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아시아지역에서의 CHAMP 위성자료에서의 지각 자기이상의 연구
A Study of CHAMP Satellite Magnetic Anomalies in East Asi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1, 2021년, pp.117 - 126  

김형래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성고도에 획득한 지각 자기이상값들은 지상부근(near-surface)의 항공탐사나 해양탐사등에서 얻은 자기이상값들에서 얻기 어려운 장파장의 특징을 보이며 이들은 지각의 자기현상이 소멸되는 큐리 등온 깊이선(Curie isotherm)까지의 심부 지각물질의 자기특징 및 위성고도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강한 자기특징들을 반영한다. 따라서 심부 지하구조나 판구조론을 통한 과거 지구조의 재구성(reconstruction) 및 해석과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대륙빙하의 해빙과 연관되어 남극 및 그린랜드의 지열분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성 지각 자기이상값은 전지구를 경계조건으로 하는 구면조화함수의 계수모델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많은 계수 계산과 함께 안정적으로 외부자기장을 분리하기 어려운 극지역 및 적도지역의 자료들도 포함되어 이들 자료가 모델 전체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관심지역의 자료들만을 가지고 지역에 맞는 몇 단계 자료처리 과정을 거쳐 얻은 지각 자기이상값들은 이러한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20° ~ 55°N, 108° ~ 150°E) 의 CHAMP 위성에서 최저고도였던 시기의 자료를 획득하여 평균 280 km 에서의 지각 자기이상 지도를 제작하고 CHAMP 자료로 만든 전지구 지각 자기이상 모델(MF7)과 비교하여 지각 자기이상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세계 지상부근 지각자기이상 자료를 종합하여 제작한 EMAG2에서 장파장 성분을 추출하여 함께 비교하기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tellite magnetic observations reflect the magnetic properties of deep crust about the depth of Curie isotherm that is a boundary where the magnetic nature of the rocks is disappeared, showing long wavelength anomalies that are not easily detected in near-surface data from airborne and shipborne su...

Keyword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록 다양한 처리 과정들이 요구되지만 전지구 모델에 비해 보다 세심히 지역적인 외부자기장의 오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에서는 두 번째로 언급한 지역 자료 처리 방법을 통해 CHAMP 위성의 마지막 해인 2010년에 4월 자료부터 최종 임무로 종료된 7월 자료까지의 저고도 (<320km) 자료만을 취득하여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지각 자기이상 성분의 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최종적으로 이와 비슷한 시기의 자료로 제작된 전지구 모델인 MF7(Maus, 2010)에서 나타나는 지각 자기이상 지도와의 여러 지구조적 특징들과 차이점들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Swarm 자료인 경우 CHAMP 위성자료보다 높은 고도인 450 – 500 km에서 측정된 자료라 저고도 자료에 비해 자세한 특징을 얻기 어렵고 아직까지는 위성간의 구배(gradient) 자료는 역산을 통한 모델링을 통해 활용함으로(Olsen et al.
  • 7 로서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일부 몇몇 지역 특징의 위치와 크기가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도에서 비교가 될 수 있는 몇몇 특징들을 뽑아 표기하여 자기적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설 설정

  • 이 중 외핵에 의한 지자기성분이 측정값의 95 %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가 5 %을 구성한다. 특히, 여기서 얻고자 하는 지각 자기이상 성분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으로 자료처리 과정에서 이 점을 활용하여 자료 처리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Fig.
  • G) Near-surface total field anomaly at 5 km altitude at a 2-arc minute interval from EMAG2. H) Low pass filtered wavelengths longer than 300 km of Map (G). All the units are nanotesla (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lsdorf, D.E., von Frese, R.R., Arkani-Hamed, J. and Noltimier, H.C. (1994) Separation of lithospheric, external, and core components of the south polar geomagnetic field at satellite altitud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99, p.4655-4668. 

  2. Bird, P. (2003) An updated digital model of plate boundaries.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v.4, 1027, https://doi.org/10.1029/2001GC000252 

  3. Blakely, R.J., Brocher, T.M. and Wells, R.E. (2005) Subduction-zone magnetic anomalies and implications for hydrated forearc mantle. Geology, v.33, p.445-448. https://doi.org/10.1130/G21447.1 

  4. Doo, W.-B., Hsu, S.-K. and Armada, L. (2015) New Magnetic Anomaly Map of the East Asia with Some Preliminary Tectonic Interpretations.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v.26, p.73. https://doi.org/10.3319/TAO.2014.08.19.07 

  5. Ferre, E.C., Kupenko, I., Martin-Hernandez, F., Ravat, D. and Sanchez-Valle, C. (2020) Magnetic sources in the Earth's mantle. Nature Reviews Earth & Environment, p.1-11. https://doi.org/10.1038/s43017-020-00107-x 

  6. Friis-Christensen, E., Luhr, H. and Hulot, G. (2006) Swarm: A constellation to study the Earth's magnetic field. Earth, Planets and Space, v.58, p.351-358. 

  7. Gao, G., Shi, L., Kang, G., Wu, Y., Bai, C., Wen, L. and Hou, J. (2018) Analysis of the lithospheric magnetic anomalies and tectonics in continental China and the adjacent regions using CHAMP satellite data. Studia Geophysica et Geodaetica, v.62, p.408-426. https://doi.org/10.1007/s11200-016-0102-7 

  8. Gilder, S.A., Keller, G.R., Luo, M. and Goodell, P.C. (1991) Eastern Asia and the Western Pacific timing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ifting in China. Tectonophysics, v.197, p.225-243. https://doi.org/10.1016/0040-1951(91)90043-R 

  9. Goodge, J.W. and Finn, C.A. (2010) Glimpses of East Antarctica: Aeromagnetic and satellite magnetic view from the central Transantarctic Mountains of East Antarctic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115. https://doi.org/doi:10.1029/2009JB006890 

  10. Guo, Z., Cao, Y., Wang, X., Chen, Y.J., Ning, J., He, W., Tang, Y. and Feng, Y. (2014) Crust and upper mantle structures beneath Northeast China from receiver function studies. Earthquake Science, v.27, p.265-275. 

  11. Hao, T., Liu, Y. and Duan, C. (1998) Characteristics of geophysical field in east China and adjacent regions. Geosciences Journal, v.2, p.108-116. https://doi.org/10.1007/BF02910254 

  12. Hinze, W.J., von Frese, R.R.B. and Saad, A.H. (2013) Gravity and Magnetic Exploration: Principles, Practice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Hwang, J.S., Kim, H.R., Suh, M., Taylor, P.T., Kutina, J. and Hu, W.-J. (2010) Long-wavelength geopotential fields study of East Asia from satellite data. Chinese Journal of Geophysics (Chinese), v.53, p.1327-1335. 

  14. Idoko, C.M., Conder, J.A., Ferre, E.C. and Filiberto, J. (2019) The potential contribution to long wavelength magnetic anomalies from the lithospheric mantle.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v.292, p.21-28. https://doi.org/10.1016/j.pepi.2019.05.002 

  15. Kim, H.R., Choi, S.-Y., Suh, M., von Frese, R.R.B., Park, K.J. and Yu, H. (2020) Moho modeling of the Yellow Sea (West Sea) from spectrally correlated free-air and terrain gravity data. Geosciences Journal, v.24, p.531-540. https://doi.org/10.1007/s12303-019-0044-5 

  16. Kim, H.R., von Frese, R., Hong, J. and Golynsky, A. (2013) A regional lithospheric magnetic modeling over Antarctic region. EGU General Abstract, p.5491. 

  17. Kim, H.R., von Frese, R.R., Taylor, P.T., Golynsky, A.V., Gaya-Pique, L.R. and Ferraccioli, F. (2007a) Improved magnetic anomalies of the Antarctic lithosphere from satellite and near-surface data.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171, p.119-126. 

  18. Kim, H.R. and von Frese, R.R. (2017) Utility of Slepian basis functions for modeling near-surface and satellite magnetic anomalies of the Australian lithosphere. Earth, Planets and Space, v.69, p.53. 

  19. Kim, H.R., von Frese, R.R., Kim, J.W., Taylor, P.T. and Neubert, T. (2002) Orsted verifies regional magnetic anomalies of the Antarctic lithospher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29, p.8002-8005. 

  20. Kim, H.R., Gaya-Pique, L.R., von Frese, R.R., Taylor, P.T. and Kim, J.W. (2005a) CHAMP magnetic anomalies of the Antarctic Crust. pp. 261-266, Springer Berlin Heidelberg. Earth Observation with CHAMP. 

  21. Kim, J.W., Hwang, J.S., von Frese, R.R., Kim, H.R. and Lee, S.-H. (2007b) Geomagnetic field modeling from satellite attitude control magnetometer measurem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112. https://doi.org/doi:10.1029/2005JB004042 

  22. Kim, H.R., von Frese, R.R., Golynsky, A.V., Taylor, P.T. and Kim, J.W. (2005b) Crustal analysis of maud rise from combined satellite and near-surface magnetic survey data. Earth, Planets and Space, v.57, p.717-726. 

  23. Kutina, J., Cui, S., Pei, R. and Jiang, M. (2007) A deep-seated EW trending structural boundary indicated as extending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t a latitude close to 40°N. Global tectonics and Metallogeny, p.81-102. 

  24. Langel, R.A. and Estes, R.H. (1982) A geomagnetic field spectrum.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9, p.250-253. 

  25. Langel, R.A. and Hinze, W.J. (1998) The Magnetic Field of the Earth's Lithosphere: The Satellite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Langel, R.A., Schnetzler, C.C., Phillips, J.D. and Horner, R.J. (1982) Initial vector magnetic anomaly map from MAGSA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9, p.273-276. 

  27. Lee, S.H., Yong, K.L., Choi, H.T., Oh, S.H., Yim, J.R., Kim, Y.B., Seo, H.H. and Lee, H.J. (2008) Analysis of Induced Magnetic Field Bias in LEO Satellites Using Orbital Geometry-based Bias Estimation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6, p.1126-1131. 

  28. Leftwich, T.E., von Frese, R.R., Potts, L.V., Kim, H.R., Roman, D.R., Taylor, P.T. and Barton, M. (2005) Crustal modeling of the North Atlantic from spectrally correlated free-air and terrain gravity. Journal of Geodynamics, v.40, p.23-50. 

  29. Martos, Y.M., Catalan, M., Jordan, T.A., Golynsky, A., Golynsky, D., Eagles, G. and Vaughan, D.G. (2017) Heat flux distribution of Antarctica unveiled.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44, p.11,417-11,426. 

  30. Maruyama, S., Isozaki, Y., Kimura, G. and Terabayashi, M. (1997) Paleogeographic maps of the Japanese Islands: Plate tectonic synthesis from 750 Ma to the present. Island arc, v.6, p.121-142. 

  31. Fox-Maule, C., Purucker, M.E., Olsen, N. and Mosegaard, K. (2005) Heat flux anomalies in Antarctica revealed by satellite magnetic data. Science, v.309, p.464-467. 

  32. Maus, S. (2010) Magnetic Field Model MF7. CIRES, Colorado, USA.[Available at www.geomag.us/models/MF7.html.]. 

  33. Maus, S., Yin, F., Luhr, H., Manoj, C., Rother, M., Rauberg, J., Michaelis, I., Stolle, C. and Muller, R. (2008) Resolution of direction of oceanic magnetic lineations by the sixth-generation lithospheric magnetic field model from CHAMP satellite magnetic measurements.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v.9. 

  34. Meyer, B., Saltus, R. and Chulliat, A. (2017) EMAG2 Version 3-Update of a two arc-minute global magnetic anomaly grid. EGU General Abstract, p.10614. 

  35. Olsen, N., Ravat, D., Finlay, C.C. and Kother, L.K. (2017) LCS-1: a high-resolution global model of the lithospheric magnetic field derived from CHAMP and Swarm satellite observation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211, p.1461-1477. https://doi.org/10.1093/gji/ggx381 

  36. Purucker, M.E., von Frese, R.R. and Taylor, P.T. (1999) Mapping and interpretation of satellite magnetic anomalies from POGO data over the Antarctic region. Annals of Geophysics, v.42. 

  37. Ravat, D., Langel, R.A., Purucker, M., Arkani-Hamed, J. and Alsdorf, D.E. (1995) Global vector and scalar Magsat magnetic anomaly map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100, p.20111-20136. 

  38. Ravat, D., Whaler, K., Pilkington, M., Sabaka, T. and Purucker, M. (2002) Compatibility of high-altitude aeromagnetic and satellite-altitude magnetic anomalies over Canada. Geophysics, v.67, p.546-554. 

  39. Regan, R.D., Cain, J.C. and Davis, W.M. (1975) A global magnetic anomaly map.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80, p.794-802. https://doi.org/10.1029/JB080i005p00794 

  40. Sabaka, T.J., Olsen, N., Tyler, R.H. and Kuvshinov, A. (2015) CM5, a pre-Swarm comprehensive geomagnetic field model derived from over 12 yr of CHAMP, Orsted, SAC-C and observatory data.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200, p.1596-1626. 

  41. Sibuet, J.-C. and Hsu, S.-K. (1997) Geodynamics of the Taiwan arcarc collision. Tectonophysics, v.274, p.221-251. https://doi.org/10.1016/S0040-1951(96)00305-8 

  42. Taylor, P.T., Kim, H.R., Kutina, J. and Johnson, G.L. (2008) Geohazard assessment from satellite magnetic data modeling-With examples from the Arctic Margin along the Canada Basin and the Korean Peninsula along 40 (degree) N (latitude) parallel. Earth, Planets and Space, v.60, p.497. 

  43. von Frese, R.R., Jones, M.B., Kim, J.W. and Kim, J.-H. (1997) Analysis of anomaly correlations. Geophysics, v.62, p.342-351. 

  44. Wakita, K. (2018) Geology of the Japanese Islands: An Outline. In Natural Heritage of Japan: Geological,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Aspects (eds. A. Chakraborty, K. Mokudai, M. Cooper, M. Watanabe & S. Chakraborty), pp. 9-17,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Cham. Geoheritage, Geoparks and Geotourism. 

  45. Wang, J. and Li, C.-F. (2018) Curie point depths in Northeast China and their geothermal implications for the Songliao Basi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163, p.177-193. https://doi.org/10.1016/j.jseaes.2018.05.026 

  46. Zhang, M., Suddaby, P., O'Reilly, S.Y., Norman, M. and Qiu, J. (2000) Nature of the lithospheric mantle beneath the eastern part of the Central Asian fold belt: mantle xenolith evidence. Tectonophysics, v.328, p.131-156. https://doi.org/10.1016/S0040-1951(00)00181-5 

  47. Zhang, Z. and Wang, Y. (2007) Crustal structure and contact relationship revealed from deep seismic sounding data in South China.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v.165, p.114-126. https://doi.org/10.1016/j.pepi.2007.08.00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