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노천광산 개발지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ite of an Open-pit Min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1, 2021년, pp.136 - 142  

김성보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두표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백기석 (울산과학대학교 건축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 개발은 대규모의 지형변화와 환경 훼손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토공량 산출과정에서 사람이 직접 현황측량을 수행하게 되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직접 접근하지 않아도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드론 사진측량을 산림개발지역에 적용하여 정확도 및 토공량, 산지복구 계획 여부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드론 사진측량으로 정사영상 및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평면에서 0.120 m, 표고에서 0.150 m로 나타나 1:1,000 수치지도 묘사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다. 또한, 토공량 비교결과 드론 사진측량이 기존의 측량방법보다 13.0% 더 많은 토공량을 산출하였는데 이는 드론 사진측량이 더 세밀한 지형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분석되어 검증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공간정보를 이용한 산지복구 수행여부 판단 결과 낙석 방지망 및 식생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주기적으로 영상을 취득하여 지형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산림 개발에 드론 사진측량의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en-pit mine development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because of topographical changes and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if the current status survey is performed directly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arthwork.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UAV photogrammetry, which can acquire spatial i...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4)

  1. J. K. Park & D. Y. Um. (2019). Evaluaton of Accuracy and Utilization of the Drone Photogrammetry for Open-pit Mine Monitor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2), 191-196. DOI : 10.14400/JDC.2019.17.12.191 

  2. S. J. Lee & Y. S. Choi. (2015). Topographic Survey at Small-scale Open-pit Mines using a Popular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TUNNEL & UNDERGROUND SPACE, 25(5), 462-469. DOI : 10.7474/TUS.2015.25.5.462 

  3. D. G. Lee, Y. G. Yu, J. H. Ru & H. J. Lee. (2016). Change Monitoring i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of Open-Pit Mine Using Drone 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4(4), 97-104. DOI : 10.7319/kogsis.2016.24.4.097 

  4. J. O. Lee & D. P. Kim. (2019).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Accuracy of Vectorization Using UAV-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7(6), 525-533. DOI : 10.7848/ksgpc.2019.37.6.525 

  5. S. B. Lim. (2016). Geospatial Information Data Generation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and Accuracy Assessment.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6. J. H. Jo. (2016). Accuracy and Economic Feasibility Study of Orthoimage Map Production using UAV.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7. M. G. Kim & K. Y. Jung. (2016). Applicability Analysis of Drone Photogrammetry for Updating Digital Map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8), 603-610. DOI : 10.14257/AJMAHS.2016.08.60 

  8. S. M. Sung & J. O. Lee. (2016). Accuracy of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UAV-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1), 53-62. DOI : 10.7848/ksgpc.2016.34.1.53 

  9. S. A. Lee, T. J. Kim, J. I. Kim, M. C. Kim & H. J. Chang. (2015). DSM Generation and Accuracy Analysis from UAV Images on River-side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2), 183-191. DOI : 10.7780/kjrs.2015.31.2.12 

  10. A. Tamminga, C. Hugenholtz, B. Eaton & M. Lapointe. (2015). Hyperspatial Remote Sensing of Channel reach Morphology and Hydraulic Fish Habitat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 First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River Research and Management. Korean River Res. Applic, 31(3), 379-391. DOI : 10.1002/rra.2743 

  11. R. K. Kong. (2015).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mall Stream Management Project (around Small stream maintenance Act). JFM SE, 27(3), 841-852. DOI : 10.13000/JFMSE.2015.27.3.841 

  12. M. Erena, J. F. Atenza, S. G. Galiano, J. A. Dominguez & J. M. Bernabe (2019). Use of Drones for the Topo-Bathymetric Monitoring of the Reservoirs of the Segura River Basin. Water, 11(3), 455-460. DOI : 10.3390/w11030445 

  13. D. H. Kim & Y. H. Lee. (2018).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and Drone's Threats in Military Secur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223-233. DOI : 10.14400/JDC.2018.16.10.223 

  14. S. P. Hwang & D. H. Kim. (2020).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ti-Dron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1), 247-257. DOI : 10.14400/JDC.2020.18.11.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