 함께 황화광물 및 함 은 광물 등이 산출한다. 광화 II기는 주 광화작용 이후 금속 광화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방해석맥의 생성 시기이다. 광화 I기는 광물의 공생관계와 산출하는 광물 조합 특성 등에 의하여 3개의 세부 광화시기(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광화 I기의 초기에는 황철석, 자류철석의 산출로 시작되어 소량의 황동석, 섬아연석 및 에렉트럼을 수반하여 산출한다. 광화 I기 중기는 주된 금·은 광화작용이 광화 I기의 초기 말부터 계속하여 진행된 시기이다. 주로 에렉트럼과 함께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석 등이 함 은 광물인 휘은석 등을 수반하여 산출한다. 광화 I기 후기는 휘은석과 자연은의 주된 생성 시기이다. 가사도광상 함 금-은 광화작용은 약 290~≤130℃의 온도 조건에서 열수계의 냉각작용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이때의 황 분압 조건은 ≈10-10.1~≤10-18.5atm이었다. 함 금-은 가사도광상은 광상·광물학적 특성, 지화학적 환경변화 및 광화작용의 온도 조건 등으로 미루어 천부 환경에서 생성된 천열수 맥상광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asado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Hanam-Jindo basin. The geology of the Gasado is composed of the late Cretaceous volcaniclastic sedimentary rocks and acidic or intermediate igneous rocks. Within the deposit area, there are a number of hydrothermal quartz and...

주제어

참고문헌 (21)

  1. Barton, P.B., Jr and Toulmin, P., III. (1964) The electrum-tarnish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s. Geochim. Cosmochim. Acta, v.28, p.619-640. doi: 10.1016/0016-7037(64)90082-1 

  2. Chang, K.H. (1975)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 Korea. J. Geol. Soc. Korea, v.11, p.1-23. 

  3. Cho, D.L. and Kwon, S.T. (1994) Hornblende geobarometry of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nd the evolution of crustal thickness. J. Geol. Soc. Korea, v.30, p.41-61. 

  4. Choi, S.G., Pak, S.J., Choi, S.H. and Shin, H.J. (2001) Mesozoic Granitoids and Associated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Korea. Econ. Environ. Geol., v.34, p.25-38. 

  5. Choi, S.G., Pak, S.J., Kim, S.W., Kim, C.S. and Oh, C.W. (2006) Mesozoic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Metallogenic Provinces Reestimated to the Geodynamic Setting. Econ. Environ. Geol., v.39, p.567-581. 

  6. Choi, S.H. (1999) A modelling of gold-silver deposits in Korea.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1999-2, 92p. 

  7. Craig, J.R. and Barton, P.B. Jr (1973) Thermochemical approximations for sulfosalts. Econ. Geol., v.68, p.498-506. doi: 10.2113/gsecongeo.68.4.493 

  8. Guoyi, D., Gregg, M. and Subhash, J. (1995) Quartz Textures in Epithermal veins, Queensland - Classification, Origin and Implication. Econ. Geol., v.90, p.1841-1856. 

  9. James, F.R. II. (2020) Mineral Commodity Summaries, p.71-151. 

  10. Kang, H.C. and Paik, I.S. (2012) Review on the geological ages of the formation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J. Geol. Soc. Korea, v.49, p.17-29. 

  11. Kang, H.S. (1998) Technical survey report of the Gasado mine.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p. 1-24. 

  12. Kim, C.S. (2001) Hydrothermal alteration and associated mineralization in the Gasado volcanic-hosted gold-silver deposit. MS. Thesis. Korea Univ, Korea, 78p. 

  13. Kim, C.S., Choi, S.G., Choi, S.H. and Lee, I.W. (2002) Hydrothermal alteration and its genetic implication in the Gasado volcanic-hosted epithermal gold-silver deposit: use in exploration. J. Miner. Soc. Korea, v.15, p.205-220. 

  14. Kim, I.J. and Nagao, K. (1992) K-Ar ages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and the surrounding igneous rocks in southwest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 p.58-70. 

  15. Kim, T.H. (2016) Interpretations of the Geologic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ydrothermal Quartz Vein in Gasa islands, SW Korea. MS.Thesis. Pukyong National Univ, Korea, 65p. 

  16. Koh, S.M., Tetsuichi, T., Kim, M.Y., Kazuki, N., Hong, S.S. and Sadahisa, S. (2000) Ge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itcs of the Hydrothermal Clay Alteration in South Korea. Resources Geol., v.50, p.229-242. doi: 10.1111/j.1751-3928.2000.tb00072.x 

  17. Lee, I.W., Kim, R.H., Kim, M.S. and Kim, S.T. (2000) A detailed geological survey report (Gold, Jindo area).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p.4-10. 

  18. Noel, C.W. and Jeffrey, W.H. (1995) Epithermal Gold deposits; styles, characteristics and exploration. SEG Newsletter, no.23, p.1-13. doi: 10.5382/SEGnews.1995-23.fea 

  19.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doi: 10.2113/gsecongeo.66.4.653 

  20. Sennitt, C.M. (1995) Geological assessment, Gasado island, Republic of south Korea. Indochina Goldfields Limited, 78p. 

  21. Tsusue, A., Mizuta, T., Watanabe, M. and Min, K.G. (1981) Jurrasic and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South Korea. Mining Geol., v.31, p.260-280. doi : 10.11456/shigenchishitsu1951.31.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