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Teaching Efficacy and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9 no.1, 2021년, pp.99 - 108  

박인희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  서은주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상실습이 최적의 학습상황이 될 수 있도록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확인해 보다 나은 임상실습을 위해 효율적인 간호교육의 운영방안을 융복합적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학력, 직급, 임상경력, 임상지도경력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의 평균평점은 3.77±0.89 이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임상술기지도효능감이 3.97±0.93으로 가장 높았다.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만족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최대 5점 중 평균평점은 3.69±0.46이며,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실습교과 3.98±0.60로 가장 높았다.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0.13, p=.749). 임상실습현장에서 고연령, 풍부한 임상경력, 높은 교육수준을 가진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이 높았다. 학생들은 실습만족도 중 교과운영과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간호학생들의 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임상현장에서는 교수효능감 뿐 아니라 실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함께 개선해 나가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teaching efficacy,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onfirm between correlation, and develop a plan for operating nursing education efficiently for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could create an optimal learning situation. We applied CNIT...

주제어

참고문헌 (20)

  1. N. C. Kaphagawan & U. Useh. (2013).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Literature review. Studies on Ethno-Medicine, 7(3), 181-185. DOI: 10.1080/09735070.2013.11886459 

  2. M. Gagne et al. (2015). The Multidimensional Work Motivation Scale: Validation evidence in seven languages and nine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4(2), 178-196. DOI: 10.1080/1359432X.2013.877892 

  3. C. Delany & E. Molloy. (2009). Clinical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Churchill Livingstone Australi: Elsevier Health Sciences. 

  4. I. Park & Y. O. Suh. (2018). Development of Teaching Efficacy Scale to Evaluate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1), 18-29. DOI: 10.7475/kjan.2018.30.1.18 

  5. N. Masruroh & A. D. Kurnia. (2018) Perception of Senior Nursing Student toward Clinical Preceptor's Performance: Clinical Eval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11(3), 1731-1735. 

  6. H. Admi, Y. Moshe-Eilon, D. Sharon & M. Mann. (2018).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along different stages: A cross-section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68, 86-92. DOI: 10.1016/j.nedt.2018.05.027 

  7. K. J. Cho & H. S. Kang. (1984). A Study on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4(2), 63-74. 

  8. J. D. Lee & C. S. Lee (2006). The Effects of Preceptorship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3), 434-443. 

  9. J. J. Yang. (2009). The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59-65. DOI: 10.5977/JKASNE.2009.15.2.159 

  10. L. L. Hsu, S. I. Hsieh, H. W. Chiu & Y. L. Chen. (2014). Clinical teaching competence inventory for nursing preceptors: Instrument development and testing. Contemporary Nurse. A Journal for the Australian Nursing Profession, 46(2), 214-224. DOI: 10.5172/conu.2014.46.2.214 

  11. P. Ashton, R. Webb & N. Doda. (1983). A study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inal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Executive Summary). Gainesville: University of Florida. 

  12. B. Happell. (2009). A model of preceptorship in nursing: reflecting the complex functions of the rol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National League for Nursing), 30(6), 372-376. 

  13. L. Croxon & C. Maginnis. (2009). Evaluation of clinical teaching models for nursing practi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9(4), 236-243. DOI: 10.1016/j.nepr.2008.06.004 

  14. J. Cohen. (2013).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Academic pres, 25-26 

  15. S. Ko & E. Choi. (2017). Effect of team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cardiac arrest emergency nurs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6), 667-676. DOI: 10.7475/kjan.2017.29.6.667 

  16. E. Kim. (2016). Teaching Efficacy on the Clinical Education in Nurses. Master's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17. Y. W. Lin, Y. C. Chen & Y. H. Kao. (2012). Effect of Self-Evaluation on Teaching Efficacy in Clinical Nursing Preceptors: An Example of a Medical Center in Northern Taiwan. Journal of Nursing & Healthcare Research, 8(1), 70-79. 

  18. H. S. Yu. (2015).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Clinical Practice, Practice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129-1144. 

  19. M. N. Elizabeth Kamolo BScN KRCHN & R. N. Rachael Vernon, (2017). A Critical Review of Preceptor Development for Nurses Working with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10(2), 1089-1100. 

  20. S. H. Kim & E. K. Kim. (2015).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upo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33(3), 47-6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