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층아파트 로프식 승강기의 운행 소음 및 진동 특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noise and vibration of rope elevators in high-rise apartment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40 no.1, 2021년, pp.84 - 91  

강민우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  오양기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승강기는 고층아파트에서 매우 중요한 설비기기이다. 이러한 승강기가 운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거주민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하지만 승강기 소음에 대한 법규 및 규정은 없는 실정이며, 승강기 소음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 또한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승강기 운행 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특성 파악이 우선 시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층아파트 로프식 승강기 운행 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측정 층수와 측정 실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측정 하였다. 소음과 진동의 동시 측정을 진행하여 소음과 진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각 실험 조건에 따른 상관계수를 파악 하였다. 그 결과 승강기 소음은 125 Hz ~ 500 Hz 대역의 성분이 주요하고, 125 Hz ~ 500Hz 대역에서 진동과의 상관성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최상층의 경우 상관계수가 0.8 수준으로 매우 높음을 확인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levator is a very important equipment in high-rise apartments. The noise generated by an elevator is causing inconvenience to residents. However, there are no laws and regulations on elevator noise, and moreover it is not clear how to measure and evaluate elevator noise. For these problems, the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이러한 점을 문제로 승강기 운행시의 거주 공간 진동레벨 측정에 의해 소음 환경을 평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그 가능성만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5, 6] 이에 본연구에서는 고층아파트 로프식 승강기의 운행 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특성 및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측정은 배경소음 및 외부소음 레벨을 고려하여 아파트 6세대를 선정하였으며, 승강기 운행 소음과 진동의 동시 측정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 하였다.
  • 승강기 소음이 낮게는 25 dBA 수준에서 높게는 50 dBA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에 있지만 평균적으로 35 dBA를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 판단 할 때, 생활환경에 따른 외부소음의 영향에 의해 신호 대비잡음 비 확보가 어렵다. 또한 진동 측정을 통해서 승강기 소음레벨을 평가 하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 선행 연구는 중간층 1세대에서 측정한 데이터의 분석 결과로 경향파악과 논리의 검토 수준의 연구로 객관성이 많이 부족하였다.
  • 진동측정 데이터를 통해서는 거실과 침실의 벽면 진동 전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음측정 데이터를 통해서는 승강기 운행 소음의 주요 주파수대역을 파악하고, 진동측정 데이터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고층아파트 로프식 승강기의 운행 소음과 진동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을 근거로 승강기 운행 진동측정을 통해 소음 레벨을 평가하는 연구가 앞서 진행되었지만 객관성이 많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강기 운행 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면밀한 특성 분석과 실태 파악을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 소음과 진동을 동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진동 전달 특성으로는 거실, 침실과 관계없이 중심부근에서 진동 전달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 거실과 침실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간과 가장 정온해야 하는 공간으로 구분되고, 최하, 중간, 최상층은 승강기 기계실과의 거리에 따른 소음과 진동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다. 진동측정 데이터를 통해서는 거실과 침실의 벽면 진동 전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음측정 데이터를 통해서는 승강기 운행 소음의 주요 주파수대역을 파악하고, 진동측정 데이터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고층아파트 로프식 승강기의 운행 소음과 진동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N. S. Lee, M. J. Song, M. W. Kang, and Y. K. Oh, "A study on the dgree of satisfaction on the facility noise of apartment houses" (in Korean), JKIAEBS. 9, 65-72 (2015). 

  2. M. W. Kang and Y. K. Oh, "A survey on the response of apartment house resident on elevator noise" (in Korean),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 181-188 (2017). 

  3. J. H. Jeong and S. C. Lee, "A study on the annoyance and disturbance of floor impact noise according to noise sensitivity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in Korean), J. Acoust. Soc. Kr. 37, 428-436 (2018). 

  4. Y. K. OH, J. K. Ryu, and H.S. Song, "Effect of noise and reverberation on subjective measure of speech transmission performance for elderly person with hearing loss in residential space" (in Korean), J. Acoust. Soc. Kr. 37, 369-377 (2018). 

  5. M. W. Kang, M. J. Song, and Y. K. Oh, "Evaluation of elevator noise level of apartment houses through vibration measurement" (in Korean), JKIAEBS. 12, 641-6483 (2018). 

  6. M. W. Kang, Y. K. Jang, and Y. K. Oh, "Analysis of noise level and measurement method for elevator in apartment houses" (in Korean), JKIAEBS. 13, 491-502 (2019). 

  7. ISO 16032, "Acoustics -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 from service equipment in buildings - Engineering method," 2004. 

  8. KS F ISO 16032,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 from service equipment in buildings - Engineering method," 2016. 

  9. Y. K. Oh, M. W. Kang, K. C. Lee, and S. K. Kim, "Construction management solutions to mitigate elevator noise and vibration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J. Sustainability, 12, 08924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