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사문화경관 이미지가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 - 경주시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Effec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Images on Healing Characteristics - Around the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2, 2021년, pp.29 - 38  

천겅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선호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영경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집중력회복 이론(ART)에 의하면 인간이 치유특질을 가진 경관을 경험하면 의도적인 집중력으로 유발된 정신적 피로감이 치유될 수 있다. ART에서는 다양한 경관이 치유특질을 가질 수 있다고 인정하고, 경관의 네 가지 치유특질은 지각강도가 클수록 치유효과가 강해진다고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치유경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자연경관과 도시경관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RCS를 이용하여 양동마을 경관을 대상으로 치유특질을 평가하고, 치유특질이 대상지경관의 방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 양동마을경관을 대상으로 경관이미지를 평가하여, 경관이미지가 경관의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주시 양동마을이며, 127명의 대학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SD 16항목, 치유특질을 평가하기 위한 Laumann (2001)의 RCS 22항목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SD법을 통해 양동마을의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양동마을 경관 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장소성 요인과 특이성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RCS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경관 이미지가 RCS의 세 가지 치유특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출된 RCS의 세 가지 치유특질이 방문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인 방문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는 매력·적합, 탈출감, 공간감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RCS의 신뢰성을 재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여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centration recovery(ART), experiencing landscapes with healing properties can heal human mental fatigue caused by intentional concentration. The ART illustrates four healing qualities of the landscape. ART admits that various landscapes can have healing properties, the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5)

  1.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이승훈(2003). 한국판 회복환경지각척도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8(2): 229-241. 

  3. Kaplan, S. 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 Environ. Psychol. 15: 169-182. 

  4. Berto R.(2005). Exposure to restorative environments helps restore attentional capacity. J. Environ. Psychol. 25: 249-259. 

  5. Karmanov D., Hamel R.(2008). Assessing the restorative potential of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s): beyond the nature versus urban dichotomy. Landsc. Urban Plan. 86: 115-125. 

  6. Laumann K., Garling T., Stormark K. M.(2003). Selective attention and heart rate responses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 Environ. Psychol. 23: 125-134. 

  7. Ulrich R. S., Simons R. F., Losito B. D., Fiorito E., Miles M. A., Zelson M. (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 Environ. Psychol. 11: 201-230. 

  8. 송초롱, 이주영, Harumi Ikei, Takahide Kagawa, Yoshifumi Miyazaki, 박범진(2015). 산림 내 호수 주변에서의 산책과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영향. 한국임학회지. 104(1); 140-149. 

  9. 이영경(2015).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향상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치유효과. 한국조경학회지. 43(6): 127-137. 

  10. C.H. Tennessen, B. Cimprich(1995). Views to nature: Effects on atten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77-85. 

  11. Berman M. G., Kross E., Krpan K. M., Askren M. K., Burson A., Deldin P. J., et al.(2012). Interacting with nature improves cognition and affect fo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J. Affect. Disord. 140: 300-305. 

  12. Hartig T., Evans G. W., Jamner L. D., Davis D. S., Garling T.(2003).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al and urban field settings. J. Environ. Psychol. 23: 109-123. 

  13. J.K. Sluiter, M.H. Fringsdresen, T.F. Meijman, V.D.B. Aj(2000). Reactivity and recovery from different types of work measured by catecholamines and cortisol: A systematic literature overview.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57(5): 298-315. 

  14. 이영경(2006).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경주 유산경관에 대한 미국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5): 1-13. 

  15. Karmanov. D. and R. Hamel(2008). Assessing the restorative potential of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s: Beyond the nature versus urban dichotom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6: 115-125. 

  16. Kaplan S., Bardwell L. V., Slakter D. B.(1993). The museum as a restorative environment. Environ. Behav. 25: 725-742. 

  17. Kearns, R. and D. Collins(2000) New Zealand children's health camps:therapeutic landscapes meet the contract stat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1: 1047-1059. 

  18. M.C. Hidalgo, R. Berto, M.P. Galindo, A. Getrevi(2006). Identifying attractive and unattractive urban places: Categories, restorativeness and aesthetic attributes. Medio Ambiente y Comportamiento Humano. 7(2): 115-133. 

  19. Massimiliano Scopelliti, Giuseppe Carrus, and Marino Bonaiuto(2019). Is it Really Nature That Restores People? A Comparison With Historical Sites With High Restorative Potential. Front Psychol. 9: 2742. 

  20. 이영경(2013). 전통경관의 치유특질과 방문경험-경주 안압지 방문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1(4): 68-76. 

  21. J. Yuan, Y. Wu(2018). Loss and reconstruction of locality in the Chinese Urbanization (in Chinese). Journal of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Science Edition). 32(1): 37-42. 

  22. Osgood, C.E., Suci, G.J., and Tannenbaum, P(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pp.346. 

  23. Hartig, T.(1993) Testing Restorative Environments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rvine. 

  24. Hartig, T.(1997). A measure of restorative quality in environments. Scandinavian Housing Planning Research. 14: 175-194. 

  25. Laumann, K., T(2001). Garling and K. M. Stormark. Rating scale measures of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1): 31-44. 

  26. Herzog, T. R., Colleen P. Maguire, and M. B. Nebel(2003). Assessing the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2): 159-170. 

  27. 김지애, 정유희, 신영선, 임승빈(2009). 병원 녹지 경관의 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 아산병원 옥산 정원을 중심으로-. 한국경관학회지. 1(1): 60-73. 

  28. 강영애, 이지윤, 이수(2013). 수변공원에서의 회복환경지각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한강공원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8(3): 353-373. 

  29. 이시영, 박군(2014). 집중력 회복이론을 통한 지역거주민들의 대학캠퍼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한국조경학회지. 42(4): 37-47. 

  30. 김철민(2010). 관광목적지 시각성이 관광이미지, 치유적 특질 및 방문선호에 미치는 영향-관광영상홍보물을 매개로- 경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장윤선(2017). 치유숲길의 공간특성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한.일간 치유숲길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Lan Luo(2018).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Natural Water Landscape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Sichuan Agricultural University Landscape architecture Master thesi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33. Jan Packer. Nigel Bond(2010). Museums as Restorative Environments. Curator The Museum Journal. 53(4): 421-436. 

  34. Chia Pin Yu, Hsiao Yun Lee, Wen Hsin Lu, Yu Chin Huang, Matthew H.E.M. Browning(2020). Restorative effects of virtual natural settings on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56: 126863. 

  35. Kline, R. B.(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