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 시스템 내 물질 순환에 대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분석: 인간의 활동이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System Thinking on the Cycle of Matter in Earth System: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y on the Cycle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5 no.3, 2021년, pp.275 - 291  

오현석 (춘천교육대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  김권중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구 시스템 내에서 물질 순환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의 수준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여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을 이용하여 수집된 학생 응답을 평가 루브릭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고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고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선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 중등학교 학생의 시스템 사고수준이 물질의 순환에 대한 시스템 요소를 확인하거나 분류하는 낮은 수준이었으며, 시스템 연관이나 경향의 일반화와 같은 높은 수준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의 순환보다 탄소의 순환에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질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의 특성은 물의 순환에서는 물을 주요 시스템 요소로 인지한 상태로 기권과 다른 시스템 요소 간에 주로 증발로 연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탄소의 순환에서는 이산화 탄소를 주요 시스템 요소로 간주하여 생물권과의 연관으로 광합성과 호흡을 표상하고 있었다. 셋째, 지구 시스템 내 물질의 순환에서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 교육을 위해서 기존의 지구 시스템에서 확장하여 사회-생태 시스템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ycle of matter in the Earth system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cycl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items for assessment and assessment rubric throug...

주제어

참고문헌 (27)

  1. Alerby, E. (2000). A way of visualising children's and young people's thoughts about environment: A study of drawing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6(3), 205-222. 

  2.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3. Ben-Zvi Assaraf, O., & Orion, N. (2010a).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40-563. 

  4. Ben-Zvi Assaraf, O., & Orion, N. (2010b).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10), 1253-1280. 

  5. Gobert, J. D., & Buckley, B. C. (2000). Introduction to mode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891-894. 

  6. Gunckel, K. L., Covitt, B. A., Salinas, I, & Anderson, C. W. (2012a).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in socio-ecological syst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843-868. 

  7. Gunckel, K. L., Mohan, L., Covitt, B. A., & Anderson, C. W. (2012b). Addressing challenges in developing learning progressions for environmental science literacy. In A. Alonzo & A. W. Gotwals (Eds.),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Boston, MA: Sense Publishers. 

  8. Kim, B., & Maeng, S. (2020).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System Thinking in Learning of Water Cycle. Elementary Sience Education, 39(3), 412-432. (in Korean) 

  9. Jeong, K. S., & Jeong, J. W. (2007). Alternative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rust and Interior of the Earth.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3), 266-276. (in Korean) 

  10. Johnson, J. K., & Reynolds, S. J. (2005). Concept sketches-Using student- and instructor-generated, annotated sketches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in geology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1), 85-95. 

  11. Lee, D. E., Jeong, J. W., & Kim, Y. J. (2008). Understanding the water cycle process and composition el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1), 24-31. (in Korean) 

  12. Lee, D. Y., Oh, E. S., Kim, H. B., & Jeong, J. W. (2013). Analysis of carbon cycling concepts based on earth systems perspectiv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157-169. (in Korean) 

  13. Lee, H., Cho, H. J., & Lee, H. N. (2007). An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mental models on the mechanism of the moon craters 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6), 653-670. (in Korean) 

  14. Lee, H., Fortner, R. W., & Mayer, V. J. (2004). Earth systems education: An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construct for Korea. The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2, 397-426. 

  15. Lee, J., Han S., & Park, T. (2017). Conception of carbon cycling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patial perception 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0(3), 308-322. (in Korean) 

  16. Libarkin, J. C. (2006). College student conceptions of geological phenomena and their importance in classroom instruction. Planet, 17(1), 6-9. 

  17. Libarkin, J. C., Anderson, S. W., Dahl, J., Belifuss, M., & Boone, W. (2005).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deas about the ear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1), 17-26. 

  1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n Korean). 

  19. Mohan, L., Chen, J., & Anderson, C. W. (2009). Developing a multi-year learning progression for carbon cycling in socio- ecological syst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75-698. 

  2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533 p. 

  21. Oh, H. S., & Kim, C. J. (2010). An analysis of earth system understandings (ESU) of 8th-grade students' imagery about 'the Earth' represented by words and drawing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1), 71-87. (in Korean) 

  22. Oh, H. S., Kim, J. H., Yu, E. J., & Kim, C. J. (2009). An analysis of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through a drawing activity in teaching module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1), 96-110. (in Korean) 

  23. Oh, H., Lee, K., Park, YS., Maeng, S. & Lee, JA. (2015). An analysis of systems thinking revealed in middle school astronomy classes: The case of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for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6), 591-608. (in Korean) 

  24. Orion, N., & Basis, T. (2008). Character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s. Presented in the 2008 NARST Annual Meeting. March, 2008. Baltimore, U.S.A. 

  25. Seong, Y., Maeng, S., & Jang, S. (2013).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cycle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with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Journal of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ociety, 32(2), 139-158. (in Korean) 

  26. Shepardson, D.P. (2005). Students ideas: What is an environment?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4), 49-58. 

  27. Son, M. H., & Jeong, D. H (2019). Development worksheet and rubric for system thinking assesment -Focused on the earth system unit in 'Integrated Science'. School Science Journal, 13(1), 78-9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