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부 대심도 터널의 방재시설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부산 승학터널 사례를 중심으로)
Installation Standards of Urban Deep Road Tunnel Fire Safety Facilities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1 no.6, 2021년, pp.727 - 736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정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정책연구실) ,  김정식 (서울특별시청 도로계획과) ,  김도훈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임준범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도로터널은 2010년과 2019년과 비교시 1,300개소, 1,102 km 증가하고 있으며, 연평균 7.6 %씩 증가하고 있는 수치이다. 또한, 도로터널 연장이 3,000 m이상 되는 장대터널도 64개소, 276.7 km에 달하고 있다. 도로터널은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화재사고 발생시 대형 인명피해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안전시설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현재 국토교통부의 지침을 통하여 방재시설 설치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대심도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피난연결통로의 설치간격과 피난연결문의 폭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적정한 기준값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안전성의 척도가 되는 피난시간 산정은 피난 분석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building EXODUS Ver.6.3과 화재/연기 분석 소프트웨어 SMARTFIRE Ver.4.1을 활용하였다. 시나리오는 피난연결문 폭 0.9 m, 1.2 m 두 종류와 피난연결통로간격 150~250 m를 20 m간격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대심도 특성인 경사도를 고려하기 위해서 종단경사 6 %와 0 %를 각각 적용하였다. 피난완료시간이 연기확산시간보다 짧은 경우 "안전"으로 판단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종단경사 6 %인 경우, 피난연결통로 간격이 150 m인 경우에는 피난연결문 너비에 상관없이 연기확산 전에 모든 재실자들이 피난을 완료할 수 있었다. 종단경사 0 %인 경우, 피난연결통로 간격이 200 m이고 피난연결문의 폭이 1.2 m인 경우 모든 재실자가 피난을 완료할 수 있었다. 종단경사에 따른 피난 속도의 차이로 0 % 경사에서는 6 %에 비해 대피시간이 114초(190 m연결통로 기준)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연결통로 간격이 짧아질 수록 빠르게 대피할 수 있으나 경제적, 구조적인 문제로 연결통로를 촘촘하게 배치하기는 어렵다. 피난연결문의 폭이 1.2 m로 늘어난다면 0.9 m 폭인 경우와 비교하여 재실자들이 더 빠르게 대피가 가능할 것이다. 연결통로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1.2 m폭의 연결문을 적용한다면, 피난 안전을 확보하면서 경제성을 높이고 구조적인 안전까지 해결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ad tunnel lengths are increasing. Some 1,300 tunnels with 1,102 km in length had been increased till 2019 from 2010. There are 64 tunnels over 3,000 m in length, with their total length adding up to 276.7 km. Safety facilities in the event of a tunnel fire are critical so as to prevent large-scal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4)

  1. Bae, Y. H., Lee, S. H., Choi, J. H. and Hong, W. H. (2014). "Analysis of crowd walking speed according to smoke during undergroun space evacuation," 2014 Spring Conferen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p. 215-216 (in Korean). 

  2. Gwynne, S., Galea, E. R., Owen, M. and Lawrence, P. J. (1998). "Investigation of the aspects of occupant behavior required for evacuation modelling." Journal of Applied Fire Science, Vol. 8, No. 1, pp. 19-59. 

  3. Hao, S. Q. and Yuan, Y. (2009). "Fire evacuation of underground tunnel based building EXODUS." 2009 World Congress o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San Francisco, USA., Vol. 7, pp. 612-615. 

  4. Jin, K.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risk index through the analysis of large road tunnel fir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5. KOROAD (2020).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Available at: taas.koroad.or.kr (Accessed: April 1, 2020). 

  6. Lee, S. H., Goo, S. H., Chun, Y. W. and Park, Y. J. (2015).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case study of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SIS, Vol. 23, No. 2, pp. 69-77 (in Korean).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9a).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nsl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in Korean).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9b). Road bridge and tunnel status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at: https://bti.kict.re.kr/bti/ (Accessed: April 1, 2020). 

  9. Porzycki, J., Schmidt-Polonczyk, N. and Was, J. (2018). "Pedestrian behavior during evacuation from road tunnel in smoke condition - Empirical results." PLoS ONE, Vol. 13, No. 8, pp. 1-20. 

  10. Ryu, J. O. and Choi, P. G.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fire risk assessment method for small road ttunnels passing only small car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0, No. 6, pp. 917-930 (in Korean). 

  11. Seo, D. G., Hwang, E. K. and Kwon, Y. J. (2010).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egress safety of PB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12, pp. 99-106 (in Korean). 

  12. Seo, I. K., Park, J. J., Ahn, B. H. and Lee, J. Y. (2012). "A study on the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alysis in expressway longitudinal tunnel using a logit model."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32, No. 6D, pp. 549-556 (in Korean).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Seoul metropolitan roa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 final report (2021~2030) (in Korean). 

  14. Yoo, Y. H., Yoon, C. H., Yoon, S. W. and Kim, J. (2005).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val of emergency exits in long traffic tunnel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KSRM, Vol. 15, No. 1, pp. 61-7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