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연구
Study of Monitoring Methods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Tailings Dams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6 no.4, 2016년, pp.473 - 484  

오삼주 ((주)산하이앤씨) ,  김기준 ((주)산하이앤씨) ,  송재용 ((주)산하이앤씨) ,  최의규 (한국광해관리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경유해시설인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효과적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은 세분된 점검항목 및 평가항목의 선정을 통해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며, 조사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불량정도 및 그 진행성 여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모니터링 항목을 옹벽구조물(콘크리트 옹벽, 석축, 돌망태) 및 일반시설물(차수층, 복토층, 사면, 광물찌꺼기, 우수배제시설, 침출수, 식생)로 점검항목을 세분하고, 각 항목별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여 등급 및 점수화를 통해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개선안에 따른 현장 적용성 평가 결과, 기존 모니터링에 비해 최대 16건(우수배제시설)의 하자 발생 건수가 추가로 확인되는 등 기존 모니터링에 비해 세부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등급에 따른 광물찌꺼기 적치장별 종합점수는 금장광산이 89.3점으로 가장 양호하고 거풍광산이 22.2점, 화천광산이 27.8점으로 가장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개선안을 적용할 경우, 보다 상세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향후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보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중점관리항목 선정, 유지보수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monitoring method for managing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tailings dams. The monitoring of a tailings dump area involves several parameters and their investigation through a selection of evaluation items. The extents of defects and progressive failures also need to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 기능 손상이 토사 등 이물질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간단한 정비를 통해 기능이 회복될 수 있으나, 파손이나 변형으로 경사도나 선형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구조적인 보수를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우수배제시설에 대해서는 기능의 유지 여부 및 기능 손상의 정도에 따라 평가가 이뤄지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광물찌꺼기 적치장 사후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지금까지의 광물찌꺼기 적치장 사후관리는 한국광해관리공단 자체규정에 따라 광물찌꺼기 노출, 복토층의 유실, 사면 유실, 주요구조물(옹벽 등)의 손상, 배수로 손상 및 막힘발생, 침출수 발생, 식생불량 등에 대한 정기적인 현장(육안)조사 등 현상파악 위주의 모니터링만을 실시하고 있다(한국광해관리공단, 2012, 2013, 2014). 그러나 기존 모니터링은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정량화, 객관화가 어렵고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광물찌꺼기의 성분은? 광물찌꺼기는 금속광산에서 분쇄·선광공정을 거쳐 유용광물을 회수하고 남은 부산물로 대부분 맥석광물로 구성되지만 일부 광석광물이 잔존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크게는 수백 마이크로미터(µm)에서 작게는 수 마이크로미터(µm)의 입도분포를 보이고 있다. 입도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물찌꺼기가 물과 산소와 만날 경우 쉽게 중금속이 용출되며, 선광·제련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은, 시안 등과 같은 화학약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한국광해관리공단, 2012).
광물찌꺼기가 금속광산 인근지역 토양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이유는? 광물찌꺼기는 금속광산에서 분쇄·선광공정을 거쳐 유용광물을 회수하고 남은 부산물로 대부분 맥석광물로 구성되지만 일부 광석광물이 잔존하여 다양한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크게는 수백 마이크로미터(µm)에서 작게는 수 마이크로미터(µm)의 입도분포를 보이고 있다. 입도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물찌꺼기가 물과 산소와 만날 경우 쉽게 중금속이 용출되며, 선광·제련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은, 시안 등과 같은 화학약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한국광해관리공단, 2012). 따라서 광물찌꺼기는 금속광산 인근지역 토양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우수 및 지하수와 반응하여 침출수가 유출될 경우 수질오염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ung, M. C. and Jung, M. Y., 2006, Evalua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or abandoned metal mine and management plan,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43(5), 383-394. 

  2.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1, Technical level of mine reclamation, development project of mine reclamation technique. 

  3.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1, Monitoring of behavior characteristic of heavy metal in tailing and control of spread. 

  4.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1, Statistics. 

  5.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2, Safety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maintenance technique for tailing dam. 

  6.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3, Safety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maintenance technique for tailing dam. 

  7.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4, Safety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maintenance technique for tailing dam. 

  8. Kwon, H. H., Nam, G. S., 2009, Mine reclamation engineering, Donghwa, p 373. 

  9. Min, J. S., 2002, Mine reclamation and recovery of abandoned metal mine, Policy of Mine Reclamation and Technique Symposium, KIGAM, 37-53. 

  10. MOLIT, 2011, Safety check and detailed safety check detailed guide manual (common). 

  11. MOLIT, 2011, Safety check and detailed safety check detailed guide manual (retaining w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