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교 저작에 대한 한국목록규칙의 개정 방향과 범위 탐색
Exploring the Revision Direction and Scope of the Korean Cataloging Rules for Religious Work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2 no.4, 2021년, pp.153 - 177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목록규칙(KCR)에 대한 전면적인 개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룬 부분은 종교 저작에 관한 규칙이다. 종교 저작은 음악작품이나 법률 저작과 함께 IFLA LRM 개념모형을 지향하는 새로운 목록규칙에서도 특별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KCR2 이후에 접근점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국내의 경우, 종교 저작에 관한 기술과 접근점 규정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는지, 한다면 어떠한 내용과 범위를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하여, (1) 최근 개정을 완료한 목록규칙인 RDA와 NCR에 수록된 종교 저작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2) 실제 사례를 통해 종교 저작에 적용된 접근점과 그 기능을 검토한 다음, (3) 종교 저작에 대한 KCR4의 개정 방향과 범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종교 저작의 경우 동일 저작이 상이한 버전이나 표제를 가지는 경우가 많아 이를 집중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교 저작의 유형별로 우선표제의 선정과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규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KCR 개정과정에서 후속 논의가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vision of the Korean Cataloging Rules (KCR) is in progress in order to conform IFLA LRM conceptual model and to strengthen its internal stability. Religious works, along with musical works and legal works, have been treated as special and important in cataloging rules. This trend continues in ...

주제어

참고문헌 (18)

  1. Ahn, Seohyeon & Lee, Changsoo (2014). A study on the describing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person in cataloging rul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235-261. 

  2. Doh, Tae-Hyeon (2012). Study on instructions for access points representing works and expressions in RD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27-48. 

  3. Doh, Tae-Hyeon (2015). Suggestions for the composition of KCR4 revis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207-226. 

  4. Japan Library Association (2018). Nippon Cataloging Rules. 2018 ed. Tokyo: Japan Library Association. Available: https://www.jla.or.jp/committees/mokuroku/ncr2018/tabid/787/Default.aspx 

  5. Kim, Jeong-Hyen (2013).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uing rul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123-143. 

  6.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66). Korean Cataloging Rules. revise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Korean Cataloging Rules. 4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8. Lee, Changsoo (2015). Describing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families in cataloging rul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27-49. 

  9. Lee, Mihwa (2012). The study on the directions of KCR4 under the new ICP 20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261-280. 

  10. Lee, Mihwa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71-94. 

  11. Lee, Mihwa (2018)).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rules for authorized access points of music work.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4), 147-166. 

  12. Lee, Mihwa & Rho, Jee-Hyun (2016).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in KCR4.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47-69. 

  13. Rho, Jee-Hyun (2016a). Suggestions on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ing rules for personal name authority records and authorized access poi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2), 201-229. 

  14. Rho, Jee-Hyun (2016b). A study on the language and script of authorized access points representing multilingual work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123-147. 

  15. Maxwell, M. F. (1989). Handbook for AACR2 1988 Revision: Explaining and Illustrating the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6. RDA Steering Committee. RDA toolkit. https://www.rdatoolkit.org/ 

  17. RDA Steering Committee. RDA original toolkit. https://original.rdatoolkit.org/ 

  18. 日本圖書館協會. 2018. 日本目錄規則 2018年版.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Available: https://www.jla.or.jp/committees/mokuroku/ncr2018/tabid/787/Default.asp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