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 2021년, pp.259 - 266  

이웅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  신은경 (단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 9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총 864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인 자아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탄력성과 직무수행의 하위차원인 맥락수행, 과업수행 간에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 중 자아효능감과 희망이 과업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보였다. 셋째, 맥락수행에 대해서는 자아효능감과 희망, 그리고 낙관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For that purpos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900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nationwide,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직무수행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수준의 직무수행 예측요인으로서 심리적 자본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개인 수준의 개념이지만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변화가능성이 높은 상태변수(state-like)에 가깝고, 무엇보다 심리적 자본의 향상은 직무수행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14, 23].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과업수행과 맥락수행으로 구분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 중 자아효능감과 희망 수준이 높을 수록사회복지사의 과업수행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과업수행과 맥락수행으로 각각 구분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과업수행과 맥락수행으로 구분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업 및 맥락수행을 각각 종속변수로 총 2회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본질적 특성에 적합한 개념으로 심리적 자본에 주목하고자 한다. 심리적 자본(psychological capital)은 긍정적 조직행동들 가운데 개발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받는 희망, 낙관주의, 효능감, 탄력성 네 가지를 자본으로 개념화한 것이다[14].
  • 종합하면, 본 연구는 자아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탄력성으로 구성되는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은 과업수행과 맥락수행으로 구성되는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은 맥락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은 과업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 C. Lee.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Error Management Culture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5(3), 179-207. 

  2. S. K. Choi. (2015).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t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2(4), 371-384. 

  3. Y. D. Kim. (2017). Service innovation of organizations for disabled people,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7, 33-56. 

  4. S. M. Lee, E. Y. Lee & S. M. Cho. (2009). A Review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1(3), 33-68. 

  5. H. S. Eu. & J. S. Lee (2020).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in Social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6), 501-511. 

  6. I. Won. (2012). A Study of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among Soc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19, 72-87. 

  7. C. H. Ham & K. P. Yun.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Welfare Centers Supervision on Work Performance,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Welfare Studies, 47, 201-225. 

  8. J. S. Kim & S. Y. Kim. (2020).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on Job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4(3), 143-166. 

  9. I. A. Ryu & J. W. Han. (2020). The Effect of Compassion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9(1), 331-365. 

  10. Y. J. Moon. (2014). The Effects of the Performance-Oriented Cultur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2), 81-107. 

  11. S. W. Cho & M. Y. Um. (2009). Social Work Practitioner's Job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4), 137-161. 

  12. Y. J. Moon (2011). Rasch Rating Scale Modeling of Kadushin' Job Performance Scal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3(3), 252-286. 

  13. Y. K. Park. (2009). Th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ocial Worker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1(2), 539-566. 

  14. F. Luthans, C. M. Youssef & B. J. Avolio. (2007). Psychological capit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5. A. D. Stajkovic. (2006). Development of a Core Confidence-higher Order Constru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 1208-1224. 

  16. R. Abu Al-Rub. (2004).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 73-78. 

  17. V. I. Coleman. & W. C. Borman. (2000). Investigating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citizenship performance domai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0(1), 25.44. 

  18. M. H. Kim, Y. H. Shin & C. W. Moon. (2012). Perceived Person-Job Fit and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20(1), 93-128. 

  19. I. J. Lee (1993). A Study on Determinants of Practitioner's Job Performanc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sis), Seoul University. 

  20. H. J. Lee & Y. A. Lee. (2009). The Effects of Performance-Oriented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ocial Science Researches, 35(2), 81-108. 

  21. J. K. Lim, K. S. Kim & H. J. Lee (2017). What does a Social Worker do?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9(2), 209-242. 

  22. K. C. Nam & W. J. Nam (2017). Issues of Social Worker"s Role Diver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9(2), 55-76. 

  23. J. E. Dutton, L. M. Roberts, & J. Bednar. (2010). Pathways for positive identity construction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5, 265-293. 

  24. C. M. Youssef. & F. Luthans. (2007).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25. W. Lee. (202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47, 5- 30 

  26. H. M. Ra & J. M. Choi. (20). Effect of Self-Efficacy on Job Performance of Married Immigrants, Public Policy Review, 31(4), 395-423. 

  27. L. Ralph, L. Catherine & Z. David. (2005). Young Workers' Job Self-Efficacy and Affe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 199-214. 

  28. J. W. Lee & J. M. Kim. (2012)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Self-efficacy,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s.,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4, 21-48. 

  29. T. W. Park & M. J. Kim. (2019).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on Job Performance, Business Education Review, 33(5), 43-76. 

  30. J. M. Ha. & E. M. Lee.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2(12), 81-94. 

  31. S. H. Shin & M. J. Kim. (2020). The Relationship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Ownership,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33(4), 1035-1058. 

  32. K. W. Kim. & G. T. Lee.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in hotel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3(3), 181-194. 

  33. S. W. Cho. (2006). A Study on Construct Validity of Contextual Performance for Soc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2), 87-118. 

  34. Y. J. Kim. (2009). The Analysis of Current Korean Social Welfare Service Movement By Using the Model of Human Service Industry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1(2), 3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