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준비도 영향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Preparednes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 2021년, pp.283 - 292  

김명자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정향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희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이연희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김묘성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 지식, 중증도 분류 지식 및 재난간호 준비도를 파악하고 재난간호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12일부터 10월 16일까지 B시와 G도의 간호학과 5곳의 3,4학년 간호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IBM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재난간호 지식은 12.04±3.56점, 중증도 분류 지식은 6.24±2.64점, 재난간호 준비도는 79.98±12.16점이었다. 대상자의 재난간호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낮은 재난간호 자신감(β=-.22, p<.001)과 재난간호 지식(β=.15, p=002)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0.2%이었다. 그러므로, 간호학생들의 재난간호 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난간호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재난간호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of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2 to October 16, 2017, the subjects were junior and senior grade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 지식, 중증도 분류 지식 및 재난간호 준비도를 파악하고 재난간호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재난대응 간호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난간호 지식, 중증도 분류 지 식 및 재난간호 준비도 정도를 알아보고, 재난간호 준비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재난간호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재난간호 지식 은 중간수준 이하, 중증도 분류 지식은 중간수준 이상, 재 난간호 준비도는 중간수준이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난간호 지식, 중증도 분류 지식 및 재난간호 준비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 구이다.
  • 본 연구는 학부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재난간호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 지식, 중증도 분류 지식 및 재난간호 준비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재난간호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isk (UNISDR). (2015). The Pocket GAR 2015 Making Development Sustainable: The Future of Disaster Risk Management [Online]. www.preventionweb.net/english/hyogo/gar/2015/en/home/GAR_pocket/Pocket%20GAR_3.html 

  2. E. Y. Jung, H. Kim & S Joe. (2018). Current state of disaster educ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in South Korea.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6(2), 106-119. DOI : 10.31148/kjmnr.2018.36.2.106 

  3. N. Kim. (2014). Korean disaster surgical response team: A novel challenge in disaster.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4(1), 7-12. DOI : 10.17479/jacs.2014.4.1.7 

  4. S. Yang. (2018).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39-51. DOI : 10.22156/CS4SMB.2018.8.3.039 

  5. Misfortune and the safety supervision basic law. (2019). Misfortune and the safety supervision basic law [Online]. www.law.go.kr/법령/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6. H. M. Jung, N. H. Kim, Y. H. Lee, M. S. Kim, & M. J. Kim. (2018).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77-386. DOI : 10.15207/JKCS.2018.9.1.377 

  7. D. C. Uhm, Y. I. Park, & H. J. Oh. (2016).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40-249. DOI : 10.5977/jkasne.2016.22.2.240 

  8. L. Causack, P. Arbon, & J. Ranse. (2010). What is the role of nursing students and schools of nursing during disaster? A discussion paper. Collegian, 17(4), 193-197. 

  9. A. Jenning-Sanders, N. Frisch, & S. Wing. (2005).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 Response, 3(3), 80-85. DOI : 10.1016/j.dmr.2005.04.001 

  10. D. H. Lim & M. J. Jo. (2019). Influence of nurses' attitude toward disaster preparedness and clinical competence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e. Crisisonomy, 15(12), 47-58. DOI : 10.14251/crisisonomy.2019.15.12.47 

  11. R. Powers & E. Daily. (2008). Nursing issues in disaster health.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3(3), 1-2. 

  12. K. P. Corss, M. J. Petry, & M. X. Cicero. (2015). A better START for low-acuity victims: data-driven refinement of mass casualty triage. Prehospital Emergency Care, 19(2), 272-278. DOI : 10.3109/10903127.2014.942481 

  13. Nurses and human rights. (2006).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position statement. Nursing Ethics, 8(3), 272-273. 

  14. Korean Nurse Association. (2014). Korean Nurses' Code of Ethics [Online]. 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8). Accreditation Standard for the 3rd Cycle Acute Hospital [Online]. www.koiha.or.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List.do 

  16. G. J. FitzGerald et al. (2010). A national framework for disaster health education in Australia.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5(1), 4-11. DOI : 10.1017/s1049023x00007585 

  17. E. G. Ahn & S. K. Kim. (2013).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257-267. DOI : 10.14400/JDPM.2013.11.6.257 

  18. H. Y. Park & J. S.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37, 1-5. DOI : 10.1016/j.apnr.2017.06.004 

  19. O. C. Lee. (2014).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432-444. DOI : 10.5932/JKPHN.2014.28.3.432 

  20. O. C. Lee & S. J. Wang. (2008). Exploration 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2(6), 95-104. 

  21. K. H. Kang, D. C. Uhm, & E. S. Nam. (2012).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24-435. DOI : 10.5977/jkasne.2012.18.3.424 

  22. Y. R. Lee, M. H. Lee, & S. K. Park. (2013).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9(4), 511-520. 

  23. H. J. Kim. (2015).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447-7455. DOI : 10.5762/KAIS.2015.16.11.7447 

  24. S. H. Seo & E. Y. Suh. (2018).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mong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6(1), 61-70. DOI : 10.31148/kjmnr.2018.36.1.61 

  25. J. S. Kim, J. H. Kong, S. N. Choi, S. S. Kong, & E. Y. Jung. (2019).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1), 31-43. DOI : 10.17333/JKSSN.2019.7.1.31 

  26. O. K. Ahn, E. H. Jang, & S. H. Kim. (2017).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response competency (DNPRC) Scale in terms of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101-111. DOI : 10.15207/JKCS.2017.8.7.101 

  27. S. S. Huh. (2017).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case based small group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8.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2). Basic disaster life support provider manual (version 3.0.). Chicago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 J. Y. Park & S. M. Choi. (2012). A study on the triage performance of military nurses and related factors using a mass casualty scenario, paper exercise.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0(1), 128-142. 

  30. M. R. Yu, S. Y. Lee, Y. M. Jung, & H. J. Yeon. (2007).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orien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saster nursing.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5(1), 1-30. 

  31. C. H. Woo, J. Y. Yoo, & J. Y. Park. (2015).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1), 19-35. DOI : 10.14251/krcem.2015.11.11.19 

  32. L. J. Labrague et al. (2018). Disaster preparedness among nurse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5(1), 41-53. DOI : 10.1111/inr.12369. 

  33. Y. M. Park (2020).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using standardized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34. E. J. Hong. (2020).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on Disaste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5), 60-74. DOI : 10.22156/CS4SMB.2020.10.05.060 

  35. K. Levoy, S. D. DeBastiani, & B. E. McCabe. (2018). Evaluation of a novel disaster nursing education method.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12(6), 703-710. DOI : 10.1017/dmp.2017.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