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에 대한 사서 및 이용자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Library Users on the Future Direction of Public Library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3 no.1, 2022년, pp.499 - 519  

김성희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와 이용자 모두 콘텐츠가 미래 공공도서관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은 사서에 비해 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래 공공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신 정보기술의 도입은 미래 공공도서관에서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정보기술의 도입보다는 콘텐츠의 이용이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경로와 도구의 마련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users and librarians perceiv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future public library through a survey and suggested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future libr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librarians and ...

주제어

표/그림 (18)

참고문헌 (17)

  1. Han, H. J., Park, T. Y., Suh, J. W., & Yang, D. M. (2018). A study on establishment strategies toward the future library in theera of the 4th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2), 73-102. http://doi.org/10.4275/KSLIS.2018.52.2.073 

  2. Jung, J. H. & Park, S. Y. (2021). Current status and tasks of D.N.A.(data, network, AI) policies for digital age. Issues and Arguments, 1828.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190&brdSeq36307 

  3. KIET (2016). Civic Tech trends and challenges in the US. Available: 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926194.do?categorys4&subcate65&cateCode0&menuNo200375 

  4. Kim, B. Y. & Kwak, S. J. (2017).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at academ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259-279. http://dx.doi.org/10.16981/kliss.48.3.201709.259 

  5. Kim, H. O. & Kim, Y. S. (2020). The change of recent public libraries' space organiz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12), 69-76. http://doi.org/10.5659/JAIK.2020.36.12.69 

  6. Kim, H. R. (2017). A study on policy for public libraries of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21-44. http://doi.org/10.16981/kliss.48.3.201709.21 

  7. Lee, S. M. (2020). Reconsideration of the roles of librar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1), 29-49. http://doi.org/10.4275/KSLIS.2020.54.1.029 

  8. New Media Consortium (2017). The NMC Horizon Report: 2017 Library Edition. KERIS translated. Daegu: KERIS. 

  9. Noh, Y. H. & Shin, Y. J. (2021). A study on the library activation plan using autonomous objec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1), 27-54. http://doi.org/10.16981/kliss.52.1.202103.27 

  10. Noh, Y. H. (2014).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7-40. http://doi.org/10.3743/KOSIM.2014.31.2.007 

  11. Park, O. N. (2018). A study on the changes of libraries and directions of librarian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1), 285-311. http://doi.org/10.4275/KSLIS.2018.52.1.285 

  12. Park, T. Y., Han, H. J., Oh, H. J., & Yang, D. (2018). A study on the librarian's key tasks of the era of the 4th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327-356. http://doi.org/10.16981/kliss.49.2.201806.327 

  13. Asemi, A., Ko, A., & Nowkarizi, M. (2021). Intelligent libraries: a review on expert system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Library Hi Tech, 39(2), 412-434. 

  14. British Library (2017, August 30). British library to investigate possibility of a 'single digital presence' for UK public libraries Available: https://www.bl.uk/press-releases/2017/august/single-digital-presence-announcement 

  15. CTG University at Albany (2018).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engaging citizens in smart, inclusive and connected communities. Available: https://ctg.albany.edu/media/projects/pdfs/IMLS_Report_Oct31.pdf 

  16. Gul, S. & Bano, S. (2019). Smart libraries: an emerging and innovative technological habitat of 21st century. The Electronic Library, 37(5), 764-783. https://doi.org/10.1108/EL-02-2019-0052 

  17. Suen, R. L. T., Chiu, D. K. W., & Tang, J. K. T. (2020). Virtual reality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deployment experience in Hong Kong. The Electronic Library, 38(4), 843-858. https://doi.org/10.1108/EL-05-2020-0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