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BIM inform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4 no.6, 2022년, pp.525 - 538  

신재섭 (한국전력기술 전력기술연구원) ,  안송강 (한국전력기술 전력기술연구원) ,  송정욱 (한국전력기술 전력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는 지하시설물의 노후화와 체계적인 관리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공간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음에도 지하시설물의 관리 주체가 다양하고 이에 대한 현황정보가 명확하게 기록·관리되고 있지 않아, 체계적인 지하시설물 관리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에 위치해 확인하기 어려운 지하시설물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유지관리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증강현실기반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 세 가지 필수 요구사항인 '정밀 위치파악', 'BIM 설계정보 활용', '사용성 확보'를 도출하여 이를 시스템 개발에 반영하였다. Broadcast-RTK를 활용하여 위치정밀도를 cm급으로 확보하였고, BIM 모델의 형상 및 속성정보를 IFC포맷으로 변환하여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사용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Application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하시설물을 구성하는 구조체 및 기계 시스템의 형상, 속성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였다. 또한 가혹한 환경(고층 빌딩 인접)에서도 정밀하고 정합성 높은 증강현실 시스템이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safety accidents are continuously occurring due to the aging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Moreover, although the underground space is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is not clearly recorded and managed, so there is a limit to th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7)

  1. Bang, J., Choi, E. (2010),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prospect, Emerging Issue Report 16, KISTI, pp. 5. 

  2. Billinghurst, M. (2004), "Introduction to augmented reality", Proceedings of the IEEE Virtual Reality Conference 2004 (VR 2004), Chicago, IL, USA. 

  3. Cheng, L.M., Amerudin, S., Yusof, Z.M. (2019),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Pipeline Visualiser (ARPV) Application for Visualising Underground Water Pipeline",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matics and Geospatial Technology (GGT 2019), Kuala Lumpur, Malaysia, pp. 365-373. 

  4. Choe, T.S., Kang, J.M., Kim, H.S., Park, J.B. (2016), "Low-end GPS position accuracy enhancement method by using map inform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5, No. 4, pp. 659-665. 

  5. Kim, H., Kim, D., Lee, J., Lee, J. (2021), "Domestic trend of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system",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3, No. 2, pp. 110-119. 

  6. Kim, H.H. (2020), GNSS positioning correction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orkshop on Activating GNSS Positioning Information Service, pp. 1-16. 

  7. Kim, I. (2010), "The history and concept of BIM",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Vol. 54, No. 1, pp. 16-21. 

  8. Kim, I.S.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eld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utility using self-levelling marker and D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7, No. 6, pp. 733-739. 

  9. Kim, N.H., Park, C.H. (2012), "A study on the advanced altitude accuracy of GPS with barometric altitude senso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49, No. 10, pp. 18-22. 

  10. KISA (2020), LBS industry trend report, Monthly Report January 2020,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11. Koo, B.S., Ok, H., Yu, Y.S., Jung, R.K. (2018), "Analysis of Singapore's BIM tender documents for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BIM guidelines in Korea", Journal of KIBIM, Vol. 8, No. 2, pp. 19-28. 

  12. Lee, H.J., Kim, J.S., Seo, H.S., Cho, Y.S. (2018), "Development of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ublic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9, No. 2, pp. 237-243. 

  13. Lee, S.M., Yoon, H.M. (2019), Improvement in safety management for underground facilities in Seoul, 2019-PR-43, The Seoul Institute, pp. 5. 

  14. Lee, W. (2016), "Usability evaluation concept of mobil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design",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No. 53, pp. 191-200. 

  15. Park, D., Lee, S., Ahn, S., Won, J. (2020), "Performance verification of broadcast-RTK technology in kinematic positioning", Proceedings of the 2020 IPNT Conference, Yeosu, pp. 43-52. 

  16. Sacks, R., Eastman, C., Lee, G., Teicholz, P. (2018). BIM Handbook (3rd ed.), John Wiley & Sons, New Jersey, pp. 325-326. 

  17. Stylianidis, E., Valari, E., Pagani, A., Carrillo, I., Kounoudes. A., Michail, K., Smagas, K. (2020), "Augmented reality geovisualisation for underground utilities", PFG - Journal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Geoinformation Science, Vol. 88, No. 2, pp. 173-1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