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염총량 개념을 적용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제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Method for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of a Landfill by Applying Total Pollutant Load Concept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2 no.2, 2021년, pp.15 - 23  

천승규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심낙종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  전은정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  류돈식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염총량 개념을 반영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제도 개선방안을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매립가스 모델을 통해 분석한 메탄 잔여비율은 총 발생 가능량인 2,521×106 Nm3에 대하여 2020년 8.8%, 2030년 7.0%, 2040년 6.5%이었다. 2020년 이후의 표면발산 메탄량에 2005~2019년의 평균 산화율 89.1%를 적용할 경우, 실제 배출기준 메탄 잔여율은 2020년 1.01%, 2030년 0.76%, 2040년 0.70%로서 2025년 이후 메탄이 전량 표면 발산되어도 2019년 기준 표면 발산량보다 적어 사후관리 종료가 가능하였다. 침출수 수질에 대한 추이분석 결과, BOD는 2024년, COD 2047년, T-N은 2117년경에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후관리종료를 배출부하량을 기준으로 변경할 경우 BOD는 현 시점에서 그리고 COD도 수년 내 사후관리종료가 가능하나, T-N의 경우 2041년 이후에나 가능하여 근본적인 관리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thod of improving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of a landfill that reflected total pollutant load was applied to the SUDOKWON 1st Landfill Site.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remaining methane, when compared to the total maximum potential of 2,521 × 106 Nm3, was estimated to b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D의 경우 개정된 배출허용기준이 환경영향평가협의기준보다 엄격하고, T-N의 경우 신설된 항목이며, BOD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협의 기준과 배출허용기준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3 개 항목 모두 가장 엄격한 청정지역의 배출허용기준 만족시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BOD의 경우 2024년, COD 2047 년, T-Ne 2117년경이 되어야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따라서 기존 매립장들이 사후관리종료 기간을 넘기기 시작함에 따라 이에 대한 법제적 및 기술적인 개선조치를 마련하지 않으면 많은 매립장들이 사후관리종료가 불가능할 것이며, 이는 사회적인 비용의 증가와 행정 및 재정의 낭비 요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상기 지침의 별표에 따른 안정화도 평가기준 중 매립가스와 침출수 부문을 대상으로 매립장 구조변경이 없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평가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평가방식은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LS1)에 적용・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기간에 걸친 경제적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환경적 문제가 없으면서 보다 현실에 부합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 제도의 정립에 착안할 수 있는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상기 지침의 별표에 따른 안정화도 평가기준 중 매립가스와 침출수 부문을 대상으로 매립장 구조변경이 없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평가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평가방식은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LS1)에 적용・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기간에 걸친 경제적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환경적 문제가 없으면서 보다 현실에 부합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 제도의 정립에 착안할 수 있는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W. K., Kim, S. G., Lee, J. H. and Chung, J. W. (2019), Effect of leachate circulation with ex situ nitrification on waste decomposition and nitrogen removal for early stabilization of fresh refuse landfill,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371, pp. 721-727. 

  2. Chen, Y. M., Xu, W. J., Ling, D. S., Zhan, L. T. and Gao, W. (2020), A degradation-consolidation model for the stabilization behavior of landfilled municipal solid waste,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 118, https://doi.org/10.1016/j.compgeo.2019.103341. 

  3. Chun, S. K. (2018), Mass balance analysis on the behavior of major elements disposed at a waste landfill site, Waste Management, Vol. 71, pp. 233-243. 

  4. Di Trapani, D., Di Bella, G. and Viviani, G. (2013), Uncontrolled methane emissions from a MSW landfill surface: Influence of landfill features and side slopes, Waste Management, Vol. 33, No. 10, pp. 2108-2115. 

  5. Feng, S., Ng, C. W. W., Leung, A. K. and Liu, H. W. (2017), Numerical modelling of methane oxidation efficiency and coupled water-gas-heat reactive transfer in a sloping landfill cover, Waste Management, Vol. 68, pp. 355-368. 

  6. Giner-Sanz, J. J., Ortega, E. M. and Perez-Herranz, V. (2015), Montecarlo based quantitative Kramers-Kronig test for PEMFC impedance spectrum vali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0, No. 34, pp. 11279-11293. 

  7. Green Energy Development Co., Ltd. (GRENCO) (2016), The influence of waste energy recovery and resource recovery of sludge on landfill process of Sudokwon landfill, pp. 41-48 (In Korean).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 5, 3.17. 

  9. Kim, D. O., Kim, T. Y., Kim, M. H. and Kim, M. I. (2009), Reclamation of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by sorting transfer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0, No. 1, pp. 15-23. 

  10. Kim, J. K., Kim, S. K. and Park, N. B. (2004),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ste and leachate on landfill site, J.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1, No. 6, pp. 607-617. 

  11. Lee, B. C., Lee, M. H., Park, S. C., Jeong, S. K., Han, Y. S. and Yeon, I. J. (2009), Analysis by environmental factor of similar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0, No. 6, pp. 27-33. 

  12. Li, K., He, J., Li, J., Guo, Q., Liang, S., Li, Y. and Wang, X. (2018), Linking water quality with the total pollutant load control management for nitrogen in Jiaozhou Bay, China, Ecological Indicators, Vol. 85, pp. 57-66. 

  13. Morris, J. W. F. and Barlaz, M. A. (2011), A performance-based system for the long-term management of municipal waste landfills, Waste Management, Vol. 31, No. 4, pp. 649-662. 

  14. Monster, J., Kjeldsen, P. and Scheutz, C. (2019), Methodologies for measuring fugitive methane emissions from landfills - A review, Waste Management, Vol. 87, pp. 835-859. 

  15. Park, J. K., Kim, R. H. and Lee, N. H. (2019), Determination of IPCC landfill gas generation model parameters using iterative non-linear least square method, J.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36, No. 3, pp. 308-320. 

  16. Park, S. C., Cho, B. R., Jeong, J. H., Lee, M. H., Kim, T. Y. and Park, J. H. (2008), Assessment on environmental stabilization of used open dumping landfill - a case study of Kamkok landfill,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9, No. 6, pp. 13-19. 

  17. Pearse, L. F., Hettiaratchi, J. P. and Kumar, S. (2018), Towards developing a representative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assay for landfilled municipal solid waste - A review, Bioresource Technology, Vol. 254, pp. 312-324. 

  18. Spokas, K., Bogner, J., Chanton, J. P., Morcet, M., Aran, C., Graff, C., Moreau-Le Golvan, Y. and Hebe, I. (2006), Methane mass balance at three landfill sites: What is the efficiency of capture by gas collection systems?, Waste Management, Vol. 26, No. 5, pp. 516-525. 

  19. Stromberg, S., Nistor, M. and Liu, J. (2014), Towards eliminating systematic errors caused by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s, Waste Management, Vol. 34, pp. 1939-1948. 

  20.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 (SLC) (2017a), The survey report on managed landfill (In Korean). 

  21.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 (SLC) (2017b), 2016 Site monitoring and gener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LFG from sudokwon landfill, pp. 99-100 (In Korean). 

  22. SUDOKWON Landfill Site Operation and Management Association (SLA) (1997),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the installation efficiency of LFG treatment facility, p. 102 (In Korean). 

  23. Sun, W., Wang, X., DeCarolis, J. F. and Barlaz, M. A. (2019), Evaluation of optimal model parameters for prediction of methane generation from selected U.S. landfills, Waste Management, Vol. 91, pp. 120-127. 

  24. Won, C. H., Kim, Y. K. and Kim Y. D. (1999), Removal of carbon and nitrogen within the crushed stones layer of simulated columns and construction proposal of columns and construction proposal of semi-aerobic landfill, J.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16, No. 6, pp. 604-613. 

  25. Zheng, Q. T., Kerry Rowe, R. and Feng, S. J. (2018), Design of vertical landfill gas collection wells considering non-homogeneity with depth, Waste Management, Vol. 82, pp. 26-3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