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 미국 ReCAP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Shared Repositories for Academic Libraries: Focus on the US ReCAP Projec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2 no.4, 2021년, pp.213 - 229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전경선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공동보존서고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미국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ReCAP(Research Collections and Preservation Consortium)의 운영 사례를 통해 국내 적용 가능한 공동보존서고 설립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CAP 공동보존서고 및 참여기관인 콜럼비아대학교 도서관, 프린스턴대학교 도서관, 뉴욕공공도서관, 하버드대학교 도서관을 방문 조사하였고, ReCAP 업무 담당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보존서고는 보존시설에 대한 공유에서 공유 장서(shared collection)와 공유 이용(shared use)으로 확대 발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장기적인 공동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초기 예상보다 빠른 보존공간의 한계에 따른 이관자료지침수립 및 공동장서개발 정책 수립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ve strategies for shared repositories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using the US ReCAP (Research Collections and Preservation Consortium) Project as a case study. The US ReCAP Project was a collaboration between the New Yor...

Keyword

표/그림 (7)

참고문헌 (17)

  1. Kang, E. Y. (2018).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university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aterials deposit and servi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3), 193-217. https://doi.org/10.16981/kliss.49.201809.193 

  2. Kang, E. Y. & Chang, D. H. (201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university librarie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national universities in Busan/Gyeongnam a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105-129. https://doi.org/10.16981/kliss.49.201806.105 

  3. Kwack, D., Shim, K., & Yoon, C. (2007). The cooperative storage facilities for academic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51-78. 

  4. Lee, J. & Lee, Y. J. (2021). A study on the sustainable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new normal ag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2), 357-377. https://doi.org/10.16981/kliss.52.2.202106.357 

  5. Ministry of Education (2008).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2009-2013). Seoul: Ministry of Education. 

  6. Kwack, D., Yoon, C., & Kim, K. (2005). A Study on the Roadmap of University Library Policy(Research of Library Policy-2005-6). Ministry of Education. 

  7. Park, T. & Oh, H. (2020). A study on library service in the post-COVID era through issues on medi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3), 251-279. https://doi.org/10.16981/kliss.51.3.202009.251 

  8. Bae, S. (2019). The research collections and preservation consortium. Koran Library Association, 60(2). 

  9. Yoon, C., Shim, K., & Kwack, D. (2007).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cooperative storage facility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25-51. 

  10. Yoon, H. (2014).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 37-61. 

  11. Yoon, H., Lee, J., Kim, I., Choi, E., Lee, K., Park, K. H., & Jeon, S. H. (2014).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29-50. 

  12. Yoon, H. & Chang, D. H. (2021).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in seoul metro a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5(1), 285-303. https://doi.org/10.4275/KSLIS.2021.55.1.285 

  13. Carrigan, E., Burford, N. G., & Ugaz, A. G. (2018). Collaborative Collection Management. In Health Sciences Collection Management for the Twenty-First Century, edited by Susan K. Kendall, 149. Maryland: Rowman & Littlefield. 

  14. Johnson, P. (2009). Fundamental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Chicago, IL: ALA Editions. 

  15. Laskowski, M. S. (2016). High density storage: from there to here and beyond.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42(2), 144-150. https://doi.org/10.1016/j.acalib.2015.12.013 

  16. Payne, L.(2007). Library Storage Facilities and the Future of Print Collections in North America. Dublin: OCLC Programs & Research. 

  17. Reilly, Jr., B. E. (2003). Developing Print Repositories: Models for Shared Preservation and Access.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https://www.clir.org/pubs/reports/pub11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