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재난준비도,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1, 2015년, pp.7447 - 7455  

김희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로 D 지역 간호대학 및 간호학과 4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재난간호 수행능력은 평균 2.76이었으며, 재난간호 수행능력중 "재난상황시 문서기록절차"가 2.34, "소속기관의 재난관련지침"이 2.37로 가장 낮았다. 또한, 대상자의 재난준비도는 평균 2.14이었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집에서의 재난대피연습" 항목이었다. 대상자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재난준비도(${\beta}$=.48), 재난교육요구도(${\beta}$=.21), 성적(${\beta}$=.26), 재난교육 여부(${\beta}$=-.1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재난준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은 부족한 실정으로 나타났으며 재난간호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program. 254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3 college of nursing in D-city compl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간호학생들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에 대한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재난간호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에 대한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재난간호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재난준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은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간호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에서는 재난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2011년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이나 2015년에 발생한 네팔 대지진 등은 금세기 최악의 재난중 하나이며 또한 자연재해는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삼풍백화점 참사나 최근의 세월호 사건 등의 인재로 인한 재난이 발생하였다. WHO에서는 재난을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의 규모로 벌어지는 갑작스러운 환경 현상'으로 정의하고 있다[2]. 재난이 발생하면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 전체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수많은 인명과 재산손실이 발생하고 생존자뿐 아니라 구호담당 직원이나 자원봉사자 들도 극심한 스트레스와 악화된 생활 환경으로 인한 이차적인 건강문제를 경험하게 된다[1].
우리나라의 재난간호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실정은 어떠한가? 11테러사건을 계기로 재난대비를 위한 의료인의 교육과 준비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대처하기 위해 간호대학에서도 재난간호사에 대한 교육과정을 별도로 마련하여 교육을 시행하기 시작하였으며 국제간호협회(International Councilof Nursing)에서도 2006년 예방 및 완화단계, 대비단계, 대응단계, 복구단계 등 재난단계별로 재난에 대비하는 간호사의 역량을 제안하였고, 모든 간호사들이 재난간호 역량을 증진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4,16]. 국내에서는 2007년도에 대한 재난응급의료협회가 창립되었으며 2012년에는 재난간호학회가 창립되었으나 재난간호 교육과정은 아직 소수에 불과하고 주로 간호사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교육은 거의 없으며[17], 대학 교육과정의 경우 재난간호는 전공교과목내에서 일부 내용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재난간호란 무엇인가? 재난간호란 재난으로 인해 야기된 생명과 건강에 대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요구되는 간호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다[4]. 재난이 발생하면 초기 대응자, 현장 중증도 분류와 응급처치 제공자, 직접케어 제공자, 현장 코디네이터, 정신건강 상담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5,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E. G. Ahn, S. K. Kim,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pp.257-267, 2013. 

  2. A. Jennings-Sanders, N. Frisch, S. Wi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 Response, 3(3), pp.80-85, 2005. DOI: http://dx.doi.org/10.1016/j.dmr.2005.04.001 

  3. Y. J. Park, E. J. Lee,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pp.67-79, 2015. 

  4. Lee, Y. R., Lee, M. H., & Park, S. K.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9(4), pp.511-520, 2013. 

  5. R. P. Lavin, "HIPPA and disaster research: preparing to conduct research",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4, pp.32-36, 2006. DOI: http://dx.doi.org/10.1016/j.dmr.2006.01.003 

  6. W. M. Fung, L. H. Lai, A. Y. Loke, "Nurses' perception of disaster: implications for disaster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pp.3165-3171,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777.x 

  7. L. Cusack, P Arbon, J. Ranse, "What is the role of nursing students and schools of nursing during disaster discussion paper", Collegian, 17, pp.193-197, 2010. DOI: http://dx.doi.org/10.1016/j.colegn.2010.09.006 

  8. Korean Nurses Association [Internet], Korean Nurses' Code of Ethics[cited 2013],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Retrieved April 8, 2015) 

  9. W. M, Fung, A. Y. Loke, "Nurses'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1, pp.3289-3303, 2014. DOI: http://dx.doi.org/10.3390/ijerph110303289 

  10. S. Alim, M. Kawabata, M. Nakazawa, "Evalu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disaster drill for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5(1), pp.25-31, 2015.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4.04.016 

  11. C. K. Schmidt, J. M. Davis, J. L. Sanders, L. A. Chapman, M. C. Cisco, A. E. Hady, "Exploring nursing students' level of preparedness for disaster respons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2(6), pp.380-383, 2011. DOI: http://dx.doi.org/10.5480/1536-5026-32.6.380 

  12. L. Good, "Addressing hospital nurses fear of abandonment in bioterrorism emergency",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 Health Nurse Journal. 55(12), pp.493-498, 2007. DOI: http://dx.doi.org/10.1177/216507990705501203 

  13. K. E. Lee, H. S. Jung,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contents system for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2), pp.175-191, 2012. 

  14. G. E. Kim, H. S. Ahn, H. J. Kim, M. L. Han, "A Systematic review on the evaluation of school based unintentional injuries prevention programmes in 7-19 years o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7(1), pp.7-21, 2014. DOI: http://dx.doi.org/10.15434/kssh.2014.27.1.007 

  15. K. H. Kang, D. C. Uhm, E. S. Nam,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pp.424-435,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24 

  16. S. K. Lee,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among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013. 

  17. O. C. Lee, S. J. Wang, "Exploration 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4(2), pp.94-104, 2008. 

  18. M. M. Jose, C. Dufrene,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technologies for disaster preparednes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4, pp.543-551, 2013.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3.07.021 

  19. T. Su, X. Han, F. Chen, Y. Du, H. Zhang, J. Yin, et al, "Knowledge levels and training needs of disaster medicine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in Shanghai, China", PLos ONE, 8(6), e67041, 2013.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67041 

  20. E. G. Ahn, K. L. Keum, S. Y. Choi,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1), pp.94-109, 2011. 

  21. J. Y. Noh,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yeonggi, 2010. 

  22. Y. J. Park,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4. 

  23. S. S. Chan, W. S. Chan, Y. Cheng, O. W. Fung, T. K. Lai, A. W. Leung, K. L. Leung, S. Li, A. L. Yip, S. M. Pa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training course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pp.405-13,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10.01363.x 

  24. O. C. Le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pp.432-444, 2014.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432 

  25. C. H. Sohn, J. C. Yoon, B. J. Oh, W. Kim, K. S. Lim, "Hospital Disaster Preparednes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Emergency Medicine, 19(1), pp.22-30, 2008. 

  26. S. J. Kang, M. H. Piao, "The effect of global disast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n paramedic and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8(1). pp.83-94, 2014. DOI: http://dx.doi.org/10.14408/KJEMS.2014.18.1.083 

  27. E. Weiner, M. Irwin, P. Trangenstein, J. Gordon, "Emergency preparedness curriculum in nursing school in the United Stat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26(6), pp.334-339, 2005. 

  28. K. Usher, M. L. Redman-MacLaren, J. Mills, C. West, E. E. Casella, D. Hapsari, S. Bonita, R. Rosaldo, A. K. Liswar, Y. Zang, "Strengthening and preparing: enhancing nursing research for disaster management",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5(1), pp.68-74, 2015. DOI: http://dx.doi.org/10.1016/j.nepr.2014.03.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