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송현동(松峴洞) 일원 역사문화경관의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Songhyeon-dong, Seoul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4, 2021년, pp.85 - 98  

강재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복궁 옆 송현동 일원에 문화공원을 조성하기로 계획된 사실을 배경으로 '송현(松峴)'이라는 장소가 인식되었던 조선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관련 문헌과 도면자료를 분석하여 주요 시기의 역사문화경관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현동 일원의 경관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주요 필지의 소유주를 파악하고 토지이용과 경관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1392년 조선의 건국 이래 송현은 풍수지리사상에 의하여 '경복궁의 내청룡(內靑龍)'으로 이해됨에 따라 국가에 의해 '소나무숲'이 관리되었다. 1410년 태종이 실시한 전제 개혁과 도시계획의 영향으로 국가 창고 '분감(分監)'이 세워지고 영세한 과일가게 '우전(隅廛)'이 조성되었다. 19세기 이후에는 상류층 가옥으로서 '가성각(嘉聲閣)', '창녕위궁(昌寧尉宮)', '벽수거사정(碧樹居士亭)'이 존재하였다. 1919년 조선식산은행이 부지를 매입하면서 대규모 관사단지인 '식은사택(殖銀舍宅)'이 조성되었으며, 이는 1948년 미국으로 이양되어 '미국대사관 직원숙소'로 사용되었다. 둘째, 도출한 시기별 경관구성요소의 존속기간과 함께 위치를 비정하여 물리적 실체를 파악함으로써 시대별 사회상과 결부된 입지관(立地觀)의 변천을 확인하였다. 풍수지리적 세계관 속에서 궁궐의 왼편을 비보(裨補)하는 '내청룡'으로 인식된 소나무숲은 부지 서쪽 고지대에 있었다. 동시기 동쪽의 평탄한 구역은 각종 정부시설과 시장에 인접한 길목에 다양한 계층이 모여드는 '여항(閭巷)'으로 여겨졌다. 19세기 이후 소나무숲에는 경화세족(京華世族)의 원림이 들어서 '성시산림(城市山林)'으로 이해되었다. 오랫동안 도심 속 대형 필지로 존재하였던 송현동 일원은 20세기 일제에 의해 '이상적 건강지(理想的 健康地)'라는 관념 아래 개발되었다. 이로써 조선시대 전통적 복거관(卜居觀)을 고수해 온 송현동 일원의 장소성이 단절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cordance with planning to construct culture park on Songhyeon-dong (district) near Gyeongbokgung Palace, This study analyzed literature and drawing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oday for the district, known as 'Songhyeon (pine hill)' to identify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during es...

주제어

참고문헌 (46)

  1. 서울특별시(2020). 도시관리계획(북촌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 - 구)미대사관직원숙소부지 일대 공원(문화공원) 결정. 

  2. 정승호, 김수진(2015). 관광산업활성화를 위한 정책결정의 우선순위-광화문 대한항공소유 관광호텔부지 규제완화와 관련하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 729-748. 

  3. 김웅래, 서붕교(2020). 공공성을 고려한 체류형 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부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0(2): 663-664. 

  4. 박대한(2013). 서울시 대한항공부지 공원화 설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6. 남권희(1986). 架閣庫考. 서지학연구. 1(-): 129-156. 

  7. 서울특별시(2015). 국역 경성부사 1. 서울: 휴먼컬처아리랑. 

  8. 서울역사아카이브(https://museum.seoul.go.kr/archive). 

  9. 문화재청(200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대전: 문화재청. 

  10. 이장우(1988). 朝鮮初期 軍資監에 대한 一考察. 역사학보. 118(-): 31-69. 

  11. 허영록(1995). 조선시대 도시계획의 기본요소로서 시전에 대한 연구. 서울학연구. 6(-): 67-98. 

  12. 국사편찬위원회(2005). 한국문화사 3 : 거상, 상권을 장악하다.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13. 이규목(2001). 서울 근대도시경관 읽기-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정정남(2015). 18세기 이후 한성부 북부 6방(坊)의 주거 정체적 구조. 서울학연구 61(-): 113-156. 

  15. 최정민, 서영애(2015). 정원 조영의 주체로서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문화와 정원관.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2): 77-87. 

  16. 김정화(2017). 우리나라 식물원의 기원과 진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강명관(1996). 조선후기 서적의 수입.유통과 장서가의 출현-18, 19세기 京華世族. 민족문학사연구. 9(-): 171-194. 

  18. 이종묵(2008).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주거문화와 四宜堂. 한문학보. 19(-): 567-592. 

  19. 김동현(2015).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원림특성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서유구 저, 안대회 편(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파주: 돌베개. 

  21. 대통령경호실(2007). 청와대와 주변 역사.문화유산. 서울: 대통령경호실. 

  22. 장림, 양유선, 성종상(2019). "한정우기 '종식부'를 통해 본 식물의 상징성과 완상 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2): 30-39. 

  23. 주남철(2003). 궁집(宮家). 파주: 일지사. 

  24. 박철상(2008). 경화세족과 심상규의 가성각. 국회도서관보. 

  25.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 

  26. 국립현대미술관(2018).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시도록. 

  27. 강민경(2021). 金澤榮의 1909년 歸國과 安中植 筆 '碧樹居士亭圖'. 미술자료. 99(-): 30-49. 

  28. 정정남(2011). 漢城府의 '統戶番圖' 제작과정을 통해 본 大韓帝國期觀光坊 대형필지의 변화양상. 건축역사연구. 20(1): 7-22. 

  29.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https://www.nl.go.kr/newspaper). 

  30. 김해경(2016). 벽수산장으로 본 근대정원의 조영기법 해석. 서울학연구. 62(-): 59-93. 

  31. 한강문화재연구원(2012). 서울 송현동 유적. 유적조사보고 31. 

  32.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33. 서울역사박물관(2019). 북촌, 열한 집의 오래된 기억. 서울역사박물관전시도록. 

  34. "내동리 명물 송현동 식은촌", 「동아일보」, 1924. 06. 29. 

  35. 김명숙(2003). 일제시기 경성부 소재 총독부 관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조준범, 최찬환(2003). 필지 분합을 통해 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2): 125-132. 

  37.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https://newslibrary.naver.com). 

  38. 국토지리정보원(https://www.ngii.go.kr). 

  39. 이지희, 홍원화, 이수호(2015). 조선시대 창고 건축물의 방재대책 및 화재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1(7): 127-134. 

  40. 김현욱(2008). 조선시대 한성5부의 금산 및 금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87-92. 

  41. 이경아(2019). 경성의 주택지: 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 서울: 도서출판 집. 

  42. 서울역사편찬원(https://history.seoul.go.k). 

  43. 문일평, "화하만필", 조선일보 1934. 06. 01. 

  44. 이영남, 정재정(2017). 일제하 서울의 대단위 철도관사단지의 조성과 소멸. 서울과 역사. 97(-): 215-256. 

  45. "산뎡으로 이?", 대한매일신보 1910. 02. 12. 

  46. "윤후작저화재", 조선일보 1934. 03. 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